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요원(遙遠) 요원(遙遠) 권군불용빈빈거(勸君不用頻頻擧) 거득빈빈치서어(擧得頻頻致齟齬) 하황지음암리증(何況知音暗裏證) 일추타취선가어(一椎打就禪家語) 권군불용분명어(勸君不用分明語) 어득분명전난처(語得分明轉難覰) 우공의심차일사(又恐擬心蹉一絲) 대면홀성만리허(對面忽成萬里許) 그.. 태화당수세록 2019.08.05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경초(莖草) 경초(莖草) 계수경초위신력(稽首莖草威神力) 살활임시능약독(殺活臨時能藥毒) 무량묘의종차출(無量妙意從此出) 경초출처난심멱(莖草出處難尋覓) 각억운거문단공(却憶雲居問端公) 문종하래답부득(問從何來答不得) 귀가삼일후편훙(歸家三日後便薨) 종차공안편팔극(從此公案遍八極) 경.. 태화당수세록 2019.08.05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오유(遨遊) 오유(遨遊) 운축풍래득자유(雲逐風來得自由) 풍수운거자유유(風隨雲去自悠悠) 백화쟁염삼월리(百花爭艶三月裏) 기인축풍해오유(幾人逐風解遨遊) 구름이 바람을 쫓아오며 자유를 얻고 바람이 구름을 따라가며 스스로 유유(悠悠)하나니 온갖 꽃이 요염(妖艶)을 다투는 삼월 속에 몇 사람.. 태화당수세록 2019.08.05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진경(眞景) 진경(眞景) 화사화마화우공(畵師畵馬畵牛公) 급화지옥화천당(及畵地獄畵天堂) 주필종두자세간(駐筆從頭仔細看) 골모탁수특지공(骨毛卓豎特地恐) 약인능관법계성(若人能觀法界性) 능화소화구시망(能畵所畵俱是妄) 번신직투위음외(飜身直透威音外) 낙락진풍몰처장(落落眞風沒處藏) 화.. 태화당수세록 2019.08.05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서분(鼠糞) 서분(鼠糞) 친절막과어부지(親切莫過於不知) 선설불여불개구(善說不如不開口) 약론정인일자무(若論正因一字無) 쟁나호갱오서시(爭奈好羹汚鼠矢) 친절은 알지 못함을 지날 게 없고 선설(善說)이 입을 열지 않음만 같지 못하도다 만약 정인(正因)을 논하자면 한 글자도 없다 하여도 맛있는.. 태화당수세록 2019.08.05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한사(閑事) 한사(閑事) 일제일게다삼복(日題一偈茶三服) 일독사권반이식(日讀四卷飯二食) 갱유한사첨일중(更有閑事添一重) 농춘심홍시촉목(濃春深紅時觸目) 하루에 한 게를 짓고 차를 세 번 마시며 하루에 네 권 읽고 밥을 두 번 먹노라 다시 한사(閑事)가 있어 한 번 거듭 더하나니 짙은 봄 깊은 붉.. 태화당수세록 2019.08.05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협로(夾路) 협로(夾路) 작야삼경실각우(昨夜三更失却牛) 천명기래실각화(天明起來失却火) 협로도화풍우후(夾路桃花風雨後) 마제하처피잔화(馬蹄何處避殘花) 어젯밤 삼경(三更)에 소를 잃어버리고 천명(天明)에 일어나며 불을 잃어버림이여 협로(夾路)의 도화(桃花)가 풍우(風雨) 후에 말발굽이 어느.. 태화당수세록 2019.08.05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두견화(杜鵑花) 두견화(杜鵑花) 자규불래화선홍(子規不來花先紅) 두견화락촉백명(杜鵑花落蜀魄鳴) 교빈하루창해건(敎頻下淚滄海乾) 화개조제종무정(花開鳥啼終無停) 제득토혈염화협(啼得吐血染花頰) 이언난신숙상량(里諺難信孰商量) 거자천만환무일(去者千萬還無一) 사량만반공단장(思量萬般空斷腸).. 태화당수세록 2019.08.05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산채(山菜) 산채(山菜) 도제관동처처용(荼薺款冬處處茸) 와거해겸봉애갱(萵苣薤兼蓬艾羹) 반채산중반매시(半採山中半買市) 시저호문산채형(匙箸好聞山菜馨) 씀바귀 냉이 머위가 곳곳에 뾰족뾰족하고 상추 부추에 곁들여 쑥국이로다 반은 산중에서 캐고 반은 시장에서 사거니와 숟갈 젓갈이 산채의.. 태화당수세록 2019.08.05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만한(顢頇) 만한(顢頇) 문득역호불문친(問得亦好不問親) 거양수작성만한(擧揚酬酌成顢頇) 일구명명초백억(一句明明超百億) 계춘삼월행화란(屆春三月杏花爛) 묻더라도 또한 좋고 묻지 않아도 친절하나니 거양(擧揚)하고 수작(酬酌)함은 만한(顢頇)을 이루도다 일구(一句)가 밝디밝아 백억을 초월하.. 태화당수세록 2019.08.05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설(楔) 설(楔) 양미생시착심의(孃未生時著甚衣) 자유지음이누설(自有知音已漏泄) 의심즉차동념괴(擬心卽差動念乖) 막향공중중착설(莫向空中重著楔) 어머니가 탄생하지 않은 때엔 무슨 옷을 입었는가 스스로 지음(知音)이 있어 이미 누설(漏泄)하도다 마음에 헤아리면 곧 어긋나고 생각을 움직.. 태화당수세록 2019.08.05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밀어(密語) 밀어(密語) 불회즉시유밀어(不會卽是有密語) 회즉종래불부장(會卽從來不覆藏) 회여불회구포각(會與不會俱抛却) 지득장주접몽장(祇得莊周蝶夢長) 알지 못하면 곧 이 비밀스런 말씀이 있음이며 안 즉 종래(從來)로 덮어 숨기지 않음이로다 앎과 알지 못함을 다 던져버리고 단지 장주(莊周).. 태화당수세록 2019.08.05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문채(文彩) 문채(文彩) 칠육오사삼일이(七六五四三一二) 자야재언여호지(者也哉焉與乎之) 암중서자자불성(暗中書字字不成) 문채전창대가지(文彩全彰大家知) 칠육오사삼일이(七六五四三一二)며 자야재언여호지(者也哉焉與乎之)로다 어둠 속에서 글자를 쓰면 글자를 이루지 못하지만 문채(文彩)가 .. 태화당수세록 2019.08.05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수년(壽年) 수년(壽年) 구자각회니불회(狗子却會你不會) 등롱무장소해해(燈籠撫掌笑咍咍) 유인문오안산수(有人問吾案山壽) 칠팔오십육감이(七八五十六減二) 개는 도리어 알지만 너는 알지 못하나니 등롱(燈籠)이 손뼉치며 해해(咍咍) 웃도다 어떤 사람이 나에게 안산(案山)의 나이를 묻는다면 칠팔.. 태화당수세록 2019.08.05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구미(口味) 구미(口味) 격산견연지시화(隔山見烟知是火) 격장견각편지우(隔牆見角便知牛) 수유선개어영춘(茱萸先開於迎春) 일색담황무선후(一色淡黃無先後) 본색주산무별사(本色住山無別事) 애설산중상유유(愛說山中嘗悠悠) 약간별미전세간(若干別味傳世間) 지공구미현격수(祇恐口味懸隔殊) 산 .. 태화당수세록 2019.08.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