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화단(禍端) 화단(禍端) 인욕명경조면간(人欲明鏡照面看) 연추분명화사원(姸醜分明禍事源) 우본유각토본무(牛本有角兎本無) 수지추부여경원(誰知醜婦與鏡寃) 사람은 명경(明鏡)에 얼굴을 비춰 보고 싶어하나니 연추(姸醜)가 분명함이 화사(禍事)의 근원이로다 소는 본래 뿔이 있고 토끼는 본래 없거.. 태화당수세록 2019.08.04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애애(哀哀) 애애(哀哀) 홍륜결정침서거(紅輪決定沈西去) 미위혼령왕나방(未委魂靈往那方) 애애일성구전단(哀哀一聲九轉丹) 반로의체여와해(盤老疑滯如瓦解) 촉목보리입처진(觸目菩提立處眞) 와력생광비무정(瓦礫生光非無情) 갱유향상일규재(更有向上一竅在) 처착미면상신명(覰著未免喪身命) 홍.. 태화당수세록 2019.08.04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허허(噓噓) 허허(噓噓) 석두로활난답파(石頭路滑難踏破) 은봉양도피차타(隱峯兩度被蹉跎) 비신도탈현신이(飛身倒脫顯神異) 쟁나평지끽교하(爭奈平地喫交何) 석두로(石頭路)가 미끄러워 답파(踏破)하기 어렵나니 등은봉(鄧隱峯)이 두 차례 미끄러짐을 입었도다 비신(飛身)하고 도탈(倒脫)해 신이(神.. 태화당수세록 2019.08.04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승두(繩頭) 승두(繩頭) 석일척량경사철(昔日脊梁硬似鐵) 금자근력재감철(今者筋力才堪啜) 차우요도개부전(嗟吁潦倒皆不全) 복구시력부전실(復舊視力不全失) 물위호사불여무(勿謂好事不如無) 막도일일시호일(莫道日日是好日) 득편의시락편의(得便宜時落便宜) 긴파승두잠불헐(緊把繩頭暫不歇) 석.. 태화당수세록 2019.08.04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당처(當處) 당처(當處) 자불혐모추(子不嫌母醜) 견불양가빈(犬不讓家貧) 막위삼계고(莫謂三界苦) 당처최안인(當處最安忍) 춘지백화홍(春至百花紅) 추래엽비번(秋來葉飛飜) 이차생이념(離此生異念) 굴지멱심천(掘地覓尋天) 자식은 어미의 추(醜)함을 싫어하지 않고 개는 집의 가난을 사양하지 않나니.. 태화당수세록 2019.08.04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초춘연우(初春烟雨) 초춘연우(初春烟雨) 소우몽몽첨고수(疎雨濛濛沾枯藪) 연랑멱멱무봉두(烟浪冪冪憮峯頭) 욕답분방청초로(欲踏芬芳靑草路) 요수기회몽연우(要須幾回蒙烟雨) 비시풍상무인애(非時風霜無人愛) 춘생추수이절후(春生秋收以節候) 막위도원별시춘(莫謂桃源別是春) 중인애처시풍류(衆人愛處是.. 태화당수세록 2019.08.04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예수(豫修) 예수(豫修) 일조와병재상상(一朝臥病在牀上) 중고영전이핍박(衆苦縈纏以逼迫) 효석사촌심회황(曉夕思忖心恛惶) 전로망망난가측(前路茫茫難可測) 임갈굴정도무익(臨渴掘井都無益) 조불예수임행곽(早不豫修臨行霍) 무상살귀염념지(無常殺鬼念念至) 애재절심상경책(哀哉切心相警策) 하.. 태화당수세록 2019.08.04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계고(稽古) 계고(稽古) 출언수섭전장(出言須涉典章) 담설내방계고(談說乃傍稽古) 선언호어이설(善言好語已說) 절기신론날조(切忌新論捏造) 말을 내매 반드시 전장(典章)을 섭렵(涉獵)할 것이며 담설(談說)하매 이에 계고(稽古)에 의지해야 하나니 선언(善言)과 호어(好語)는 이미 설했으므로 신론(新.. 태화당수세록 2019.08.04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삼세일념(三世一念) 삼세일념(三世一念) 금세인견작환희(今世人見作歡喜) 전세견인환희고(前世見人歡喜故) 일찰나제융삼세(一刹那際融三世) 각억세존예일묘(却憶世尊禮一廟) 금세(今世)의 사람이 보고서 환희를 짓는 것은 전세(前世)에 사람을 보고 환희한 연고로다 일찰나제(一刹那際)에 삼세(三世)가 융.. 태화당수세록 2019.08.04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도화(桃花) 도화(桃花) 재견도화직소의(才見桃花直消疑) 증경삼십년발섭(曾經三十年跋涉) 영운오처견야마(靈雲悟處見也麽) 절기촉배도화협(切忌觸背桃花頰) 현사추미유래유(玄沙皺眉有來繇) 도각찰간시가섭(倒却刹竿是迦葉) 도원동리화개처(桃源洞裏花開處) 부대춘풍불론겁(不待春風不論劫) 겨.. 태화당수세록 2019.08.04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가불가(可不可) 가불가(可不可) 십만리래대양왕(十萬里來對梁王) 지소개구도불식(只消開口道不識) 춘지화개무한의(春至花開無限意) 멱개불식인난득(覓個不識人難得) 여환작화이불가(余喚作花爾不可) 양불성쌍일불척(兩不成雙一不隻) 석화일휘천외거(石火一揮天外去) 적멸성중막문멱(寂滅性中莫問覓).. 태화당수세록 2019.08.04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창도(唱導) 창도(唱導) 난봉홍곡비범조(鸞鳳鴻鵠非凡鳥) 생회능소절파조(生懷凌霄截波操) 오도광중비상사(悟道匡衆非常師) 찬탄고금제창도(讚歎古今諸唱導) 난봉(鸞鳳)과 홍곡(鴻鵠)은 범상한 새가 아니므로 태어나자 하늘에 오름과 파도를 가를 지조를 품었도다 도를 깨치고 광중(匡衆)함은 범상.. 태화당수세록 2019.08.04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감응(感應) 감응(感應) 이락위요삼간옥(籬落圍繞三間屋) 후원황죽전계간(後園篁竹前溪澗) 야래도등열고서(夜來挑燈閱古書) 차아소시장래안(此我少時將來案) 유원감응여곡향(有願感應如谷響) 오도령중수성단(悟道領衆須誠丹) 암사여지금활계(暗思余之今活計) 추정무사이단단(推定無嗣已斷斷) 울.. 태화당수세록 2019.08.04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본분(本分) 본분(本分) 호위인사유상환(好爲人師儒尙患) 출세간인하불신(出世間人何不愼) 이도유쾌아형소(爾刀愈快我硎消) 유인혐타불문신(有人嫌他不問訊) 법막선어본분사(法莫先於本分事) 말계난봉출격인(末季難逢出格人) 사가탄복과잔춘(乍可坦腹過殘春) 불위빙자분시진(不爲憑慈奔市塵) 사.. 태화당수세록 2019.08.04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영춘주(迎春酒) 영춘주(迎春酒) 삽삽동풍잡지래(颯颯東風帀地來) 하재약간춘소식(下載若干春消息) 여하일완영춘주(如何一椀迎春酒) 갱대삼월난만끽(更待三月爛漫喫) 산들산들 봄바람이 땅을 맴돌며 와서 약간의 봄소식을 하재(下載)하나니 어찌 한 사발의 영춘주(迎春酒)를 다시 삼월의 난만함을 기다.. 태화당수세록 2019.08.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