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무창(無瘡) 무창(無瘡) 승견저환(蠅見蛆歡) 난수봉무(鸞隨鳳舞) 노견비은근(奴見婢慇懃) 의심성처주(蟻尋腥處走) 노배지소둔철다(爐鞴之所鈍鐵多) 양의문내병자주(良醫門內病者足) 횡재불부명궁인(橫財不富命窮人) 명의고황난하수(名醫膏肓難下手) 염추수불시방행할(拈椎竪拂施棒行喝) 삼대수시.. 태화당수세록 2019.08.05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고언(苦言) 고언(苦言) 소승전관대승정삭(小乘錢貫大乘井索) 유루조리무루목작(有漏笊籬無漏木杓) 가사일단풍류사(袈裟一段風流事) 불시고심인불식(不是苦心人不識) 소승(小乘)은 전관(錢貫)이요 대승(大乘)은 정삭(井索)이며 유루(有漏)는 조리(笊籬)요 무루(無漏)는 목작(木杓)이로다 가사(袈裟)의.. 태화당수세록 2019.08.05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폄박(貶剝) 폄박(貶剝) 양산박리칭호걸(梁山泊裏稱豪傑) 간래도시불량인(看來都是不良人) 간타본사초생하시(看他本師初生下時) 지천지지유아독존(指天指地唯我獨尊) 무인지죄죄가지(誣人之罪罪加之) 귀도태평시운문(貴圖太平是雲門) 진금약불경로야(眞金若不經爐冶) 즘득광화철저선(怎得光華徹.. 태화당수세록 2019.08.05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무목(無目) 무목(無目) 견면불여문명(見面不如聞名) 천목귀이다반(賤目貴耳茶飯) 운재천수재병(雲在天水在甁) 기개불피열만(幾個不被熱瞞) 막인제방지두선(莫認諸方指頭禪) 수지갱유무목한(須知更有無目漢) 얼굴을 봄이 이름을 들음만 같지 못함이여 눈을 천(賤)하게 여기고 귀를 귀히 여김이 다반.. 태화당수세록 2019.08.05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괴괴(怪壞) 괴괴(怪壞) 남천피타토지견(南泉被他土地見) 토지전하일분반(土地前下一分飯) 견괴불괴기괴괴(見怪不怪其怪壞) 낙화수류수무련(落花隨流水無戀) 남천(南泉)이 저 토지신(土地神)의 봄을 입고는 토지신 앞에 일분(一分)의 밥을 내리게 했도다 괴이를 보고 괴이히 여기지 않으면 그 괴이가.. 태화당수세록 2019.08.05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대은(大隱) 대은(大隱) 염관회하주사승(鹽官會下主事僧) 칠일타피귀사장(七日躱避鬼使掌) 장천하어천하이(藏天下於天下易) 대은종래은시장(大隱從來隱市場) 염관회하(鹽官會下)의 주사승(主事僧)은 칠 일 만에 귀사(鬼使)의 손아귀를 피했도다 천하를 천하에 숨김은 쉽나니 대은(大隱)은 종래로 시.. 태화당수세록 2019.08.05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반일한(半日閑) 반일한(半日閑) 백운귀동본무심(白雲歸洞本無心) 유수하산비유한(流水下山非有恨) 인간백년성하사(人間百年成何事) 불급승가반일한(不及僧家半日閑) 백운이 골에 돌아가매 본래 무심하고 유수가 하산함도 한이 있지 않거늘 인간의 백 년에 무슨 일을 성취하는가 승가(僧家)의 한나절 한.. 태화당수세록 2019.08.04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수년전(隨年錢) 수년전(隨年錢) 행친중승수년전(行䞋衆僧隨年錢) 무인타산성승년(無人打算聖僧年) 천상지하무미륵(天上地下無彌勒) 수여안명세간전 (誰與安名世間傳) 중승(衆僧)에게 수년전(隨年錢)의 보시를 행하는데 성승(聖僧)의 나이를 타산(打算)하는 사람이 없도다 천상과 지하에 미륵(彌勒)이 없.. 태화당수세록 2019.08.04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수고우(水牯牛) 수고우(水牯牛) 환작위산수고우(喚作潙山水牯牛) 호위수고각영우(呼爲水牯却靈祐) 좌협분명서오자(左脇分明書五字) 부지서체문옥수(不知書體問阿誰) 위산(潙山)이라고 불러 지으려 하니 수고우(水牯牛)요 수고우라고 부르려 하니 도리어 영우(靈祐)로다 왼쪽 옆구리에 분명히 다섯 글자.. 태화당수세록 2019.08.04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처파(覰破) 처파(覰破) 요오즉이미즉난(要悟卽易迷卽難) 심외무법만목산(心外無法滿目山) 여금처파저일념(如今覰破這一念) 처파여금처지한(覰破如今覰底漢) 깨닫고자 하면 곧 쉽지만 미(迷)하기는 곧 어렵나니 마음 밖에 법이 없어 눈 가득히 산이로다 여금(如今)에 이 일념을 처파(覰破)하고서 여.. 태화당수세록 2019.08.04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풍번(風幡) 풍번(風幡) 불시풍혜불시번(不是風兮不是幡) 도화연년이월탄(桃花年年二月綻) 홀지우후이영락(忽地雨後已零落) 반수풍비반수탄(半隨風飛半隨灘) 이 바람이 아니고 이 깃발도 아님이여 도화(桃花)는 해마다 이월에 터지더라 홀지(忽地)에 비 온 후 이미 떨어지매 반은 바람 따라 날고 반.. 태화당수세록 2019.08.04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일일신(日日新) 일일신(日日新) 거자사무흔(去者似無痕) 내자여유면(來者如有面) 춘조제춘지(春鳥啼春枝) 춘어롱춘연(春魚弄春淵) 동풍유불기지력(東風有不欺之力) 경기만상일일신(驚起萬象日日新) 가는 자는 흡사 흔적이 없는 듯하고 오는 자는 마치 얼굴이 있음 같나니 춘조(春鳥)는 춘지(春枝)에 지.. 태화당수세록 2019.08.04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서약(誓約) 서약(誓約) 태화당주자서약(泰華堂主自誓約) 거양법요존아객(擧揚法要尊雅客) 행친단월대이례(行䞋檀越待以禮) 필사한인시가적(匹似閑人視家賊) 입문편할임제기(入門便喝臨濟機) 분상중말조주책(分上中末趙州策) 관대왕래백천반(管待往來百千般) 이향강남아지북(爾向江南我之北) 태.. 태화당수세록 2019.08.04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청대(靑黛) 청대(靑黛) 팔십파파화경미(八十婆婆畵鏡眉) 감소심중잔풍류(堪笑心中殘風流) 하사우과춘산후(何似雨過春山後) 천총만훼발청대(千叢萬卉發靑黛) 팔십파파(八十婆婆)가 거울의 눈썹을 그리나니 가히 우스워라 심중에 풍류가 남았구려 어찌 비가 춘산(春山)을 지난 후 천총만훼(千叢萬卉).. 태화당수세록 2019.08.04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호구(好狗) 호구(好狗) 문불자다작불희(問佛者多作佛稀) 즉심즉불신자수(卽心卽佛信者誰) 호구불교인시궐(好狗不咬人屎橛) 기개남아시장부(幾個男兒是丈夫) 부처를 묻는 자는 많지만 부처를 짓는 자는 드무나니 곧 마음이 곧 부처임을 믿는 자가 누구더뇨 호구(好狗)는 사람의 똥막대기를 물지 않.. 태화당수세록 2019.08.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