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원(遙遠)
) -->
권군불용빈빈거(勸君不用頻頻擧)
거득빈빈치서어(擧得頻頻致齟齬)
하황지음암리증(何況知音暗裏證)
일추타취선가어(一椎打就禪家語)
권군불용분명어(勸君不用分明語)
어득분명전난처(語得分明轉難覰)
우공의심차일사(又恐擬心蹉一絲)
대면홀성만리허(對面忽成萬里許)
) -->
그대에게 권하노니 자주자주 듦을 쓰지 말지니
자주자주 듦을 얻으면 어긋남에 이르게 되느니라
어찌 하물며 지음(知音)은 어둠 속에서 증명하며
한 몽둥이로 타취(打就)함이 선가(禪家)의 언어임에랴.
그대에게 권하노니 분명한 언어를 쓰지 말지니
말이 분명함을 얻으면 더욱 엿보기 어렵느니라
또 염려하노니 마음에 헤아리되 한 실낱만큼 어긋나면
대면(對面)하매 홀연히 만리(萬里)가량 이루느니라.
제목 요(遙)는 멀 요. 요원(遙遠)은 아주 먼 것. 까마득함.
1~4행 지음(知音)은 자주자주 듦에 있지 않나니 달자(達者)는 모름지기 어둠 속에서 놀람을 알아야 하리라 (知音不在頻頻擧 達者須知暗裏驚) [空谷集卷一 十五則]. 서(齟)는 이 어긋날 서, 저. 어(齬)는 이 어긋날 어. 치(致)는 이를 치. 타취(打就)는 두드려 만드는 것.
5~8행 그대에게 분명한 언어를 쓰지 말기를 권하노니 언어가 분명함을 얻으면 벗어나기가 더욱 어렵느니라 (勸君不用分明語 語得分明出轉難) [空谷集卷一 五則]. 마음에 헤아리되 만약 한 실낱만큼 어긋나면 대면(對面)하매 홀연히 천만 리를 이루느니라 (擬心若蹉一絲頭 對面忽成千萬里. 頭는 助字) [空谷集卷一 十八則]. 처(覰)는 엿볼 처. 허(許)는 조자(助字).
'태화당수세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무공(無功) (0) | 2019.08.05 |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탄지(彈指) (0) | 2019.08.05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경초(莖草) (0) | 2019.08.05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오유(遨遊) (0) | 2019.08.05 |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진경(眞景) (0) | 2019.08.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