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사묘두(死猫頭) 사묘두(死猫頭) 몽경미성권돈점(夢境未醒權頓漸) 명근미단작공유(命根未斷勺空有) 욕식가중단적의(欲識可中端的意) 가중막약사묘두(價重莫若死猫頭) 몽경(夢境)을 깨지 못해 돈점(頓漸)을 저울질하고 명근(命根)이 끊어지지 못해 공유(空有)를 잔질하나니 그 가운데 단적(端的)한 뜻을 .. 태화당수세록 2019.08.04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회광(回光) 회광(回光) 제불제조설방편(諸佛諸祖設方便) 해묵서이종난진(海墨書而終難盡) 욕식불조회광처(欲識佛祖回光處) 운자유유수자린(雲自悠悠水自粼) 제불제조(諸佛諸祖)가 시설(施設)하신 방편은 바다를 먹으로 해서 쓰더라도 마침내 다하기 어렵나니 불조(佛祖)의 회광처(回光處)를 알고자.. 태화당수세록 2019.08.04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무등등(無等等) 무등등(無等等) 불괴가명설법성(不壞假名說法性) 시대반야무등등(是大般若無等等) 설유과차시잉어(設有過此是剩語) 의착정채가성성(宜著精彩加惺惺) 가명(假名)을 부수지 않고 법성(法性)을 설하나니 이 대반야(大般若)가 무등등(無等等)하도다 설사 이를 초과함이 있더라도 이는 잉어(.. 태화당수세록 2019.08.04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벽암록(碧巖錄) 벽암록(碧巖錄) 삽여년전초학시(卅餘年前初學時) 흑지자혜백지지(黑底字兮白底紙) 역해서간장십재(譯解書刊將十載) 유구색인부의미(有求索人付意味) 고사소각계학어(杲師燒却戒學語) 지금유통일장수(至今流通一場愁) 말지하시한벽암(抹底何啻限碧巖) 간타본사열반시(看他本師涅槃時).. 태화당수세록 2019.08.04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증보현구집(增補玄句集) 증보현구집(增補玄句集) 망라장경약간외전(網羅藏經若干外典) 현묘장구초역서간(玄妙章句抄譯書刊) 차시산승결정집(此是山僧決定集) 신백년후류세간(信百年後流世間) 장경(藏經)을 망라(網羅)했고 외전(外典)이 약간이니 현묘한 장구(章句)를 초역(抄譯)하고 써서 간행했도다 이것은 이.. 태화당수세록 2019.08.04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한중망(閑中忙) 한중망(閑中忙) 욕수부전주야면(欲睡不拴晝夜眠) 유겸불소허다한(唯慊不消許多閑) 불수출문위산수(不須出門圍山水) 한살산거첨일한(閑煞山居添一閑) 사금강경일천편(寫金剛經一千遍) 남독장경일만권(覽讀藏經一万卷) 불시과능지정한(不是誇能只呈閑) 유여인간작문견(留與人間作聞見).. 태화당수세록 2019.08.04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입춘(立春) 입춘(立春) 봉설계빙외춘신(峯雪溪氷畏春信) 유안행아함은근(柳眼杏芽含慇懃) 춘우성비견요미(春牛聲肥犬搖尾) 일도춘광만물신(一道春光萬物新) 춘풍무사제착력(春風無私齊著力) 천총만훼자단장(千叢萬卉自短長) 욕도일리현차별(欲覩一理現差別) 하수갱대농춘장(何須更待濃春場) 산.. 태화당수세록 2019.08.04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권학(勸學) 권학(勸學) 건곤일월고래동(乾坤日月古來同) 도체불변역여연(道體不變亦如然) 거성시요인의심(去聖時遙人疑深) 병다약증해불변(病多藥增奚不辨) 무유불학성대기(無有不學成大器) 유승유고시명산(愈升愈高是名山) 대도허확무변제(大道虛廓無邊際) 홍지불홍유재인(弘之不弘惟在人) 건.. 태화당수세록 2019.08.04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원단(元旦) 泰華堂隨歲錄卷中 平心寺主 泰華淨圓 譔 檀紀 4336(2003)年 癸未 원단(元旦) 작환금조시신년(昨喚今朝是新年) 금호작야작구년(今呼昨夜作舊年) 물불천의여하회(物不遷義如何會) 신년신춘신설연(新年新春新雪娟) 일상월하본무심(日上月下本無心) 유인도무수세단(幽人都無守歲丹) 수연연두.. 태화당수세록 2019.08.04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대춘(待春) 대춘(待春) 백은세계설하전(白銀世界雪下展) 안리이리절진연(眼裏耳裏絶塵緣) 서작지상어즐즐(瑞鵲枝上語喞喞) 성대전한보신년(聲帶餞寒報新年) 이현전무반회세(離弦箭無返回勢) 창안해파저신년(蒼顔奚怕抵新年) 두백치황일불로(頭白齒黃一不老) 조유수양방초변(蚤遊垂楊芳草邊) 백.. 태화당수세록 2019.08.04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세야우(歲夜友) 세야우(歲夜友) 소통설로재방삽(疏通雪路才放臿) 농설조음은뇌후(雪嘲音听腦後) 제설임타신춘풍(除雪任他新春風) 다사설위세야우(多謝雪爲歲夜友) 눈길을 소통하고서 겨우 삽을 내려놓으매 농설(雪)의 조롱하는 소리가 머릿골 뒤에 들리네 제설(除雪)을 저 신춘(新春)의 바람에 맡기나.. 태화당수세록 2019.08.04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무반(無伴) 무반(無伴) 야우새신춘지윤(夜雨賽新春之潤) 사야비소생지인(四野備蘇生之氤) 전한송랍연년사(餞寒送臘年年似) 추창풍류점무빈(惆悵風流漸無賓) 밤 비가 신춘의 윤기(潤氣)를 갖추고 사야(四野)가 소생의 기운을 구비하였네 추위를 전송하고 납월을 보냄은 해마다 비슷하나 풍류에 점차.. 태화당수세록 2019.08.04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신승(新繩) 신승(新繩) 유수생애구과령(流水生涯駒過欞) 부운만사설전정(浮雲萬事雪塡井) 목전계미배임오(目前癸未背壬午) 해구풍삭계신승(解舊風索繫新繩) 유수(流水)의 생애(生涯)는 망아지가 창살을 지나감이요 부운(浮雲)의 만사(萬事)는 눈으로 우물을 메움이로다 목전은 계미년이요 배후는 .. 태화당수세록 2019.08.04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겁외춘(劫外春) 겁외춘(劫外春) 연년연진소구진(年年年盡掃舊塵) 신년갱유신년진(新年更有新年塵) 소료소료멸무여(掃了掃了滅無餘) 쟁나소진유부진(爭奈掃盡有不盡) 소각말각경진사(掃却抹却經塵沙) 반복원래시자한(反復元來是者漢) 소자초추구포각(掃者苕帚俱抛却) 임운등등겁외가(任運騰騰劫外歌).. 태화당수세록 2019.08.04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진의(盡意) 진의(盡意) 서부진선의개구(書不盡宣宜開口) 어시성진기진의(語是聲塵豈盡意) 융한설야월공명(隆寒雪夜月空明) 의무진혜설불휴(意無盡兮說不休) 글로 다 밝히지 못하면 마땅히 입을 열어야 하지만 말은 이 성진(聲盡)이거늘 어찌 뜻을 다하랴 융한(隆寒)의 설야(雪夜)에 달이 허공에 밝.. 태화당수세록 2019.08.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