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지음(知音) 지음(知音) 득봉지음사중금(得逢知音沙中金) 간타백아절현금(看他伯牙絶弦琴) 인전창박아불능(人前唱拍我不能) 지향청송구래음(祇向靑松舊來吟) 지음(知音)을 득봉(得逢)함은 모래 중의 금이니 저 백아(伯牙)가 현금(弦琴)을 끊음을 보아라 사람 앞에서 창박(唱拍)함은 내가 능하지 못하.. 태화당수세록 2019.08.04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지조(志操) 지조(志操) 석일경심금일소(昔日傾心今日疎) 세한봉교철석조(世罕鳳膠鐵石操) 부생하필수일궐(浮生何必守一橛) 숙공후윤매조소(孰恐後胤罵嘲笑) 시습가도유문재(時習賈島有文才) 능승능속수칭조(能僧能俗誰稱操) 심산탄복무위승(深山坦腹無爲僧) 유승시사창불조(猶勝市肆唱佛祖) 석.. 태화당수세록 2019.08.04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호단(毫端) 호단(毫端) 석일관전여생원(昔日觀前餘生遠) 금일고후역년단(今日顧後歷年短) 수선장강애오생(誰羨長江哀吾生) 수지자타일호단(須知自他一毫端) 석일(昔日)에 앞을 보매 여생이 먼 듯하더니 금일에 뒤를 돌아보매 지난 세월이 짧은 듯하구나 누가 장강(長江)을 부러워하고 우리의 생을 .. 태화당수세록 2019.08.04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미생(未生) 미생(未生) 수집석노진토시(手執石砮趂兎時) 거측기마렵호시(詎測騎馬獵虎兕) 감소총포살기개(堪笑銃砲殺幾個) 불원핵탄구병기(不遠核彈舊兵器) 불소일날천지괴(不消一捏天地壞) 지용일취세계기(只庸一吹世界起) 물외가공제무기(勿畏可恐諸武器) 응수간취미생시(應須看取未生時) 손.. 태화당수세록 2019.08.04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근체(根蔕) 근체(根蔕) 설만산중일신고(雪滿山中一身孤) 휴류조경월하제(鵂鶹助煢月下啼) 공수래거피아동(空手來去彼我同) 오뇌무처심근체(懊惱無處尋根蔕) 눈 가득한 산중에 일신(一身)이 외로운데 부엉이가 외로움을 도와 달 아래 우는구나 빈손으로 오고 감은 저와 내가 한가진데 오뇌(懊惱)는 .. 태화당수세록 2019.08.04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지분(知分) 지분(知分) 만추설대풍류(晩秋雪帶風流) 우화비서혼몽유(雨花飛絮魂夢遊) 중동설함강개(仲冬雪含慷慨) 산전수율포모수(山戰樹慄布毛竪) 유시포유시폄(有時褒有時貶) 천망회회소불루(天網恢恢疎不漏) 축희미재인소기(祝釐弭災人所冀) 소욕지분부다수(少慾知分不多愁) 만추(晩秋)의 눈.. 태화당수세록 2019.08.04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일무명심(一無銘心) 일무명심(一無銘心) 재차열독제선록(再次閱讀諸禪錄) 무궁현변중탄식(無窮玄辯重歎息) 기찬곤면야잉어(飢餐困眠也剩語) 하구명심몰망각(何句銘心沒忘却) 재차 모든 선어록(禪語錄)을 열독(閱讀)하면서 무궁한 현변(玄辯)에 거듭 탄식하지만 주리면 삼키고 곤하면 잔다 함도 또한 잉어(.. 태화당수세록 2019.08.04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소요(逍遙) 소요(逍遙) 하중습도고(夏中濕度高) 동리태건조(冬裏太乾燥) 다과구시환(多寡俱是患) 시고중생고(是故衆生苦) 긴완득기중(緊緩得其中) 금슬음률조(琴瑟音律調) 학도역여시(學道亦如是) 절기락편고(切忌落偏枯) 신득극편의(信得極便疑) 의득극편오(疑得極便悟) 유예야호의(猶豫野狐疑) .. 태화당수세록 2019.08.04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조도(鳥道) 조도(鳥道) 야화부재배(野花不栽培) 세인애기요(世人愛其妖) 불측역순경(不測逆順境) 응수자가조(應守自家操) 소아자태다(笑我者太多) 지아자극소(知我者極少) 불시행조도(不是行鳥道) 촉도봉기로(觸途逢岐路) 들꽃은 재배하지 않아도 세인(世人)이 그 요염(妖艶)을 사랑하나니 불측(不.. 태화당수세록 2019.08.04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후생가외(後生可畏) 후생가외(後生可畏) 유포망추왕(柳蒲望秋尫) 송백설후총(松柏雪後蔥) 부생인인동(浮生人人同) 유유종무종(有有終無終) 인무결정지(人無決定志) 기생사축생(其生似畜生) 생래사거동(生來死去同) 수지외후생(須知畏後生) 취생여몽사(醉生與夢死) 무론자타제(無論自他齊) 경군동중인(驚群.. 태화당수세록 2019.08.04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동지(冬至) 동지(冬至) 군음박진일양복(群陰剝盡一陽復) 생생멸멸마겁석(生生滅滅磨劫石) 본무음양무생멸(本無陰陽無生滅) 하필현녀문제석(何必賢女問帝釋) 동도한식일백오(冬到寒食一百五) 금세여시내년역(今歲如是來年亦) 일편청광요금고(一片淸光耀今古) 막위구득구부득(莫謂構得構不得) 군.. 태화당수세록 2019.08.04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후후(齁齁) 후후(齁齁) 사참막참하자시(使參莫參何者是) 교오물오나개비(敎悟勿悟那個非) 참도무참시철두(參到無參始徹頭) 오료무오권시비(悟了無悟權是非) 정찬부중포인끽(精饌不中飽人喫) 기시박탁유향이(飢時餺飥猶香餌) 불시일도기철골(不是一度飢徹骨) 포후후지안득지(飽齁齁地安得知) 참(.. 태화당수세록 2019.08.04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제일보(第一步) 제일보(第一步) 괴안국리환희희(槐安國裏歡嬉嬉) 한단침상탄오오(邯鄲枕上嘆嗚嗚) 자도자기역천겁(自倒自起歷千劫) 한유인지무금고(罕有人知無今古) 희희다시오오다(嬉嬉多時嗚嗚多) 가성고처곡성고(歌聲高處哭聲高) 종이부시미증휴(終而復始未曾休) 수지정도제일보(誰知程途第一步).. 태화당수세록 2019.08.04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일성(一聲) 일성(一聲) 재칭나무도산최(才稱南無刀山摧) 성발아미확탕후(聲發阿彌鑊湯涸) 건립소탕재아리(建立掃蕩在我裏) 좌고우혜일물무(左顧右盻一物無) 부득주일물무(不得住一物無) 무물완연목전휘(無物宛然目前輝) 별별(別別) 염득비공실각구(拈得鼻孔失却口) 겨우 나무(南無)를 일컬으매 도.. 태화당수세록 2019.08.04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염장(鹽醬) 염장(鹽醬) 결발부부의의다(結髮夫婦依依多) 위부화미규방사(爲婦畵眉閨房私) 공사조율세간활(公私調律世間滑) 염장불궐종문사(鹽醬不闕宗門事) 결발부부(結髮夫婦)는 의의(依依)함이 많나니 부인을 위해 눈썹을 그림은 규방의 사사로움이로다 공사(公私)가 조율(調律)해야 세간이 원활.. 태화당수세록 2019.08.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