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화광동진(和光同塵) 화광동진(和光同塵) 미오개몽오자론(迷悟皆夢悟者論) 미자난측오자언(迷者難測悟者言) 오료동미무별사(悟了同迷無別事) 난여감와론건곤(難與坎䵷論乾坤) 수무궁자산무진(水無窮者山無盡) 수궁산진수전신(水窮山盡須轉身) 보살만행난가측(菩薩萬行難可測) 백초두상현반신(百草頭上現.. 태화당수세록 2019.08.04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명도(明道) 명도(明道) 오도유이명도난(悟道猶易明道難) 응용지재신불신(應用只在信不信) 마외하증여아수(魔外何曾與我讐) 징담불허창룡반(澄潭不許蒼龍蟠) 오도(悟道)는 오히려 쉽지만 명도(明道)는 어렵나니 응용(應用)함은 단지 믿음과 믿지 않음에 있도다 마외(魔外)가 어찌 일찍이 나와 더불어.. 태화당수세록 2019.08.04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법폐(法弊) 법폐(法弊) 오가종지극미묘(五家宗旨極微妙) 법구폐흥교인란(法久弊興敎人亂) 약사달마재서래(若使達磨再西來) 부지거농작하안(不知渠儂作何顔) 오가(五家)의 종지(宗旨)가 극히 미묘하지만 법이 오래되매 폐단이 일어나 사람으로 하여금 혼란케 하나니 만약 달마로 하여금 다시 서쪽에.. 태화당수세록 2019.08.04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망심(忘心) 망심(忘心) 망물유이망아난(忘物猶易忘我難) 망심난어망아난(忘心難於忘我難) 망도망극무망처(忘到忘極無忘處) 불조위사해위난(佛祖爲師奚爲難) 사물을 잊음은 오히려 쉽지만 나를 잊기는 어렵고 마음을 잊기는 나를 잊는 어려움보다 어렵나니 잊어 잊음이 다해 잊을 게 없는 곳에 이르.. 태화당수세록 2019.08.04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공실(空室) 공실(空室) 적입공실투심휴(賊入空室偸心休) 오후경상역여시(悟後景象亦如是) 부증일도통신한(不曾一度通身汗) 욕휴투심무휴시(欲休偸心無休時) 도둑이 빈 방에 들어가야 투심(偸心)이 쉬나니 깨친 후의 경상(景象)도 또한 이와 같도다 일찍이 한 차례 온몸에 땀 흘리지 않았다면 투심(.. 태화당수세록 2019.08.04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무위진인(無爲眞人) 무위진인(無爲眞人) 시도맹춘한(時到孟春寒) 빙설처처잔(氷雪處處殘) 초목곤충류(草木昆蟲類) 선각비춘안(先覺非春顔) 설무한인의(雪無寒人意) 화기용인견(花豈容人見) 인흥분별심(因興分別心) 만상상현면(萬象嘗見面) 욕궁본말자(欲窮本末者) 이락단상관(已落斷常關) 강립일○상(强立.. 태화당수세록 2019.08.04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재생백(哉生魄) 재생백(哉生魄) 월랑원어원소원(月朗圓於元宵圓) 조파무한사바진(照破無限娑婆塵) 인인도망이삼원(人人禱望二三願) 거원성취아원진(渠願成就我願盡) 달이 밝아 원소(元宵)의 뚜렷함보다 뚜렷하나니 무한한 사바(娑婆)의 진로(塵勞)를 비추어 타파했도다 사람마다 두 세 가지의 소원(所.. 태화당수세록 2019.08.04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원소(元宵) 원소(元宵) 월원월결각십마(月圓月缺覺什麽) 세단원소거기하(歲旦元宵距機何) 원월이반섬광원(元月已半蟾光圓) 탄각건곤토산하(呑却乾坤吐山河) 달이 차고 달이 이지러지매 무엇을 깨닫는가 세단(歲旦)과 원소(元宵)의 거리가 얼마이던가 원월(元月)이 이미 반이라 달빛이 뚜렷하나니 .. 태화당수세록 2019.08.04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무은호이(無隱乎爾) 무은호이(無隱乎爾) 휴수종지후가풍(休樹宗旨詡家風) 공곡무향이무성(空谷無響耳無聲) 가유가무비유무(假有假無非有無) 하유일법가당정(何有一法可當情) 불조무실법여인(佛祖無實法與人) 인의조불유비장(人疑祖佛有秘藏) 무은호이두두현(無隱乎爾頭頭顯) 개리나유단여장(箇裏那有短.. 태화당수세록 2019.08.04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홍도(弘道) 홍도(弘道) 산불염고이쟁영(山不厭高而崢嶸) 해불염원이묘망(海不厭遠以渺茫) 주단속야정근인(晝短續夜精勤人) 역무피염상분망(亦無疲厭常奔忙) 천무휴식사시행(天無休息四時行) 지무휴식만물생(地無休息萬物生) 도불홍인인홍도(道不弘人人弘道) 조차리신도불행(造次離身道不行) 산.. 태화당수세록 2019.08.04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인과(因果) 인과(因果) 마롱지려불견손(磨礱砥礪不見損) 종수축양불견익(種樹蓄養不見益) 일정월매도적기(日征月邁到適期) 수인결과호불특(修因結果毫不忒) 숫돌에 갈매 손상됨이 보이지 않고 나무를 심어 축양(蓄養)하매 증익(增益)이 보이지 않지만 날이 가고 달이 가서 적기(適期)에 이르면 수인.. 태화당수세록 2019.08.04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비판(裨販) 비판(裨販) 구리구도고불겸(求利求道固不兼) 비판여래금고다(裨販如來今古多) 전단이란향형별(旃檀伊蘭香逈別) 기인반혼기인사(幾人反魂幾人死) 재리(財利)를 구함과 도를 구함은 본래 겸하지 못하거늘 여래(如來)를 비판(裨販)함이 금고(今古)에 많더라 전단(旃檀)과 이란(伊蘭)은 향이 .. 태화당수세록 2019.08.04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일심(一心) 일심(一心) 강시일심기만단(綱是一心紀萬端) 법해굉활노난변(法海宏闊路難辨) 오가종지극교묘(五家宗旨極巧妙) 난만수수방관안(難瞞袖手傍觀眼) 강(綱)은 이 일심(一心)이나 기(紀)는 만단(萬端)이니 법해(法海)가 굉활(宏闊)해 길을 분변키 어려워라 오가(五家)의 종지(宗旨)가 극히 교묘.. 태화당수세록 2019.08.04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사우(四友) 사우(四友) 유로심사유고담(愈老心思愈枯淡) 불압인정취규구(不狎人情就規矩) 세한아사선가인(世罕雅士鮮佳人) 하사설월풍화우(何似雪月風花友) 늙을수록 심사(心思)가 더욱 고담(枯淡)해져 인정을 친압(親狎)하지 않고 규구(規矩)를 좇노라 세상엔 아사(雅士)가 드물고 가인(佳人)이 적.. 태화당수세록 2019.08.04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3년 보조국사(普照國師) 보조국사(普照國師) 나유원효선휴정(羅有元曉鮮休靜) 여유지눌시고성(麗有知訥是古聖) 근래혹유폄보조(近來或有貶普照) 이관규천려측명(以管窺天蠡測溟) 우담불시등한개(優曇不是等閑開) 성왕출세유봉황(聖王出世喩鳳凰) 성사비여산여해(聖師譬如山與海) 궤첨호감기증애(簣添戽減豈.. 태화당수세록 2019.08.0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