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9책(ㅊㅍ)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9책(ㅊㅋㅌㅍ) 992쪽

태화당 2019. 12. 25. 11:01


지가라(辟支迦羅) 벽지가라(辟支迦羅).

) --> 

피지불(辟支佛) 벽지불(辟支佛).

) --> 

피지불승(辟支佛乘) 벽지불승(辟支佛乘).

) --> 

彼此寸長尺短彼此齊等 又各有所長也 虛堂語錄二 智者和尙至 上堂 淨甁裏澡洗 古檮下修身 彼此寸長尺短

피차촌장척단(彼此寸長尺短) 피차 제등(齊等). 또 각기 소장(所長; 뛰어난 바)이 있음. 허당어록2. 지자화상이 이르렀다. 상당. 정병 속에서 조세(澡洗)하고 고도(古檮; 는 등걸) 아래에서 수신(修身)하나니 피차촌장척단(彼此寸長尺短)이다.

) --> 

披剃穿上僧衣 剃去頭髮 意指出家 五燈會元三五洩山靈默 初謁馬祖 遂得披剃受具

피체(披剃) 승의를 위에 입고 두발을 깎아 제거함이니 뜻이 출가를 가리킴. 오등회원3 오설산영묵. 처음에 마조를 참알했다. 드디어 피체(披剃)하고 수구(受具)함을 얻었다.

) --> 

皮草指利用動物的皮毛所制成的服裝 具有保暖的作用 [百度百科] 大慧語錄一 衲僧皮草久不乾 且喜日頭東畔出

피초(皮草) 동물의 피모(動物)를 이용하여 제성(制成)한 바의 복장을 가리킴. 보난(保暖)의 작용을 갖추고 있음 [백도백과]. 대혜어록1. 납승의 피초(皮草)가 오래도록 마르지 않더니 일두(日頭)가 동반(東畔)에서 나옴을 다만 기뻐한다.

) --> 

披緇穿上黑色僧衣 指出家爲僧 傳燈錄五司空本淨 幼歲披緇 于曹谿之室受記

피치(披緇) 흑색의 승의를 위에 입음이니 출가하여 승인이 됨을 가리킴. 전등록5 사공본정. 어린 나이에 피치(披緇)했고 조계의 실()에서 수기(受記)했다.


披緇服穿上黑色僧服 意指出家爲僧 五燈會元十八覺海法因 年二十四 披緇服 進具

피치복(披緇服) 흑색의 승복을 위에 입음이니 뜻이 출가하여 승인이 됨을 가리킴. 오등회원18 각해법인. 나이 24에 치복을 입었고(披緇服) 진구(進具)했다.

) --> 

披披飄動貌 宏智廣錄九 河闊斗寒雲靜夜 天無四壁風披披

피피(披披) 나부끼며 움직이는 모양. 굉지광록9. 강하는 넓고 북두는 차고 구름이 고요한 밤에, 하늘엔 사벽(四壁)이 없고 바람이 피피(披披)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