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문염송집주(30권) 332

선문염송집 권30 염송주 후서

拈頌註後序 始自昨年辛丑盂蘭盆供五日後 歷六個月 到今年壬寅上元節 此拈頌註國譯工作終了 合本註補註共一萬餘目 其張數些多於本文 翻韓期內注目些增 譯畢了不以左顧右眄 立地初刊一百五十部 願以此功德 冷灰堆裏豆爆 枯木枝頭花坼 鉅禪碩師數出 爲作指南木鐸 檀紀四三五五年 壬寅上元 平心寺主 淨圓謹序 작년 신축(辛丑; 2021) 우란분공(盂蘭盆供) 5일 후로부터 시작하여 6개월이 지난 금년 임인(壬寅; 2022) 상원절(上元節)에 이르러 이 염송주(拈頌註)의 국역공작(國譯工作)을 종료했다. 본주(本註)와 보주(補註)를 합쳐 공히 1만여 목(目)이니 그 장수(張數)는 본문보다 조금 많으며 번한(翻韓) 기간 내에 주목(注目)이 조금 증가했다. 번역을 마치자 좌고우면(左顧右眄)을 쓰지 않고 입지(立地; 즉시) 150부를 초간한다. 원컨대 이..

선문염송집 권30 증보염송발

增補拈頌*跋 宗門奧旨 布在方冊 學者耄於披究 先國師*眞覺 令門人等 採集古話 凡一千一百二十五則 并拈頌等語要 編爲三十卷 鋟木流行 然諸家語錄 時未全備 捃拾未周 以囑于後 *遷都時 不遑賷持 遂失其本 今*曺溪老師翁〈*淸眞國師〉 因其廢 更加商㩁 摭前所未見諸方公案 添三百四十七則 欲以重鐫 而因緣未契 禪師*萬宗〈斷俗寺住持〉 般若中來 乘夙願力 輸賄于海藏 分司募工彫鏤 以壽其傳 囑予爲誌 *姑書始末云 高麗高宗三十年癸卯(1243)仲秋 逸庵居士 *鄭晏跋 ●跋; 文體的一種 寫在書籍或文章的後面 多用以評介內用 或說明寫作經過等 ●眞覺; 師名慧諶(惠諶) 見上註序慧諶 ●遷都; 高麗高宗三十年(1243) 遷都于江華島 ●曺溪; 指曹溪山(全羅南道)修禪社(松廣寺) ●淸眞國師; 淸眞國師夢如(?-1252) 高麗時代全羅道松廣寺所出十六國師中第三位 樹師慧諶之碑 ..

선문염송집 권30 제1463칙

【一四六三】昔有婆子 供養一庵主 經二十年 常令女子 送飯給侍 一日令女子抱定云 正伊麽如何 庵主云 枯木倚寒嵓 三冬無暖氣 女子歸擧似婆 婆云 我二十年 只供養得箇俗漢 遂發起燒却庵 介庵朋頌 撿盡*三千條貫 更無情罪可斷 除非法外凌遲 不用*差官定驗 密庵傑擧此話云 這箇公案 叢林中少有拈提者 傑上座 裂破面皮 不免納敗一上 也要諸方撿點 乃召大衆云 這婆子 洞房深遠 水泄不通 便向枯木上*糝花 寒嵓中發焰 箇僧孤身逈逈 慣入洪波 等閑坐斷潑天潮 到底身無涓滴水 子細點撿將來 敲枷打鏁 卽不無二人 若是佛法 未夢見在 烏巨伊麽提持 意歸何處 良久云 一把柳條收不得 和風搭在玉欄干 ●第一四六三則; 五燈會元六 昔有婆子 供養一庵主 經二十年 常令一二八女子 送飯給侍 一日令女子抱定曰 正恁麼時如何 主曰 枯木倚寒巖 三冬無暖氣 女子擧似婆 婆曰 我二十年祗供養得箇俗漢 遂遣出 燒却..

선문염송집 권30 제1462칙

【一四六二】*龐婆入*鹿門寺作齋 維那請䟽意回向 龐婆拈梳子 插向髻後云 回向了也 便出去 慈受頌 龐婆移轉髻邊梳 一段風流擧世無 萬事但將公道斷 維那不用筆頭書 ●第一四六二則; 此話出善女人傳上 優婆夷志 ●龐婆; 龐行婆 唐代女居士 龐蘊居士之妻 蘊參石頭 深達祖道 已而還家 爲妻子說法 全家得道 [傳燈錄八 善女人傳上] ●鹿門寺; 位于湖北省襄陽縣城東南十五公里鹿門山 東漢建武(25-56)中 習郁立神祠于山北麓 刻二石鹿 立神道口 因稱神祠爲鹿門寺 西晉時改稱萬壽寺 唐代復稱鹿門寺 唐代有處眞丹霞等禪宗高僧 住此寺 孟浩然 龐蘊居士 皮日休 相繼隱居于此 宋政和(1111-1118)年間 最爲興盛 【一四六二】 방파(*龐婆)가 녹문사(*鹿門寺)에 들어가 작재(作齋)했다. 유나가 소의(䟽意)를 청하며 회향하라 했다. 방파가 빗(梳子; 子는 後綴)을 묶은 머리..

선문염송집 권30 제1461칙

【一四六一】昔有一行者 隨法師入佛殿 行者向佛而唾 法師曰 行者小去就 何以唾佛 行者曰 將無佛處來 與某甲唾 法師無對 *潙山大圓云 仁者却不仁者 不仁者却仁者 仰山代法師但唾行者 又云 行者若有語 卽向伊道 還我無行者處來 ●第一四六一則; 此話出聯燈會要二十九 五燈會元六 ●潙山大圓; 潙山靈祐 諡號大圓禪師 見上第三五五則靈祐 【一四六一】 옛적에 어떤 한 행자가 법사를 따라 불전에 들어갔다. 행자가 부처를 향해 침을 뱉았다. 법사가 가로되 행자가 거취(去就)가 적구나, 무엇 때문에 부처에게 침을 뱉느냐. 행자가 가로되 부처가 없는 곳을 가져와서 모갑이 침 뱉게 해 주십시오. 법사가 대답이 없었다. 위산대원(*潙山大圓)이 이르되 인자(仁者)가 도리어 불인자(不仁者)며 불인자가 도리어 인자다. 앙산(仰山)이 법사를 대(代)하되 단지 ..

선문염송집 권30 제1460칙

【一四六○】大宗皇帝 因入寺見僧看*仁王經 帝云 旣是寡人經 因甚麽在卿手裏 僧無對 悅齋居士頌 此事承當也大難 供通依實不堪看 相如若不誑秦主 *趙璧如何得出關 知非子頌 仁王之經 法王之詞 堯舜垂衣 無爲而爲 徧天徧地 擧世奉持 彼上人者 日用不知 雪竇顯代 皇天無親 唯德是輔 智海逸代 一人有慶 ●第一四六○則; 此話出聯燈會要二十九 ●仁王經; 有二本 舊本爲羅什譯 題曰佛說仁王般若波羅蜜經 二卷 又稱仁王護國般若波羅蜜經 仁王般若經 仁王經 新本爲不空譯 題曰仁王護國般若波羅蜜多經 亦二卷 略稱仁王護國經 新譯仁王經 仁王指當時十六大國之國王也 佛對諸王各護其國使之安穩 故爲說般若波羅蜜多深法之經文也 謂受持講說此經 則七難不起 災害不生 萬民豐樂 故古來公私皆爲禳災祈福讀誦之 皆收於大正藏第八冊 ●趙璧; 見上第二七六則連城璧 【一四六○】 태종황제(大宗皇帝)가, 입사(..

선문염송집 권30 제1459칙

【一四五九】*大宋大宗皇帝 因夜夢*神人請 陛下發菩提心 帝至曉 問*左右街僧 菩提心作麽生發 僧無對 霅溪益頌 魚畏龍顔上釣遟 滿舩空載月明歸 靈光爍爍籠金殿 天上人閒更有誰 知非子頌 夢發菩提感聖情 當時緇侶不能明 却思*忠老扶唐帝 云踏毗盧頂上行 雪竇顯代 實謂今古罕聞 智海逸代 誓願弘通 ●第一四五九則; 此話出聯燈會要二十九 ●大宋太宗; (939-997 在位976-997) 卽趙匡義 更名光義 又更名炅 在位二十一年 以十月十七日 爲乾明節 太平興國元年(976) 詔普度天下童子十七萬人 二年初 敕許恢復周世宗所廢龍興寺 賜額曰太平興國 三年 贊寧入朝 賜號通慧大師 敕住左街天寧寺 令修僧史 四年 詔贊寧往明州阿育王山 迎取舍利塔 入禁中供養 五年 敕張廷訓往五臺山造金銅文殊 菩薩像 奉安眞容院 敕張仁贊往成都鑄金銅普賢像 奉安峨嵋山普賢寺 詔建開聖禪寺奉優塡王旃壇瑞像 ..

선문염송집 권30 제1458칙

【一四五八】昔有兩僧各住庵 旬日不會 一日相見 上庵主乃問 多時不見 在什麽處 下庵主曰 在庵內 造箇無縫塔 上庵主曰 某甲也欲造箇無縫塔子 就師借取㨾子 可不 曰 何不早道 恰被人借去也 〈或曰遍擔山庵主〉 法眼云 且道 借伊㨾 不借伊㨾 ●第一四五八則; 此話出聯燈會要二十九 大同小異 【一四五八】 옛적에 두 중이 있어 각자 주암(住庵)했는데 순일(旬日; 열흘) 만나지 못했다. 어느 날 상견하자 상암주(上庵主)가 곧 묻되 많은 시일에 보지 못했는데 어느 곳에 있었는가. 하암주(下庵主)가 가로되 암내에 있으면서 저(箇) 무봉탑(無縫塔)을 만들었다. 상암주가 가로되 모갑도 저 무봉탑자(無縫塔子; 子는 조사)를 만들고 싶은데 스님에게 나아가 양자(㨾子; 樣式)를 차취(借取)한다면 가(可)한가. 가로되 왜 일찍 말하지 않았는가, 마침 타..

선문염송집 권30 제1457칙

【一四五七】*古德因僧問 曹溪路上 還有俗談也無 師云 六祖是盧行者 天童覺頌 直下無窠窟 不用求奇特 皓玉本無瑕 雕文喪君德 ●第一四五七則; 聯燈會要二十七智門光祚 問 曹溪路上 還有俗談也無 師云 六祖是盧行者 ●古德; 諸禪錄皆作智門光祚 【一四五七】 고덕(*古德)이, 중이 묻되 조계로상(曹溪路上)에 도리어 속담(俗談)이 있습니까 또는 없습니까 함으로 인해 스님이 이르되 6조는 이 노행자(盧行者)다. 천동각(天童覺)이 송하되 직하(直下)에 과굴(窠窟)이 없나니/ 기특을 구함을 쓰지 말아라/ 호옥(皓玉; 백옥)은 본래 티가 없거늘/ 문자를 새겨 군덕(君德)을 잃는다(喪). ●第一四五七則; 연등회요27 지문광조(智門光祚). 묻되 조계로상(曹溪路上)에 도리어 속담(俗談)이 있습니까 또는 없습니까. 스님이 이르되 6조는 이 노행..

선문염송집 권30 제1456칙

【一四五六】古德因僧問 一去不來時如何 德云 辜恩漢 僧云 一去却來時如何 德云 知恩漢 育王諶云 恩雖知 要且不報 或有問顯寧 一去不來時如何 *髮從今日白 一去却來時如何 花是去年紅 ●第一四五六則; 此話未詳所出 ●髮從今日白; 五燈會元十淸涼文益 師一日與李王論道罷 同觀牡丹花 王命作偈 師卽賦曰 擁毳對芳叢 由來趣不同 髮從今日白 花是去年紅 豔冶隨朝露 馨香逐晚風 何須待零落 然後始知空 王頓悟其意 【一四五六】 고덕(古德)이, 중이 묻되 한 번 가면 돌아오지 않을 때 어떻습니까 함으로 인해 고덕이 이르되 은혜를 저버린 자다. 중이 이르되 한 번 갔다가 돌아올(却來) 때 어떻습니까. 고덕이 이르되 은혜를 아는 자다. 육왕심(育王諶)이 이르되 은혜는 비록 알지만 요차(要且; 도리어) 갚지 못했다. 혹 어떤 이가 현녕(顯寧; 介諶)에게 묻..

선문염송집 권30 제1455칙

【一四五五】 肥田庵主 住庵三十年 祗使一箇*砂盆 一日被僧打破 主每日索砂盆 其僧前後買還 主皆隨手擲却云 不要這箇 還我舊底來 明招擧此話云 當恁麽時 作麽生祗對 免被他覔舊底 師代 但展開手云 和尙退後撿點 淨慈本擧此話代 當時 但地上 畫一圓相云 莫怪遲滯 ●第一四五五則; 此話未詳所出 ●砂盆; 用黏土爲原料燒製成的陶質盆類之一 【一四五五】 비전(肥田) 암주가 주암(住庵)하기 30년에 다만 1개의 사분(*砂盆)을 사용했는데 어느 날 중에게 타파됨을 입었다. 암주가 매일 사분을 찾자 그 중이 전후로 사서 돌려주었지만 암주가 다 수수(隨手)하여 던져버리고 이르되 이것을 요하지 않나니 나에게 예전 것을 송환해 오너라. 명초(明招)가 차화를 들고 이르되 이런 때를 당하여 어떻게 지대(祗對)해야 그에게 예전 것을 찾음을 입음을 면하겠는가..

선문염송집 권30 제1454칙

【一四五四】菩提庵〈在梅山南〉主 自見南泉後 唯在深嵓養性 庵內有一桶蜂子 或要蜜 以杖打桶三下 蜜便自出 卽爲常准 一日有僧問庵主 爲復道德所感 蜂子會人言語 庵主以杖打桶三下 其僧因此有省 淨嚴遂頌 大梅正令就中嚴 蜂蜜三敲不敢潜 採得百花成蜜後 到頭辛苦爲誰甛 ●第一四五四則; 此話未詳所出 【一四五四】 보리암(菩提庵)〈매산(梅山) 남쪽에 있음〉주(主)가 남천(南泉)을 참견함으로부터 오직 심암(深嵓)에 있으면서 양성(養性)했다. 암내에 1통(桶)의 봉자(蜂子; 벌)가 있었는데 혹 꿀이 필요하면 주장자로써 통을 세 번 때리면 꿀이 곧 스스로 나왔다. 곧 상준(常准; 定法. 原則)이 되었다. 어느 날 어떤 중이 암주에게 묻되 다시 도덕(道德)의 소감(所感; 감응하는 바)이 됩니까, 봉자(蜂子)가 사람의 언어를 이회합니까. 암주가 주..

선문염송집 권30 제1453칙

【一四五三】古德因僧問 如何是淸淨法身 德云 灰頭土面 又問古德 如何是淸淨法身 德云 絲毫不掛 淨慈本云 諸高德 且道 此兩則語 是同是別 然則塵中不染丈夫兒 且作麽生會 良久云 殺人可恕 無禮難容 喝一喝 ●第一四五三則; 聯燈會要十二神鼎鴻諲 問 如何是淸淨法身 師云 灰頭土面 續燈錄四浮山圓鑒 僧曰 如何是淸淨法身 師云 寸絲不掛 【一四五三】 고덕(古德)이, 중이 묻되 무엇이 이 청정법신입니까 함으로 인해 고덕이 이르되 회두토면(灰頭土面)이다. 또 고덕에게 묻되 무엇이 이 청정법신입니까. 고덕이 이르되 사호(絲毫; 실터럭)도 걸치지 않았다. 정자본(淨慈本)이 이르되 제고덕(諸高德)이여 그래 말하라, 이 양칙어(兩則語)가 이 같은가, 이 다른가. 그런 즉 진중(塵中)에서 오염되지 않는 장부아(丈夫兒)다. 그래 어떻게 이회하는가. 양..

선문염송집 권30 제1452칙

【一四五二】昔有老宿云 祖師九年面壁 爲訪知音 若恁麽會 將來喫䥫棒有日在 又一老宿云 祖師九年面壁 何不慚惶 若恁麽會 更買草鞋*錢 行脚三十年 瑯瑘云 旣不然 且道 祖師面壁意作麽生 良久云 欲得不招無間業 莫謗如來正法輪 ●第一四五二則; 此話出聯燈會要二十九 ●錢; 衍字 諸禪錄皆無錢字 【一四五二】 옛적에 어떤 노숙(老宿)이 이르되 조사가 9년 면벽했음은 지음(知音)을 심방(尋訪; 방문하여 찾아보다)하기 위해서이다. 만약 이렇게 이회한다면 장래에 철방(䥫棒)을 먹을 날이 있으리라. 또 한 노숙이 이르되 조사가 9년 면벽하면서 왜 참황(慚惶)하지 않았을까. 만약 이렇게 이회한다면 다시 짚신(草鞋*錢)을 사서 30년 행각해야 한다. 낭야(瑯瑘)가 이르되 이미 그렇지 않다면 그래 말하라, 조사가 면벽한 뜻이 무엇인가. 양구하고 이..

선문염송집 권30 제1451칙

【一四五一】昔有老宿 畜一童子 竝不知䡄則 有一行脚僧 到庵 乃敎示童子朝昏禮儀 其童晩見老宿外歸 遂去問訊 老宿俄然怪見 遂問阿誰敎汝 童曰 堂中上座 老宿尋喚其僧來問 上座傍家行脚 是什麽心行 這箇童子 養來二三年 幸自可憐生 誰敎上座敎壞伊 快*裝俶去 黃昏雨霖霖地 被他趂去 法眼徵云 古人恁麽顯露些子家風甚怪 且道 意在於何 ●第一四五一則; 此話出聯燈會要二十九 大同小異 ●裝俶; 整理行裝 【一四五一】 옛적에 어떤 노숙(老宿)이 한 동자를 길렀는데 모두 궤칙(䡄則)을 알지 못했다. 한 행각승(行脚僧)이 있어 암자에 이르러 이에 동자에게 조혼(朝昏)의 예의를 가르쳐 보였다. 그 동자가 저녁에 노숙이 밖에서 돌아옴을 보더니 드디어 가서 문신(問訊)했다. 노숙이 아연(俄然; 突然)히 괴이하게 보고는 드디어 묻되 누가 너를 가르쳤느냐. 동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