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橫點頭】 猶言搖頭 表示不同意 不首肯 參正點頭 ▲續傳燈錄二十八瞎堂慧遠 官人云 性命事如何 臣(瞎堂)云 老僧無性命 官人云 如何無 臣云 也無如何 官人遂搖頭云 第恐未是在 臣云 非但橫點頭未是 直饒正點頭也未是在 ▲五家正宗贊一巖頭奯 橫點頭三十載 謂洞山佛無光
횡점두(橫點頭) 요두(搖頭; 머리를 흔듦)라고 말함과 같음이니 동의하지 않음, 수긍하지 않음을 표시. 정점두(正點頭)를 참조하라. ▲속전등록28 할당혜원(瞎堂慧遠). 관인(官人)이 이르되 성명사(性命事)는 어떻습니까. 신(臣; 瞎堂)이 이르되 노승은 성명(性命)이 없습니다. 관인이 이르되 어찌하여(如何) 없습니까. 신이 이르되 또한 여하(如何)도 없습니다. 관인이 드디어 머리를 흔들며 이르되 다만(第) 옳지 않은가 염려스럽습니다. 신이 이르되 다만 횡점두(橫點頭)만 옳지 않음이 아니라 직요(直饒; 가령. 卽使) 정점두(正點頭)라도 옳지 않습니다. ▲오가정종찬1 암두할. 30재(載) 동안 횡점두(橫點頭)하면서 이르기를 동산(洞山)은 부처지만 무광(無光)이다.
) -->
【橫川】 元初楊岐派僧如珙的法號 詳見如珙
횡천(橫川) 원초 양기파승 여공의 법호니 상세한 것은 여공(如珙)을 보라.
【橫川珙】 元代楊岐派僧如珙 號橫川 詳見如珙
횡천공(橫川珙) 원대 양기파승 여공의 호가 횡천이니 상세한 것은 여공(如珙)을 보라.
) -->
【橫川行珙禪師語錄】 二卷 宋代楊岐派僧橫川行珙說 本光等編 又稱橫川和尙語錄 至正十九年(1359)刊行 卷首載自序 卷上 住瑞安府雁蕩山靈巖禪寺 雁山能仁禪寺 明州阿育王山廣利禪寺等三會之語錄 卷下 室中擧古 拈古 頌古 讚 偈頌 今收錄於卍續藏第一二三冊
횡천행공선사어록(橫川行珙禪師語錄) 2권. 송대 양기파승 횡천행공이 설했고 본광 등이 편(編)했음. 또 명칭이 횡천화상어록이니 지정(至正) 19년(1359) 간행했음. 권수에 자서가 실렸음. 권상은 서안부 안탕산 영암선사ㆍ안산 능인선사ㆍ명주 아육왕산 광리선사 등에 주(住)하면서의 3회(會)의 어록. 권하는 실중거고(室中擧古)ㆍ염고ㆍ송고ㆍ찬ㆍ게송. 지금 만속장 제123책에 수록되었음.
) -->
【橫七竪八】 有的橫 有的豎 雜亂無章 形容縱橫雜亂 ▲五燈全書六十八玉林通琇 問 百千法門 無量妙義 如何是第一義 師曰 橫七竪八
횡칠수팔(橫七竪八) 어떤 것은 횡(橫), 어떤 것은 수(豎)라서 잡란(雜亂)하여 무장(無章; 구별이 없음. 段落이 없음)이니 종횡으로 잡란함을 형용함. ▲오등전서68 옥림통수. 묻되 백천(百千)의 법문과 무량한 묘의(妙義)에 무엇이 이 제1의입니까. 스님이 가로되 횡칠수팔(橫七竪八)이다.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752쪽 (0) | 2020.01.01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751쪽 (0) | 2020.01.01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749쪽 (0) | 2020.01.01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748쪽 (0) | 2020.01.01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747쪽 (0) | 2020.0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