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백발상친(白髮相親) 백발상친(白髮相親) 목로반백무소위(目老斑白無所爲) 재전선록불승이(再展禪錄不勝怡) 홍안별후백발친(紅顔別後白髮親) 무혈기시첨의기(無血氣時添意氣) 노송영사무추색(老松寧死無秋色) 지란기미노득지(芝蘭氣味老得持) 노성선화무별사(老成禪和無別事) 면전일사무단시(面前一絲無.. 태화당수세록 2019.08.03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열조제강(列祖提綱) 열조제강(列祖提綱) 여피춘풍취양류(如彼春風吹楊柳) 여피벽력만허공(如彼霹靂滿虛空) 유시념유시송(有時拈有時頌) 사공위유유위공(使鞏爲柔柔爲鞏) 여피취적어소상(如彼吹笛於瀟湘) 여피취주어동정(如彼醉酒於洞庭) 유시종유시횡(有時縱有時橫) 수처현신수무상(隨處現身隨無狀) 여.. 태화당수세록 2019.08.03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미색(美色) 미색(美色) 달기서시양귀비(妲己西施楊貴妃) 경국지색비일이(傾國之色非一二) 어견입수조산비(魚見入水鳥散飛) 하사소화양류지(何似笑花揚柳枝) 달기(妲己) 서시(西施)와 양귀비(楊貴妃)여 경국지색(傾國之色)이 한 둘이 아니지만 고기가 보면 물에 들어가고 새는 흩어져 날으나니 어찌 .. 태화당수세록 2019.08.03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여생무사(餘生無事) 여생무사(餘生無事) 일중이식야삼배(日中二食夜三杯) 객기동래수제시(客氣動來隨題詩) 파파계계과잔춘(跛跛挈挈過殘春) 척당분명총부지(倜儻分明總不知) 낮 중에 두 번 밥 먹고 밤에 석 잔 마시고 객기(客氣)가 동하면 그대로 시를 짓고 파파계계(跛跛)하며 남은 봄을 지내나니 척당(倜.. 태화당수세록 2019.08.03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입동(立冬) 입동(立冬) 퇴색건엽번풍락(退色乾葉飜風落) 야문기성우소삭(夜聞其聲尤蕭索) 사가낙진무유여(乍可落盡無遺餘) 독와자긍동야적(獨臥自肯冬夜寂) 색 바랜 마른 잎이 바람에 흩날려 떨어지니 밤에 들으면 그 소리가 더욱 소삭(蕭索)하도다 차라리 가히 떨어져 다해 남음이 없어야 홀로 누.. 태화당수세록 2019.08.03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비천(飛天) 비천(飛天) 북풍취설격창지(北風驟雪擊窓紙) 방지엄한삼동시(方知嚴寒三冬始) 춘유군화추유풍(春有群花秋有楓) 불급설화만지지(不及雪花滿枝枝) 춘소두우단인장(春宵杜宇斷人腸) 추일엽락사인비(秋日葉落使人悲) 한설무성사무심(寒雪無聲似無心) 비천풍류본여시(飛天風流本如是) 북.. 태화당수세록 2019.08.03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평송제국불교(評頌諸國佛敎) 평송제국불교(評頌諸國佛敎) 한국선교세미미(韓國禪敎勢微微) 불용한자기단시(不用漢字其端始) 오백년간피압박(五百年間被壓迫) 뇌유휴정부지래(賴有休靜扶持來) 중화불교극쇠퇴(中華佛敎極衰退) 우려제동아손재(憂慮濟洞兒孫在) 삼무사태후소생(三武沙汰後蘇生) 지광인다신재기(地.. 태화당수세록 2019.08.03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문자(文字) 문자(文字) 언어표심상(言語表心相) 문자형어성(文字形語聲) 인류발명중(人類發明中) 막과문자승(莫過文字勝) 달마불립자(達磨不立字) 지인심위종(只因心爲宗) 궐후학불인(厥後學佛人) 이차기논쟁(以此起論爭) 문자유심구(文字有甚咎) 덕산소강경(德山燒剛經) 욕식기유래(欲識其由來) .. 태화당수세록 2019.08.03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본자현성(本自現成) 본자현성(本自現成) 참학유여급정륜(參學猶如汲井輪) 홀지삭단인통난(忽地索斷忍痛難) 문착개구답화이(問著開口答話易) 설사정통취광란(設使精通就狂亂) 문재답처답재문(問在答處答在問) 답득역호부답친(答得亦好不答親) 야조자제화자소(野鳥自啼花自笑) 불간암하좌선인(不干巖下坐.. 태화당수세록 2019.08.03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사득실(似得失) 사득실(似得失) 만추백설부득장(晩秋白雪不得長) 설시재성견무종(雪詩才成見無踪) 막위비시설허위(莫謂非時雪虛僞) 일월건곤미면동(日月乾坤未免仝) 득본유실본무(得本有失本無) 설시설혜풍시풍(雪是雪兮楓是楓) 만추의 백설은 오래감을 얻지 못하나니 설시(雪詩)를 겨우 이루고서 보.. 태화당수세록 2019.08.03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만추설(晩秋雪) 만추설(晩秋雪) 하말임우추말설(夏末任雨秋末雪) 지지육화난만발(枝枝六花爛漫發) 막장풍설논시절(莫將楓雪論時節) 수지호천풍류별(須知壺天風流別) 생평부도만추설(生平不睹晩秋雪) 지위행주부득활(只爲行住不得闊) 막장행주변광협(莫將行住辨廣狹) 수지각하세계활(須知脚下世界闊).. 태화당수세록 2019.08.03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구(鉤) 구(鉤) 불파염기(不怕念起) 유공각지(唯恐覺遲) 묘용현전(妙用現前) 무유불시(無有不是) 만상지중독로신(萬象之中獨露身) 고산유수명명시(高山流水明明是) 막인정반성(莫認定盤星) 식취구두의(識取鉤頭意) 막착인(莫錯認) 조불종래불허지(祖佛從來不許知) 생각 일어남을 두려워 말고 오.. 태화당수세록 2019.08.03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언어(言語) 언어(言語) 금무초객수림무(今無樵客樹林茂) 주수비금증기류(走獸飛禽增其類) 작작작조서서어(雀作雀噪鼠鼠語) 막위인어최우수(莫謂人語最優秀) 요즈음은 나무꾼이 없어 수림이 무성하더니 달리는 짐승 나는 새가 그 무리를 더하였네 참새는 참새의 지저귐을 짓고 쥐는 쥐의 말을 하나.. 태화당수세록 2019.08.03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사고향(思故鄕) 사고향(思故鄕) 호마시북풍(胡馬嘶北風) 월조소남지(越鳥巢南枝) 저두사고향(低頭思故鄕) 추억유년시(追憶幼年時) 안중오륙도(眼中五六島) 이리광안리(耳裏廣安里) 금일야몽중(今日夜夢中) 신재부산리(身在釜山裏) 호마(胡馬)는 북풍에 울고 월조(越鳥)는 남쪽 가지에 집 짓나니 머리 숙.. 태화당수세록 2019.08.03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화만추(畵晩秋) 화만추(畵晩秋) 산산첩첩홍(山山疊疊紅) 수수담담청(水水淡淡靑) 시야시부제(詩也詩不題) 화야화불성(畵也畵不成) 만추장진제(晩秋將盡際) 기경유득황(其景愈得恍) 갱유일진안(更有一陣雁) 장명낙하광(長鳴落霞光) 산마다 첩첩(疊疊)이 붉고 물마다 담담(淡淡)히 푸르나니 시를 지으려고.. 태화당수세록 2019.0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