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행주부득(行住不得) 행주부득(行住不得) 만추단풍색(晩秋丹楓色) 불여방초록(不如芳草綠) 인이생염심(人易生厭心) 이혐상추색(已嫌賞秋色) 미유장주마(未有長走馬) 안유상주학(安有常住鶴) 방초단풍상(芳草丹楓上) 유락유불락(有樂有不樂) 만추(晩秋)의 단풍색이 방초(芳草)의 푸르름만 같지 못하나니 사람.. 태화당수세록 2019.08.03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지주(蜘蛛) 지주(蜘蛛) 상하천정허공중(床下天井虛空中) 무처불유지주망(無處不有蜘蛛網) 문예독봉태말충(蚊蚋毒蜂太末蟲) 일도접촉기명망(一度接觸其命亡) 세화촉수귀투복(歲華促壽鬼妬福) 일식불회즉내생(一息不回卽來生) 욕식명종일순식(欲識命終一瞬息) 청간지주탐충명(請看蜘蛛眈蟲命) 상 .. 태화당수세록 2019.08.03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수상유호(殊常愈好) 수상유호(殊常愈好) 구월단풍재감상(九月丹楓才堪賞) 작일백설금조동(昨日白雪今朝凍) 시절수상임수상(時節殊常任殊常) 설중목엽색전홍(雪中木葉色轉紅) 월여임우야수상(月餘霖雨也殊常) 추지착란발춘화(秋枝錯亂發春花) 추지착란임착란(秋枝錯亂任錯亂) 함상춘화별양화(含霜春花別.. 태화당수세록 2019.08.03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노화(蘆花) 노화(蘆花) 월명추야요백수(月明秋夜搖白手) 여별정인예수두(如別情人曳袖頭) 세간다소상별인(世間多少相別人) 기인단장기인루(幾人斷腸幾人淚) 달 밝은 가을밤에 하얀 손을 흔드니 마치 이별하는 정인(情人)이 소매 끝을 당기는 것 같구려 세간의 다소 서로 이별하는 사람에 몇 사람이 .. 태화당수세록 2019.08.03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마라(懡㦬) 마라(懡㦬) 몽경교후성마라(夢境覺後成懡㦬) 남녀별후각마라(男女別後覺懡㦬) 인생백년일잡극(人生百年一雜劇) 우림분진수마라(雨淋粉盡受懡㦬) 취주성후지마라(醉酒醒後知懡㦬) 탄금필후귀마라(彈琴畢後歸懡㦬) 서색미분인진망(曙色未分人盡望) 급호천명로마라(及乎天明露懡㦬) 몽.. 태화당수세록 2019.08.03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동요(童謠) 동요(童謠) 요문실솔곤외어(寥聞蟋蟀閫外語) 억득유시창동요(憶得幼時唱童謠) 소년탐정불고후(少年貪程不顧後) 요도시회회두고(潦倒始會回頭顧) 등정불여재산하(登頂不如在山下) 재가유승노도호(在家猶勝路途好) 증청천가만곡조(曾聽千歌萬曲調) 불여금창석동요(不如今唱昔童謠) 고.. 태화당수세록 2019.08.03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설비설(雪非雪) 설비설(雪非雪) 천수만엽영락전(千樹萬葉零落前) 백설화우분분추(白雪和雨雰雰墜) 견지분명지무흔(見之分明地無痕) 불용홍로점설구(不用紅爐點雪句) 천수만엽(千樹萬葉)이 영락(零落)하기 전인데 백설이 비에 섞여 분분(雰雰)히 떨어지네 그것을 보매 분명하더니 땅 위엔 흔적이 없나니.. 태화당수세록 2019.08.03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사선사(思先師) 사선사(思先師) 오사선해기적마(吾師善解騎賊馬) 생평부작시일수(生平不作詩一首) 위인설법무피색(爲人說法無疲色) 종조지모간무휴(從朝至暮間無休) 학도선무우지식(學道先務遇知識) 약병부재강장수(弱兵不在强將手) 번사이십추참사(飜思二十秋參師) 앙시괘진불인루(仰視掛眞不忍淚).. 태화당수세록 2019.08.03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대치(對治) 대치(對治) 보리열반계려궐(菩提涅槃繫驢橛) 청정법신간시궐(淸淨法身乾屎橛) 평지퇴도명부단(平地推倒命不斷) 현애타퇴시초절(懸崖打推始勦絶) 제음노치시범행(諸淫怒痴是梵行) 등묘이각시범부(等妙二覺是凡夫) 대치법문팔자개(對治法門八字開) 인착의전환불시(認著依前還不是) 보.. 태화당수세록 2019.08.03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청몽(請夢) 청몽(請夢) 왕년의기충(往年意氣充) 통야전사경(通夜轉寫經) 요도공야장(潦倒恐夜長) 지위몽난성(只爲夢難成) 서색미분서(曙色未分瑞) 영화개전영(英華開前嬴) 막위교몽후(莫謂覺夢後) 호어대몽경(好於大夢景) 왕년(往年)엔 의기가 충만(充滿)하여 밤새워 전경사경(轉經寫經)했는데 요도.. 태화당수세록 2019.08.03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매견지상설법제사산언이소음(每見紙上說法諸師散言而笑吟) 매견지상설법제사산언이소음(每見紙上說法諸師散言而笑吟) 고인일개구(古人一開口) 절기무익구(切忌無益句) 금견제선화(今見諸禪和) 부지방관우(不知傍觀憂) 검이모시리(劒以毛試利) 인이언시기(人以言試機) 막과수행력(莫誇修行力) 선요해수치(先要解羞恥) 폐관이구좌(閉關而久坐) .. 태화당수세록 2019.08.03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귀근무구(歸根無口) 귀근무구(歸根無口) 화락수유수(花落隨流水) 흡사대풍류(恰似帶風流) 엽락축풍전(葉落逐風轉) 전전수심수(轉轉愁心邃) 만추상오야(晩秋霜午夜) 억득조말구(憶得祖末句) 엽락귀근후(葉落歸根後) 내시무일구(來時無一口) 꽃 떨어져 유수(流水)를 따를 적엔 흡사 풍류를 띤 듯하더니 잎 떨.. 태화당수세록 2019.08.03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시(枾) 시(枾) 만추천산홍(晩秋千山紅) 사야황금랑(四野黃金浪) 기중제일색(其中第一色) 시목지지홍(枾木枝枝紅) 하로상추홍(何勞賞秋紅) 향등명산정(向登名山頂) 욕상추천미(欲嘗秋天味) 완간타시홍(玩看他枾紅) 만추의 천산(千山)이 붉고 사야(四野)엔 황금의 물결이거니와 그 중에 제일의 색.. 태화당수세록 2019.08.03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인평불어(人平不語) 인평불어(人平不語) 심고구역고(心苦句亦苦) 의호문역호(意好文亦好) 금야월공명(今夜月空明) 갱무일호오(更無一好惡) 다심유다구(多心愈多口) 소사뇌역소(少事惱亦少) 금야풍식적(今夜風息寂) 엽무락적료(葉無落寂寥) 마음이 괴로우면 구절도 또한 괴롭고 뜻이 아름다우면 문구도 또한.. 태화당수세록 2019.08.03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월설(月說) 월설(月說) 만추청야초생월(晩秋淸夜初生月) 약유향인은근설(若有向人慇懃說) 천고만고욕누설(千古萬古欲漏泄) 지공수류변이별(只恐隨類變異別) 만추의 맑은 밤 초생달이여 사람을 향해 은근히 말함이 있는 것 같구나 천고만고(千古萬古)에 누설(漏泄)하고 싶었으나 단지 무리를 따라 .. 태화당수세록 2019.0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