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무무(無無) 무무(無無) 풍취추엽수수(風吹秋葉颼颼) 공재체하추추(蛩在砌下啾啾) 물물각유추어(物物各有秋語) 오유일자무무(吾有一字無無) 바람이 가을잎에 불어 수수(颼颼)하고 귀뚜리가 섬돌 아래 있으면서 추추(啾啾)하도다 물건마다 각기 추어(秋語)가 있나니 나에게는 한 글자 무무(無無)가 있.. 태화당수세록 2019.08.03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각인각색(各人各色) 각인각색(各人各色) 우수각불수(牛瘦角不瘦) 심수구역수(心邃句亦邃) 일색추도래(一色秋到來) 각인구상수(各人句相殊) 여공동상수(如共同床睡) 몽경각별수(夢境各別受) 공행산상로(共行山上路) 각유안차수(各有眼差殊) 여일대해수(如一大海水) 중어공동유(衆魚共同游) 각유일대해(各有.. 태화당수세록 2019.08.03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불사(不似) 불사(不似) 거세황률금세락(去歲黃栗今歲落) 거년소촉금년촉(去年宵燭今年燭) 추색상사인불사(秋色相似人不似) 일거고인무소식(一去故人無消息) 우주광활인무수(宇宙廣闊人無數) 상식환여불상식(相識還如不相識) 쟁여독좌명창하(爭如獨坐明窓下) 등한간타엽비락(等閒看他葉飛落) 거.. 태화당수세록 2019.08.03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유아능지(唯我能知) 유아능지(唯我能知) 무유정법명보리(無有定法名菩提) 착회자다오자희(錯會者多悟者希) 석화광중불착적(石火光中不捉賊) 막향인전담진기(莫向人前談眞機) 남산기운북산우(南山起雲北山雨) 전계수류후계수(前溪水流後溪水) 막문전삼여후삼(莫問前三與後三) 각인삼매각자지(各人三昧各.. 태화당수세록 2019.08.03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대공(大功) 대공(大功) 안이비구각상응(眼耳鼻口各相應) 견색문성후담상(見色聞聲嗅談嘗) 유의양미무소위(有疑兩眉無所爲) 위재안상증기능(位在眼上證其能) 지불비력만물생(地不費力萬物生) 천무일언사시행(天無一言四時行) 대상무상함유상(大象無相含有像) 여곡답향향후랭(如谷答響響後冷) 눈 .. 태화당수세록 2019.08.03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작(鵲) 작(鵲) 신조석제종일문(晨噪夕啼終日聞) 유래길조문하인(由來吉鳥問何人) 달사선유한인다(達士尠有閑人多) 화다복과일백춘(禍多福寡一百春) 작아부지인길흉(鵲兒不知人吉凶) 인지작무인지원(人知鵲無人之願) 소아자다신아소(笑我者多哂我少) 차시인간제이원(此是人間第二寃) 새벽에.. 태화당수세록 2019.08.03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구(狗) 구(狗) 견주요미견이폐(見主搖尾見異吠) 기성심외기충애(其聲甚猥其忠愛) 능선능악인간최(能善能惡人間最) 외식가견불축미(煨食家犬不蹙眉) 좌별위진우불정(左丿爲眞右乀正) 합위인자기인지(合爲人字幾人知) 관자박타인간능(寬自迫他人間能) 도간거구아야비(道看渠狗我也非) 주인을 .. 태화당수세록 2019.08.03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감(鑒) 감(鑒) 귀천불간계급부(貴賤不干階級富) 행업청탁정인수(行業淸濁定人獸) 문타무한왕래인(問他無限往來人) 기개남녀인자구(幾箇男女認自垢) 불귀행리귀안정(不貴行履貴眼正) 지남종래지일위(指南從來指一位) 여금산운봉두월(如今山雲峰頭月) 무불제귀일감리(無不齊歸一鑒裏) 귀천(貴.. 태화당수세록 2019.08.03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상무상(常無常) 상무상(常無常) 경리홍안거하리(鏡裏紅顔去何裏) 수중착월귀무위(水中捉月歸無爲) 의희화개이엽락(依俙花開已葉落) 원관산색차탄희(遠觀山色嗟歎噫) 청산근심원부동(靑山根深元不動) 유수무각무류의(流水無脚無留意) 유도유극무류처(流到流極無流處) 각억청산거두회(却憶靑山擧頭回).. 태화당수세록 2019.08.03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경사(驚蛇) 경사(驚蛇) 영명권인송념불(永明勸人誦念佛) 조주불욕문불성(趙州不欲聞佛聲) 막괴이로어상위(莫怪二老語相違) 타초지요사사경(打草只要使蛇驚) 영명(永明)은 사람들에게 송불염불(誦佛念佛)을 권했고 조주(趙州)는 불(佛)이라는 소리를 들으려 아니했나니 두 노인의 말씀이 서로 위배.. 태화당수세록 2019.08.03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참괴(懺媿) 참괴(懺媿) 육창이봉상심장(肉瘡易縫傷心長) 은애이단원난망(恩愛易斷怨難忘) 상봉진도아생선(相逢盡道我生善) 인심난여월륜당(人心難如月輪堂) 살갗의 상처는 쉽게 아물지만 다친 마음은 오래가며 은혜와 사랑은 쉽게 끊지만 원한은 잊기 어렵나니 서로 만나면 다 말하되 나의 삶이 착.. 태화당수세록 2019.08.03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불첨불감(不添不減) 불첨불감(不添不減) 일리간산야대월(日裏看山夜對月) 혹견편운간출몰(或見片雲間出沒) 적적요료본자연(寂寂寥寥本自然) 원불첨일불감일(願不添一不減一) 낮에는 산을 보고 밤에는 달을 대하나니 혹 조각 구름이 간간이 출몰함을 보노라 적적(寂寂)하고 요료(寥寥)해서 본래의 자연(自然.. 태화당수세록 2019.08.03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별가(別家) 별가(別家) 요료산거낙여하(寥寥山居樂如何) 지견청산대낙하(只見靑山對落霞) 시구삭삭제낙엽(詩句數數題落葉) 원수풍수도별가(願隨風水到別家) 고요고요한 산거(山居)의 낙이 어떠한가 한다면 단지 청산이 낙하(落霞)를 대함을 본다 하리라 시구(詩句)를 자주자주 낙엽에 제(題)하나니 .. 태화당수세록 2019.08.03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무정설(無情說) 무정설(無情說) 호생오사함령동(好生惡死含靈同) 충추조제구가생(蟲啾鳥啼謳歌生) 막위무정무언설(莫謂無情無言說) 개안즉시합안동(開眼卽是合眼同) 삶을 좋아하고 죽음을 싫어함은 함령(含靈)이 한가지라 벌레도 울고 새도 울며 삶을 구가(謳歌)하는구나 무정은 언설(言說)이 없다고 .. 태화당수세록 2019.08.03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2년 척목(隻目) 척목(隻目) 추색무선후(秋色無先後) 조락유취차(凋落有取次) 수유동여이(雖有同與異) 쟁나척목하(爭那隻目何) 추색(秋色)은 선후(先後)가 없지만 조락(凋落)에 차례를 취함이 있나니 비록 동(同)과 이(異)가 있지만 척목(隻目)임을 어찌하리오. 제목 척(隻)은 외짝 척. 2행 조(凋)는 시들 조. .. 태화당수세록 2019.08.0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