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9책(ㅊㅍ)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9책(ㅊㅋㅌㅍ) 547쪽

태화당 2019. 12. 20. 10:20

七多羅樹言其較多羅樹高出七倍 多羅樹 爲高大之植物 極高者可達二十五公尺 參多羅 五燈會元一釋迦牟尼佛 爾時金棺從座而擧 高七多羅樹 往反空中 化火三昧 須臾灰生 得舍利八斛四斗

칠다라수(七多羅樹) 말하자면 그것이 다라수(多羅樹)와 비교해 7배 고출(高出). 다라수는 높고 큰 식물이 되며 극히 높은 것은 가히 25m에 달함. 다라(多羅)를 참조하라. 오등회원1 석가모니불. 이때 금관이 자리로부터 들리더니 높이가 7다라수(多羅樹)였으며 공중에 갔다가 돌아와 화화삼매(化火三昧)로 수유(須臾; 잠시)에 재가 생겼으며 사리 84(八斛四斗)를 얻었다.

) --> 

七堂伽藍象器箋殿堂門 忠曰 法堂 佛殿 山門 廚庫 僧堂 浴室 西淨 爲七堂伽藍 未知何據

칠당가람(七堂伽藍) 상기전 전당문(殿堂門). (; 道忠)이 가로되 법당ㆍ불전ㆍ산문ㆍ주고ㆍ승당ㆍ욕실ㆍ서정이 칠당가람(七堂伽藍)이 된다. 어디에 근거했는지 알지 못한다.

) --> 

七大卽色心萬法之體性 可大別爲地大 水大 火大 風大 空大 見大 識大七種 又作七大性 參七大性 註心賦二 七大者 一地大 二水大 三火大 四風大 五空大 六見大 七識大 如首楞嚴經云 汝元不知如來藏中 性色眞空 性空眞色 淸淨本然 周遍法界 乃至推七大 皆無自性他性共性無因性

칠대(七大) 곧 색심만법(色心萬法)의 체성(體性)이니 가히 대별(大別)하면 지대ㆍ수대ㆍ화대ㆍ풍대ㆍ공대ㆍ견대(見大)ㆍ식대(識大) 7종이며 또 칠대성으로 지음. 칠대성(七大性)을 참조하라. 주심부2. 7()란 것은 1은 지대며 2는 수대며 3은 화대며 4는 풍대며 5는 공대며 6은 견대며 7은 식대다. 예컨대() 수릉엄경에 이르되 네가 원래, 여래장 가운데 성색(性色)이 진공(眞空)이며 성공(性空)이 진색(眞色)이며 청정본연(淸淨本然)하며 법계에 주편(周遍)하는지를 알지 못한다. 내지 칠대(七大)를 추구하매 모두 자성ㆍ타성ㆍ공성(共性)ㆍ무인성(無因性)이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