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後得智】 祖庭事苑四 後得智 梁攝大乘論云 從眞如流出正體智 正體智流出後得智 後得智流出大悲心 大悲心流出十二部經 名爲勝流法界(以上出華嚴經探玄記十二 引梁攝論釋) 通達勝流法界 得無邊法音果(此二句出華嚴經探玄記十二 引梁攝論) ▲明覺語錄六 法寶 後得智生功德聚 大悲留演潤禽魚 貫華雖自科千品 標月還歸理一如
후득지(後得智) 조정사원4. 후득지(後得智) 양(梁)의 섭대승론(攝大乘論)에 이르되 진여로부터 정체지(正體智)가 유출(流出)하고 정체지가 후득지(後得智)를 유출하고 후득지가 대비심(大悲心)을 유출하고 대비심이 12부경을 유출하나니 이름해 승류법계(勝流法界)다(이상은 화엄경탐현기12에 나오며 梁攝論釋을 인용했음). 승류법계를 통달하면 무변법음과(無邊法音果)를 얻는다(이 2구는 화엄경탐현기12에 나오며 梁攝論을 인용했음). ▲명각어록6. 법보 후득지(後得智)가 공덕취(功德聚)를 내나니/ 대비로 연설을 머물러 새와 고기도 윤택하게 한다/ 관화(貫華)가 비록 스스로 과(科)가 천품(千品)이지만/ 표월(標月)은 일여(一如)의 이치로 환귀한다.
) -->
【朽邁】 衰弱老邁 邁 老也 ▲付法藏因緣傳一 我年朽邁身爲老壞
후매(朽邁) 쇠약하고 노매(老邁)함이니 매(邁)는 로(老)임. ▲부법장인연전1. 나의 나이가 후매(朽邁)하고 몸은 노괴(老壞)한다.
) -->
【厚誣】 深加欺騙 ▲祖庭事苑五 然祖師面壁 緣乎未見其人 近世往往指爲接人時節 豈不厚誣祖師邪
후무(厚誣) 깊이 기편(欺騙; 속임)을 더함. ▲조정사원5. 그러하여 조사의 면벽(面壁)은 그 사람을 보지 못했기 때문(緣)이거늘 근세에 왕왕 지목하여 접인(接人)하는 시절이라 하니 어찌 조사를 두텁게 비방함(厚誣)이 아니겠는가.
) -->
【候問】 問候 問安 ▲五燈全書三十眞歇淸了 慈寧太后 遣中使候問
후문(候問) 문후. 문안. ▲오등전서30 진헐청료. 자녕태후가 중사(中使)를 보내 후문(候問)했다.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769쪽 (0) | 2020.01.01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768쪽 (0) | 2020.01.01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766쪽 (0) | 2020.01.01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765쪽 (0) | 2020.01.01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764쪽 (0) | 2020.01.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