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765쪽

태화당 2020. 1. 1. 11:22

後機禪家對後學晩輩的稱呼 法演語錄下 諸人且作麽生會 白蓮(法演之法號)今日曲順後機 不惜眉毛 亦爲頌出 有中有 無中無 細中細 麁中麁

후기(後機) 선가에서 후학과 만배(晩輩)에 대한 칭호. 법연어록하. 제인이 또 어떻게 이회(理會)하느냐. 백련(白蓮; 法演의 법호)이 금일 후기(後機)에게 곡순(曲順)하여 눈썹을 아끼지 않고 또한 송출(頌出)하리라. () 중의 유며/ () 중의 무며/ () 중의 세며/ () 중의 추다.


後念念之過去者爲前念 後來者爲後念 廣燈錄八江西馬祖 前念後念中念 念念不相待 念念寂滅

후념(後念) ()의 지나간 것은 전념이 되고 후에 오는 것은 후념이 됨. 광등록8 강서마조. 전념ㆍ후념(後念)ㆍ중념이 염념이 상대(相待)하지 않고 염념이 적멸이다.

) --> 

後堂後僧堂之略稱 南宋時 大叢林有前堂後堂二僧堂(重雲堂) 現指僧堂中央聖僧左右之出入板的前方爲前堂(前板) 後方爲後堂(後板) 密菴語錄 擧後堂演首座立僧

후당(後堂) 후승당(後僧堂)의 약칭. 남송(南宋) 시 대총림에 전당과 후당 두 승당(重雲堂)이 있었음. 현재는 승당 중앙 성승(聖僧) 좌우의 출입판의 전방(前方)을 가리켜 전당(前堂; 前板)이라 하고 후방을 후당(後堂; 後板)이라 함. 밀암어록. 후당(後堂)의 연수좌(演首座)를 입승으로 천거했다.

) --> 

煦堂琪淸代臨濟宗僧延琪 字煦堂 詳見延琪

후당기(煦堂琪) 청대 임제종승 연기의 자가 후당이니 상세한 것은 연기(延琪)를 보라.

) --> 

後堂首座禪林區分僧堂爲前堂後堂 管理後堂之修行僧者 稱後堂首座 與前堂首座相對稱 然前堂首座略稱爲首座 後堂首座則略稱後堂 [象器箋職位類] 百丈淸規四後堂首座 位居後板 輔贊宗風 軌則莊端 爲衆模範 蓋以衆多 故分前後 齋粥二時過堂及坐禪 則後門出入

후당수좌(後堂首座) 선림에서 승당을 전당과 후당으로 구분함. 후당을 관리하는 수행승을 일컬어 후당수좌라 하고 전당수좌와 서로 대칭됨. 그러하여 전당수좌는 약칭이 수좌가 되고 후당수좌는 곧 약칭이 후당임 [상기전직위류]. 백장청규4 후당수좌(後堂首座). 지위가 후판(後板)에 거처하며 종풍을 보찬(輔贊)하고 장단(莊端; 장엄과 端正)을 궤칙하여 대중의 모범이 된다. 대개 대중이 많으므로 전후(前後; 前堂後堂)로 나눈다. 재ㆍ죽 2시의 과당(過堂) 및 좌선에는 곧 후문으로 출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