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807쪽

태화당 2020. 1. 2. 09:45

興敎坦宋代臨濟宗僧興敎院坦禪師 詳見興敎院坦

흥교탄(興敎坦) 송대 임제종승 흥교원 탄선사니 상세한 것은 흥교원탄을 보라.

) --> 

興國軍宋太宗太平興國二年(977) 以永興縣置永興軍 三年 改永興軍爲興國軍 屬於江南西道 治所在永興縣(今湖北省陽新縣) 宋徽宗崇寧元年(1103) 屬於江西路 元世祖至元十四年(1277) 升興國軍爲興國路

흥국군(興國軍) 송태종 태평흥국 2(977) 영흥현에 영흥군을 설치했음. 3년 영흥군을 고쳐 흥국군이라 했고 강남서도(江南西道)에 속했고 치소(治所)는 영흥현(지금의 호북성 양신현)에 있었음. 송휘종 숭녕 원년(1103) 강서로에 속했음. 원세조 지원 15(1277) 흥국군을 승격하여 흥국로라 했음.

) --> 

興國禪寺又名千佛寺 位于山東省濟南市千佛山 始建于唐貞觀(627-649)年間 宋代又加以擴建 元末毁于兵火 現存主要建築爲明成化(1465-1487)年間重建

흥국선사(興國禪寺) 또 이름이 천불사니 산동성 제남시 천불산에 위치함. 당 정관(627-649)년 간에 처음 건립했고 송대 또 확건(擴建)을 더했음. 원말 병화(兵火)에 훼멸되었음. 현존하는 주요한 건축은 명 성화(1465-1487)년 간 중건한 것이 됨.

) --> 

興筠淸代曹洞宗僧 字竹尊 參蒲庵健得法 住上元弘濟 [廩山正燈錄]

흥균(興筠) 청대 조동종승. 자는 죽존이며 포암건을 참해 득법했고 상원 홍제에 거주했음 [늠산정등록].

) --> 

興綺淸代曹洞宗僧 字偉拙 參石濂汕得法 住粤東西來 [廩山正燈錄]

흥기(興綺) 청대 조동종승. 자는 위졸이며 석렴산을 참해 득법했고 월동 서래에 거주했음 [늠산정등록].

) --> 

興寧寺位於韓國江原道寧越郡水周面師子山 九山禪門之一 新羅憲德王十七年(825) 雙峰道允往唐 嗣南泉普願之法 文聖王九年(847)歸國 止於雙峰寺 大振宗風 憲康王年間(875-885) 道允弟子澄曉折中 領衆止住獅子山 憲康王欽慕其道風 獻興寧寺 眞聖女王五年(891) 燬於兵火 高麗惠宗一年(944)重建 其後又燒失 西紀一九二年 比丘尼大圓覺重建 改稱法興寺 一九一二年燒失 一九三年重建

흥녕사(興寧寺) 한국 강원도 영월군 수주면 사자산에 위치함. 구산선문의 하나. 신라 헌덕왕 17(825) 쌍봉도윤(雙峰道允)이 당에 가서 남천보원(南泉普願)의 법을 이었고 문성왕 9(847) 귀국하여 쌍봉사에 머물며 종풍을 대진(大振)했음. 헌강왕(875-885) 연간(年間)에 도윤의 제자 징효절중(澄曉折中)이 대중을 거느리고 사자산에 지주(止住)했는데 헌강왕이 그의 도풍을 흠모하였고 흥녕사를 바쳤음. 진성여왕 5(891) 병화(兵火)에 불탔음. 고려 혜종 1(944) 중건했으나 그 후에 또 소실(燒失)했음. 서기 1902년 비구니 대원각이 중건하여 법흥사로 개칭했음. 1912년 소실(燒失)했고 1930년 중건했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