頓漸第八
時 祖師居曹溪寶林 神秀大師在荊南玉泉寺 于時兩宗盛化 人皆稱南能北秀 故有南北二宗頓漸之分 而學者莫知宗趣 師謂衆曰 法本一宗 人有南北 法卽一種 見有遲疾 何名頓漸 法無頓漸 人有利鈍 故名頓漸 然秀之徒衆 往往譏南宗祖師 不識一字 有何所長 秀曰 他得無師之智 深悟上乘 吾不如也 且吾師五祖 親傳衣法 豈徒然哉 吾恨不能遠去親近 虛受國恩 汝等諸人 毋滯於此 可往曹溪參決 一日 命門人志誠曰 汝聰明多智 可爲吾到曹溪聽法 若有所聞 盡心記取 還爲吾說 志誠稟命至曹溪 隨衆參請 不言來處 時祖師告衆曰 今有盜法之人 潛在此會 志誠卽出禮拜 具陳其事 師曰 汝從玉泉來 應是細作 對曰 不是 師曰 何得不是 對曰 未說卽是 說了不是 師曰 汝師若爲示衆 對曰 常指誨大衆 住心觀靜 長坐不臥 師曰 住心觀靜 是病非禪 長坐拘身 於理何益 聽吾偈曰
生來坐不臥 死去臥不坐 一具臭骨頭 何爲立功課
때에 조사는 조계(曹溪) 보림(寶林; 寶林寺)에 거주했고 신수대사(神秀大師)은 형남(荊南) 옥천사(玉泉寺)에 주재(住在)했다. 때에 양종(兩宗)이 성화(盛化)했고 사람들이 모두 일컫기를 남능북수(南能北秀)라 했으며 고로 남북 2종(宗)의 돈점(頓漸)의 구분(區分)이 있었는데 학자가 종취(宗趣)를 알지 못했다. 스님이 대중에게 일러 가로되 법은 본래 1종(宗)이나 인(人)에 남북이 있고 법은 곧 1종(種)이나 견(見)에 지질(遲疾)이 있다. 무엇을 이름해 돈점(頓漸)이라 하는가, 법은 돈점이 없으나 인(人)에 이둔(利鈍)이 있는지라 고로 이름이 돈점이다. 그러나 신수(神秀)의 도중(徒衆)은 왕왕(往往) 남종(南宗)의 조사는 1자(字)도 알지 못하거늘 무슨 나은(長) 바가 있겠는가 하며 비웃었다. 신수가 가로되 그는 무사지지(無師之智)를 얻었고 깊이 상승(上乘)을 깨달았으며 나는 같지 못하다. 또 오사(吾師) 5조가 친히 의법(衣法)을 전했거늘 어찌 도연(徒然)하겠는가. 내가 능히 멀리 가서 친근(親近)하지 못하고 헛되이 국은(國恩)을 받음을 한탄(恨歎)한다. 너희 등 제인(諸人)은 여기에 체류(滯留)하지 말고 가히 조계로 가서 참결(參決; 參問하여 決擇)하라. 어느 날 문인(門人) 지성(志誠)에게 명령(命令)해 가로되 너는 총명하고 다지(多智)하니 가히 나를 위해 조계에 이르러 청법(聽法)하라. 만약 듣는 바가 있다면 마음을 다해 기취(記取)하여 돌아와 나를 위해 설하거라. 지성이 명령을 받고 조계에 이르러 대중 따라 참청(參請)하되 온 곳을 말하지 않았다. 때에 조사가 고중(告衆)하여 가로되 지금(只今) 도법(盜法)하는 사람이 있어 몰래(潛) 이 회(會)에 있다. 지성이 곧 나가서 예배하고 그 사실을 갖추어 진술(陳述)했다. 사왈(師曰) 너는 옥천사로부터 왔으니 응당 이 세작(細作; 間諜. 密偵)이리라. 대왈(對曰) 그렇지(是) 않습니다. 사왈 어찌하여 그렇지 않음을 얻느냐. 대왈(對曰) 말하지 않았으면 곧 그렇겠지만 말했으니 그렇지 않습니다. 사왈 너의 스님은 어떻게(若爲) 시중(示衆)하느냐. 대왈(對曰) 늘 대중에게 지회(指誨; 指導하며 敎誨)하기를 주심(住心; 마음을 머물다)하여 관정(觀靜)하고 장좌불와(長坐不臥)하라. 사왈 주심하여 관정함은 이 병(病)이며 선(禪)이 아니다. 장좌(長坐)함은 몸을 구속하거늘 이치에 무슨 이익이리오. 나의 게를 들어라, 가로되
살아서는 앉기만 하고 눕지 못하더니/ 죽어서는 눕기만 하고 앉지 못하네/ 1구(具; 量詞)의 냄새나는 골두(臭骨頭; 臭骨頭; 육체)이거늘/ 무엇을 위해 공과(功課)를 세우리오.
上乘; 又云上衍 大乘之異名 ▲世親攝論一 如是三藏下乘上乘有差別故則成二藏 一聲聞藏 二菩薩藏
또 이르되 상연(上衍)이니 대승의 다른 이름. ▲세친 섭론1. 이와 같이 3장(藏)의 하승(下乘)과 상승(上乘)에 차별이 있는 고로 곧 2장을 이루나니 1은 성문장이며 2는 보살장이다.
志誠; 唐代僧 泰和(今屬江西)人 初以神秀爲師 後嗣六祖慧能 居吉州(今江西吉安) 弘揚南宗禪 學者頗衆 後不知所終 [傳燈錄五]
당대승. 태화(지금 강서에 속함) 사람. 처음은 신수(神秀)를 스승으로 삼았고 후에 6조 혜능을 이었음. 길주(지금의 강서 길안)에 거주하며 남종선을 홍양했고 학자가 자못 많았음. 후에 마친 바를 알지 못함 [전등록5].
臭骨頭; 一指骰子 二指肉體 此指二
1. 투자(骰子; 주사위)를 가리킴. 2. 육체를 가리킴. 여기에선 2를 가리킴.
功課; 僧家修行的課目 課業
승가의 수행의 과목ㆍ과업.
'태화당총서 다운로드 21종 파일첨부' 카테고리의 글 목록 (tistory.com)
'태화당총서 다운로드 21종 파일첨부' 카테고리의 글 목록
pyungsimsa.tistory.com
'육조단경' 카테고리의 다른 글
단경 頓漸第八 03 (0) | 2022.12.29 |
---|---|
단경 頓漸第八 02 (0) | 2022.12.29 |
단경 機緣第七 20 (0) | 2022.12.28 |
단경 機緣第七 19 (1) | 2022.12.28 |
단경 機緣第七 18 (0) | 2022.12.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