承敘及 自幼年至仕宦 參禮諸大宗匠 中間爲科擧婚宦所役 又爲惡覺惡習所勝 未能純一做工夫 以此爲大罪 又能痛念無常世間種種虛幻無一可樂 專心欲究此一段大事因緣 甚愜病僧意 然旣爲士人仰祿爲生 科擧婚宦 世間所不能免者 亦非公之罪也 以小罪而生大怖懼 非無始曠大劫來承事眞善知識熏習般若種智之深 焉能如此 而公所謂大罪者 聖賢亦不能免 但知虛幻非究竟法 能回心此箇門中 以般若智水 滌除垢染之穢 淸淨自居 從脚下去一刀兩段 更不起相續心足矣 不必思前念後也 旣曰虛幻 則作時亦幻 受時亦幻 知覺時亦幻 迷倒時亦幻 過去現在未來皆悉是幻 今日知非 則以幻藥復治幻病 病瘥藥除 依前只是舊時人 若別有人有法 則是邪魔外道見解也 公深思之 但如此崖將去 時時於靜勝中 切不得忘了須彌山放下著兩則語 但從脚下著實做將去 己過者不須怖畏 亦不必思量 思量怖畏卽障道矣 但於諸佛前 發大誓願 願此心堅固 永不退失 仗諸佛加被 遇善知識一言之下 頓亡生死 悟證無上正等菩提 續佛慧命 以報諸佛莫大之恩 若如此則久久無有不悟之理 不見善財童子從文殊發心 漸次南行過一百一十城 參五十三善知識 末後於彌勒一彈指頃 頓亡前來諸善知識所得法門 復依彌勒敎思欲奉覲文殊 於是文殊遙伸右手 過一百一十由旬 按善財頂曰 善哉善哉 善男子 若離信根 心劣憂悔 功行不具 退失精勤 於一善根心生住著 於少功德便以爲足 不能善巧發起行願 不爲善知識之所攝護 乃至不能了知如是法性 如是理趣 如是法門 如是所行 如是境界 若周遍知 若種種知 若盡源底 若解了 若趣入 若解說 若分別 若證知 若獲得 皆悉不能 文殊如是宣示善財 善財於言下成就阿僧祇法門 具足無量大智光明 入普賢門 於一念中悉見三千大千世界微塵數諸善知識 悉皆親近 恭敬承事 受行其敎 得不忘念智 莊嚴藏解脫 以至入普賢毛孔刹 於一毛孔行一步 過不可說不可說佛刹微塵數世界 與普賢等 諸佛等 刹等行等 及解脫自在悉皆同等 無二無別 當恁麽時 始能回三毒爲三聚淨戒 回六識爲六神通 回煩惱爲菩提 回無明爲大智 如上這一絡索 只在當人末後一念眞實而已 善財於彌勒彈指之間 尙能頓亡諸善知識所證三昧 況無始虛僞惡業習氣耶 若以前所作底罪爲實 則現今目前境界 皆爲實有 乃至官職富貴恩愛 悉皆是實 旣是實 則地獄天堂亦實 煩惱無明亦實 作業者亦實 受報者亦實 所證底法門亦實 若作這般見解 則盡未來際 更無有人趣佛乘矣 三世諸佛諸代祖師 種種方便 翻爲妄語矣 承公發書時 焚香對諸聖 及遙禮菴中而後遣 公誠心至切如此 相去雖不甚遠 未得面言 信意信手 不覺忉怛如許 雖若繁絮 亦出誠至之心 不敢以一言一字相欺 苟欺公則是自欺耳 又記得 善財見最寂靜婆羅門 得誠語解脫 過去現在未來諸佛菩薩 於阿耨菩提 無已退無現退無當退 凡有所求莫不成滿 皆由誠至所及也 公旣與竹椅蒲團爲侶 不異善財見最寂靜婆羅門 又發雲門書 對諸聖遙禮而後遣 只要雲門信許 此誠至之劇也 但相聽 只如此做工夫 將來於阿耨菩提成滿無疑矣
●宗匠; 禪宗大師
●惡覺; 惡之思想
●無常; (一)謂世間萬事萬物生滅遷流 不能永恒存在 也指人生短暫易逝 ▲翻譯名義集六 薩迦耶薩 此云無常 荀卿曰 趨舍無定 謂之無常 唐因明正理論云 本無今有 暫有還無 故名無常 ▲淨名經關中釋抄上 二種無常 一事無常 謂四時遷變顔貌衰老等 事物變移爲無常也 二理無常 謂體有爲之法 刹那刹那性自遷易 豈待葉落白首相異然後爲無常也 (二)指死期
●世間; 世爲遷流之義 破壞之義 覆眞之義 間爲中之義 墮於世中之事物 謂之世間 又間隔之義 世之事物 個個間隔而爲界畔 謂之世間 卽與所謂世界相同 大要有二種 一有情世間 謂有生者 二器世間 國土也 [楞嚴經四 唯識述記一本]
●虛幻; 幻術所作之物 虛而不實 故云虛幻 ◆幻; 指假相 一切事象皆無實體性 唯現出如幻之假相 卽幻相 ▲圓覺經普賢菩薩章 譬如鑽火 兩木相因 火出木盡 灰飛煙滅 以幻修幻 亦復如是 諸幻雖盡 不入斷滅 善男子 知幻卽離 不作方便 離幻卽覺 亦無漸次
●大事因緣; 一大事之因緣 一大事 開顯實相妙理之事業 開示佛知見之事業也 一大者 實相之妙理 謂佛知見 卽法華之妙法也 宗門一大事者 非類敎家說 直指自己本分事 云一大事也 又人之生死 謂爲大事 善導之臨終正念訣曰 世之大事 莫越生死 一息不來 乃屬後生 一念若錯 便墮輪迴
●士人; 泛稱研究學問或有學問的人 男子的通稱 人民 百姓
●劫; 梵語劫波 劫跛 劫簸 羯臘波 此云分別時分 分別時節 長時 大時 時 原爲古代印度婆羅門敎極大時限之時間單位 佛敎沿之 而視之爲不可計算之長大年月 故經論中多以譬喩故事喩顯之 [智度論三十八 釋迦氏譜 慧苑音義上]
●善知識; 又單云知識 知識者 知其心識其形之義 知人乃朋友之義 非博知博識之謂 善者於我爲益 導我於善道者 ▲法華文句四 聞名爲知 見形爲識 是人益我菩提之道 名善知識
●熏習; 又作薰習 身口所現之善惡行法 或意所現之善惡思想起時 其氣分留於眞如或阿賴耶識 如香之於衣也 其身口意所現者 謂之現行法 氣分留於眞如或阿賴耶識者 謂之種子或習氣 因而現行法於眞如或阿賴耶識 留其種子或習氣之作用 謂之薰習 ▲起信論 薰習義者 如世間衣服實無於香 若人以香而薰習故 則有香氣
●般若; <梵> Prajna 又作波若 般羅若 鉢剌若 此翻爲慧 智慧 明 黠慧 菩薩爲達彼岸 必修六種行 亦卽修六波羅蜜 其中之般若波羅蜜(智慧波羅蜜) 卽稱爲諸佛之母 成爲其他五波羅蜜之根據 [解脫道論九分別慧品 梁粱譯攝大乘論中 大智度論四十三 同七十二]
●種智; 祖庭事苑四 種智 根本智內證眞如 卽法報二身 名一切智 後得智外照有緣 應物現形 如水中月 卽三種化身(大化身 小化身 隨類不定) 名種智也 故此二名云一切種智
●聖賢; 靈明洞鑑曰聖 又聖猶正也 以正敎誨人也 超凡亞聖曰賢 [禪林寶訓音義]
●究竟; 一事理道法至極高深之處 終極永恒的眞理 二畢竟 此指一
●脚下; 當念之義 [大慧書栲栳珠]
●邪魔; 惡邪之魔羅也 魔羅爲惡鬼神之總稱 佛書以妄見爲邪魔 言足爲正道之障也
●外道; 又作外敎 外法 外學 指佛敎以外之一切宗敎 與儒家所謂異端一語相當 ▲三論玄義 至妙虛通 目之爲道 心遊道外 故名外道 ▲宗鏡錄二十六 心外見法 盡名外道
●崖將去; 意爲硏窮之義 崖與捱音同 捱 拒也
●靜勝; 靜慮之中有勝妙境界 故云靜勝 [大慧書栲栳珠]
●佛; <梵> buddha 翻譯名義集七 肇曰 佛者何也 蓋窮理盡性大覺之稱也 其道虛玄 固已妙絶常境 心不可以智知 形不可以像測 同萬物之爲 而居不爲之域 處言數之內 而止無言之鄕 非有而不可爲無 非無而不可爲有 寂寞虛曠 物莫能測 不知所以名 故强謂之覺 ▲四十二章經解 佛者 梵語 具云佛陀 此翻覺者 謂自覺覺他覺行圓滿 自覺不同凡夫 覺他不同二乘 覺滿不同菩薩 卽是釋迦牟尼如來萬德慈尊 娑婆世界之敎主也
●誓願; 立誓而願事也 諸佛菩薩必有總別二種之誓願 總誓願者四弘誓願是也 別誓願者如阿彌陀佛之四十八願 藥師之十二願是也
●加被; 神佛之力加於衆生而與之也
●無上正等菩提; 菩提新譯曰覺 卽無上正等覺也 稱諸佛無上之正智而曰正等覺 覺者覺知諸法之智也 其智無邪曰正 無偏曰等
●慧命; 指佛敎法脉 智慧是佛敎的生命 故稱慧命
●善財; 按華嚴經入法界品 文殊師利在福城東 住莊嚴幢娑羅林中 其時福城長者子有五百童子 善財其一人也 善財生時 種種珍寶自然涌出 以此事故 父母親屬及善相師 共呼此兒名曰善財 善財詣文殊師利所發心 從此漸次南行 參五十三知識而證入法界
●童子; 梵語究摩羅 鳩摩羅迦 爲八歲以上未冠者之總稱 西國希出家而寄侍於比丘所者 稱曰童子 又經中稱菩薩爲童子 卽非稚齒 以菩薩是如來之王子故也 又取無婬欲念 如世童子之意 [寄歸傳三 玄應音義五 釋氏要覽上]
●文殊; 三藏法數七 文殊三名[出翻譯名義] 一文殊師利 梵語文殊師利 華言妙德 謂具不可思議種種微妙功德 故名妙德 二滿殊尸利 梵語滿殊尸利 華言妙首 謂具不可思議微妙功德 在諸菩薩之上 故名妙首 三曼殊室利 梵語曼殊室利 華言妙吉祥 謂具不可思議微妙功德 最勝吉祥 故名妙吉祥
●一百一十城; 善財童子五十三參 起自福城 後次第南行 所走訪善知識之城數 共計一百一十城 ▲華嚴經七十八 此長者子 曩於福城受文殊敎 展轉南行 求善知識 經由一百一十善知識已 然後而來 至於我所
●參; (一)動詞 卽學人拜見師家以問道 又修行坐禪亦稱參 如參禪辨道 (二)名詞 如詰旦升堂爲早參(朝參) 晡時(今午後四時)念誦爲晩參 晩參前坐禪爲坐參 每五日一參爲五參上堂 定期上堂爲大參 住持不定時集衆問答應酬爲小參等
●五十三善知識; 出華嚴經 下略記顚末 一參 善財最初受文殊敎 往勝樂國妙峰山 參德雲比丘 二參 善財承敎 向海門國 參海雲比丘 三參 善財承敎 至楞伽道邊 海岸聚落 參善住比丘 四參 善財承敎 至達里鼻茶國自在城 參彌伽大士 梵語達里鼻茶 華言消融 五參 善財承敎 漸次遊行十有二年 至住林城 參解脫長者 六參 善財承敎 至閻浮提畔利伽羅國 參海幢比丘 七參 善財承敎 至海潮處普莊嚴國 參休捨優婆夷 八參 善財承敎 向那羅素國 參毘目瞿沙仙人 梵語那羅素 華言不懶惰 九參 善財承敎 至伊沙那聚落 參勝熱婆羅門 梵語伊沙那 華言長直 十參 善財承敎 至師子奮迅城 參慈行童女 十一參 善財承敎 至三眼國 參善見比丘 十二參 善財承敎 至名聞國河渚中 參自在主童子 十三參 善財承敎 至海住大城 參具足優婆夷 十四參 善財承敎 至大興城 參明智居士 十五參 善財承敎 至師子大城 參法寶髻長者 十六參 善財承敎 至藤根國普門城 參普眼長者 十七參 善財承敎 至多羅幢城 參無厭足王 十八參 善財承敎 至妙光城 參大光王 十九參 善財承敎 至安住國 參不動優婆夷 二十參 善財承敎 至都薩羅城 參遍行外道 二十一參 善財承敎 至廣大國 參鬻香長者 名優鉢羅華 二十二參 善財承敎 至樓閣大城 參婆施羅船師 二十三參 善財承敎 至可樂城 參無上勝長者 二十四參 善財承敎 至輸那國迦陵迦林城 參師子頻申比丘尼 梵語輸那 華言勇猛 梵語迦陵迦 華言相鬪戰 二十五參 善財承敎 至險難國寶莊嚴城 參婆須蜜多女 二十六參 善財承敎 至善度城 參鞞瑟胝羅居士 二十七參 善財承敎 至補怛洛迦山 參觀自在菩薩 梵語補怛洛迦 華言海島 又云小白華 二十八參 善財承敎已 爾時東方有一菩薩 名曰正趣 從空中來 放身光明 映蔽一切日月星電 觀自在菩薩 遂令善財參禮 二十九參 善財承敎 至墯羅鉢底城 參大天神 三十參 善財承敎 至摩竭提國菩提場中 參安住地神 三十一參 善財承敎 至摩竭提國迦毘羅城 參婆珊婆演底主夜神 三十二參 善財承敎 至摩竭提國菩提場中 參普德淨光主夜神 三十三參 善財承敎 卽於菩提場右邊 參喜目觀察衆生主夜神 三十四參 善財承敎 卽於會中 參普救衆生妙德夜神 三十五參 善財承敎 參寂靜音海主夜神 三十六參 善財承敎 卽於菩提場如來會中 參守護一切衆生主夜神 三十七參 善財承敎 卽於此佛會中 參開敷一切樹花主夜神 三十八參 善財承敎 卽於會中 參大願精進力救護衆生夜神 三十九參 善財承敎 至藍毘尼園 參妙德圓滿神 四十參 善財承敎 至迦毘羅城 參釋迦瞿波女 四十一參 善財承敎 一心欲詣摩耶夫人所 四十二參 善財承敎 遂往天宮 參王女天主光 四十三參 善財承敎 從天宮下 至迦毘羅城 參遍友童子 四十四參 善財承敎 卽於會中 參善知衆藝童子 四十五參 善財承敎 至摩竭提國婆怛那城 參賢勝優婆夷 四十六參 善財承敎 至沃田城 參堅固解脫長者 四十七參 善財承敎 卽於本城 參妙月長者 四十八參 善財承敎 至出生城 參無勝軍長者 四十九參 善財承敎 至城南法聚落 參最寂靜婆羅門 五十參 善財承敎 至妙意華門城 參德生童子及有德童女 五十一參 善財承敎 至海岸國大莊嚴園 其中有一廣大樓閣 名毘盧遮那莊嚴殿 善財於樓閣前 恭敬頂禮 讚歎稱揚 一心願見彌勒菩薩 時彌勒菩薩 從別處來 爲說種種法要 五十二參 善財承敎 到普門國蘇摩那城 思惟觀察 喜欲奉覲文殊師利 爾時文殊師利 遙伸右手 過一百一十由旬 按善財頂 爲說妙法 五十三參 善財於文殊師利所 得三昧已 普攝諸根 一心求見普賢菩薩 起大精進 心無退轉 卽見普賢菩薩在如來前衆會之中 坐寶蓮華師子之座 [三藏法數三十七]
●彌勒一彈指; 修華嚴奧旨妄盡還源觀 如善財童 從祇桓林中漸次南行 至毘盧遮那莊嚴大樓閣前 暫時歛念 白彌勒菩薩言 唯願大聖 開樓閣門令我得入 彌勒彈指其門卽開 善財入已還閉如故 見樓閣中有百千樓閣 一一樓閣前各有彌勒菩薩 一一彌勒菩薩前 各有善財童子 一一善財童子 皆悉合掌在彌勒前 以表法界重重 猶如帝網無盡也 ◆彌勒; <梵> Maitreya <巴> Metteyya 科註妙法蓮華經一 彌勒者 此云慈氏 思益云 若衆生見者 卽得慈心三昧 故名以慈氏 是菩薩現居知足內院 當來出興于堪忍 補釋迦之處 號彌勒世尊 於華林園內龍華樹下 而成正覺 智論三十四云 龍華初會度九十九億聲聞 第二會度九十六億聲聞 第三會度九十三億聲聞
●法門; 門者差別之義 所說之法義有種種差別 故云法門 ▲增一阿含經十 如來開法門 聞者得篤信 ▲起信論疏上 軌生眞解 故名爲法 通入涅槃 故名爲門
●由旬; <梵><巴> yojana 又作兪旬 揄旬 由延 或踰闍那 新稱踰繕那 爲計里程之數目 帝王一日行軍之里程也 或云四十里 或云三十里 [西域記二 玄應音義二]
●善哉; 梵語娑度 此翻爲善哉 契合我意之稱歎語
●善男子; 佛稱在家出家之男女曰善男子善女人 善者 美其信佛聞法也
●信根; 五無漏根之一 信三寶四諦等之道理者
●功德; 可以引得善報的功業德行 又德者得也 修功有所得 故曰功德 ▲傳燈錄三第二十八祖菩提達磨 帝(梁武帝)問曰 朕卽位已來 造寺寫經度僧不可勝紀 有何功德 師曰 並無功德
●行願; 身之行與心之願 此二相資而成大事
●法性; 指諸法之眞實體性 亦卽宇宙一切現象所具有之眞實不變之本性 又作眞如法性 眞法性 眞性 又爲眞如之異稱 法性乃萬法之本 故又作法本
●阿僧祇; <梵> asaṃkhya 爲印度數目之一 無量數或極大數之意 又作阿僧伽 阿僧企耶 阿僧 僧祗 華言不可算計 或無量數 無央數 於印度六十種數目單位中 阿僧祗爲第五十二數 [新華嚴經四十五阿僧祇品 俱舍論十二分別世間品 大智度論四] ▲智度論五十一 僧祇 秦言數 阿 秦言無
●普賢; 梵名邲輸跋陀 又作三曼多跋陀羅 或譯曰普賢 或作遍吉 主一切諸佛之理德定德行德 與文殊之智德證德相對 卽理智一雙 行證一雙 三昧般若一雙也 故以爲釋迦如來之二脅士 文殊駕師子侍佛之左方 普賢乘白象 侍佛之右方(今反智右理左之說者 示理智融通之義 又胎藏界之次第右蓮左金也) 此理智相卽 行證相應 三昧與般若全者 卽毘盧舍那法身佛也 華嚴一經之所明 歸於此一佛二菩薩之法門 故稱爲華嚴三聖 [法華義疏十二 探玄記二 大日經疏一]
●三千大千世界; 略稱大千世界 大千界 經說世界有小千中千大千之別 合四大洲日月諸天爲一世界 一千世界名小千世界 小千加千倍名中千世界 中千加千倍名大千世界 ▲俱舍論十一 頌曰 四大洲日月 蘇迷盧欲天 梵世各一千 名一小千界 此小千千倍 說名一中千 此千倍大千 皆同一成壞
●解脫; 梵語毘木叉 毘目叉 毘木底 又作木叉 木底 意謂解放 指由煩惱束縛中解放 而超脫迷苦之境地 以能超度迷之世界 故又稱度脫 以得解脫 故稱得脫 [大般涅槃經五 顯揚聖敎論十三 十住毘婆沙論十一]
●刹; (一)梵語刹多羅 差多羅 刹摩的略稱 此云土田 土 國 卽指國土 或梵漢竝稱爲刹土 一般所熟知之佛刹卽佛土之意 (二)梵語剌瑟胝的略稱 意謂標誌 記號 指旗杆或塔之心柱 一般稱寺院謂寺刹 梵刹 金刹 或名刹等 蓋佛堂前自古有建幡竿(卽刹)之風 故得此名
●恁麽; 這 這樣 如此 其類似用語有與麽 什麽 漝麽 甚麽 怎麽 作麽等
●三毒; 祖庭事苑七 三毒 謂貪嗔癡 四解脫經云 三毒感三塗 嗔忿火塗(地獄塗) 慳貪刀塗(餓鬼塗) 愚癡血塗(畜生塗)
●三聚淨戒; 簡稱三聚戒 一攝律儀戒 受持五八十具等一切之戒律者 二攝善法戒 以修一切善法爲戒者 三攝衆生戒 又云饒益有情戒 以饒益一切衆生爲戒者 是華嚴梵網占察瓔珞等經 瑜伽唯識等論所說 此三者積聚 故云三聚 戒有大小 十戒二百五十戒等爲小乘戒 十重四十八輕戒三聚戒等爲大乘戒 又有在家出家之別 五戒八戒爲在家戒 十戒二百五十戒爲出家 三聚戒 爲道俗通行戒 卽大乘之菩薩無論出家在家 皆受之也 但在家之菩薩 凡受此三聚以爲心者 謂之通受 出家之菩薩 其初別受攝律儀戒 卽二百五十戒及十重等(攝律儀之中有一切大小之戒) 是名別受 次乃總受之三聚也 此通受之有二種 一者從他得 唯對於師而得 二者自誓得 唯於佛像前以善心自誓而得 皆不要白四羯磨之作法也
●六識; 三藏法數二十一 六識[出法界次第] 六識者 眼耳鼻舌身意 各有識也 謂依五根 能見五塵 而爲五識 於五塵境 而起分別 爲第六識 一眼識 謂眼根若對色塵 卽生眼識 眼識生時 但能見色 而未起分別也 二耳識 謂耳根若對聲塵 卽生耳識 耳識生時 但能聞聲 而未起分別也 三鼻識 謂鼻根若對香塵 卽生鼻識 鼻識生時 但能齅香 而未起分別也 四舌識 謂舌根若對味塵 卽生舌識 舌識生時 但能嘗味 而未起分別也 五身識 謂身根若對觸塵 卽生身識 身識生時 但能覺觸 而未起分別也 六意識 謂意根若對法塵 卽生意識 意識生時 卽能於五塵之境 分別善惡好醜也
●六神通; 又作六通 指六種超人間而自由無礙之力 三藏法數十九 六神通[出法界次第] 瓔珞經云 神名天心 通名慧性 天然之慧 徹照無礙 故名神通 一天眼通 謂能見六道衆生 死此生彼苦樂之相 及見一切世間種種形色 無有障礙 是名天眼通 二天耳通 謂能聞六道衆生苦樂憂喜語言 及世間種種音聲 是名天耳通 三知他心通 謂能知六道衆生心中所念之事 是名知他心通 四宿命通 謂能知自身一世二世三世 乃至百千萬世宿命及所作之事 亦能知六道衆生各各宿命及所作之事 是名宿命通 五身如意通 謂身能飛行 山海無礙 於此界沒 從彼界出 於彼界沒 從此界出 大能作小 小能作大 隨意變現 是名身如意通 六漏盡通 漏盡通者 漏卽三界見思惑也 謂羅漢斷見思惑盡 不受三界生死 而得神通 是名漏盡通
●菩提; <梵> bodhi 舊譯爲道 新譯爲覺 道者通義 覺者覺悟之義 然所通所覺之境 有事理之二法 理者涅槃 斷煩惱障而證涅槃之一切智 是通三乘之菩提也 事者一切有爲之諸法 斷所知障而知諸法之一切種智 是唯佛之菩提也 佛之菩提 通於此二者 故謂之大菩提 [智度論四 注維摩經四]
●無明; 謂闇鈍之心 無照了諸法事理之明 卽癡之異名也 ▲菩薩瓔珞本業經上 無明者 名不了一切法 ▲大乘義章四 言無明者 癡闇之心 體無慧明 故曰無明
●絡索; 絡 纏絲 索 繩索 乃繩索 或語言糾葛不淸之意
●三昧; 玄應音義六 三昧 正言三摩地 此云等持 持諸功德也 或云正定 謂住緣一境 離諸邪亂也 舊云三摩提者訛也 ▲翻譯名義集四 三昧 此云調直定 又云正定 亦云正受 圭峰疏云 不受諸受 名爲正受 ▲祖庭事苑五 三昧者 三之曰正 昧之曰定 亦云正受 謂正定不亂 能受諸法 憶持揀擇 故名正受 亦云等持 爲正定能發生正慧 等持諸法 是故名之爲等持
●習氣; 又作煩惱習 餘習 殘氣 略稱習 ▲俱舍論記一 言習氣者 習謂數習 氣謂氣分 有諸煩惱及劣智等 數習氣分 故名習氣 習之氣故 名爲習氣 ▲四敎儀科解中 習卽慣習 氣謂氣分 卽是慣習正使氣分 如久鎻脚人 卒得解脫 行時雖無尙有習在 又如香在器中 雖除其香 餘氣猶有
●地獄; <梵> naraka 或 niraya <巴> niraya 爲五道之一 六道之一 三惡道之一 玄應音義六 地獄 梵言泥黎耶 或言泥囉夜 或云那落迦 此云不可樂 亦云非行 謂非法行處也 ▲慧琳音義二十六 地獄一百三十六所 初有八熱地獄 一等活 二黑繩 三衆合 四號叫 五大號叫 六燒燃 七極燒燃 八阿鼻大地獄也 一一地獄各有四門 一一門外復有四獄 一煻煨 二屍糞 三鋒刃 四烈河 此八地獄是根本 各有十六以爲眷屬 合成一百三十六也 ▲翻譯名義集二 輔行云 地獄 從義立名 謂地下之獄 名爲地獄 故婆沙云 贍部洲下 過五百踰繕那 乃有其獄
●天堂; 指天衆所住之宮殿 又作天宮 與地獄對稱
●佛乘; 一華嚴所立 說一切衆生悉可成佛之道之敎法 謂之佛乘 此法不分二乘三乘等 說唯一成佛之法 故又云一乘 華嚴法華所說之圓敎是也 二三乘之一 三乘中之菩薩乘 對於聲聞獨覺之二乘而云佛乘 以菩薩乘爲成佛之法故也
●三世; 又云三際 過去現在未來 又前世現世來世 世者遷流之義 有爲之事物 一刹那之間亦不止 生了直滅 因之謂來生爲未來世 生了爲現在世 滅了爲過去世 此於事物遷流上 假立三種之世 離事物別無世之實體 [寶積經九十四] ▲雜阿含經二十七 有三世 何等爲三 謂過去世 未來世 現在世
●祖師; 祖者始也 開創一宗一派之人 謂之開祖 或傳承其敎法之人 謂之列祖 開祖有宗祖派祖之別 例如一般尊稱菩提達摩爲禪宗之宗祖 義玄良价則分別爲臨濟宗曹洞宗之派祖 佛敎各宗派 皆重視其列祖之相承 例如禪宗有西天二十八祖東土六祖 天台宗有東土九祖十七祖 華嚴宗有五祖七祖十祖 眞言宗有八祖 淨土宗有五祖十六祖等 ▲春秋正義 啖助曰 三傳(左傳 公羊傳 穀梁傳)之義 本皆口傳 後之學者 乃著竹帛 而以祖師之目題之 ▲漢書外戚傳 定陶丁姬 哀帝母也 易祖師丁將軍之玄孫 師古注曰 祖 始也 丁寬易之始師 故釋老二氏 稱其創立宗派之人曰祖師 ▲釋氏要覽上 此士自達磨西來 距曹溪能大師 六人得稱祖師
●妄語; 十惡之一 謂搆造虗言 欲人取信 然妄語有大小之別 大妄語者 謂未得言得 未證言證 以貪圖名利 顯異惑衆 故成大妄語也 小妄語者 謂不見言見 見言不見 聞言不聞 不聞言聞 以慢習矯詐 輕侮前人 則成小妄語也 [傳戒正範]
●信意信手; 信 隨意 任凭 如信手拈來
●忉怛; 多語 嘮叨(叨亦嘮)
●繁絮; 繁雜囉唆
●婆羅門; <梵> brāhmaṇa 玄應音義十八 婆羅門 此言訛略也 應云婆羅賀磨拏 此義云承習梵天法者 其人種類自云 從梵天口生 四姓中勝 故獨取梵名 唯五天竺有 諸國卽無 經中梵志亦此名也 正言靜胤 言是梵天之苗胤也 ▲首楞嚴義疏注經二 婆羅門 此云梵志 或淨志
●菩薩; (一)具名菩提薩埵 舊譯爲大道心衆生 道衆生等 新譯曰大覺有情 覺有情等 謂是求道之大心人 故曰道心衆生 求道求大覺之人 故曰道衆生 大覺有情 又薩埵者勇猛之義 勇猛求菩提故名菩提薩埵 又譯作開士 始士 高士 大士等 義譯也 總名求佛果之大乘衆 [注維摩經一 大乘義章十四 法華玄贊二 佛地論二 淨名疏一] (二)對僧人的敬稱
●阿耨菩提; 阿耨多羅三藐三菩提 略稱阿耨三菩提 阿耨菩提 此云無上正等正覺 無上正等覺 無上正遍知 阿耨多羅譯爲無上 三藐三菩提譯爲正遍知 乃佛陀所覺悟之智慧 含有平等圓滿之意 ▲維摩經佛國品肇註 阿耨多羅秦言無上 三藐三菩提秦言正遍知 道莫之大無上也 其道眞正無法不知正遍知也 ▲法華經玄贊二 阿云無 耨多羅云上 三云正 藐云等 又三云正 菩提云覺 卽是無上正等正覺
●蒲團; 以蒲草編織而成之圓形扁平坐具 乃僧人坐禪及跪拜時所用之物
●相聽; 相 表示一方對另一方有所動作
서급(敘及; 敍述해 이르다)을 접수(接受; 承)했습니다. 유년(幼年)으로부터 사환(仕宦; 벼슬살이를 함)에 이르기까지 여러 대종장(大宗匠)을 참례했고 중간에 과거(科擧)와 혼환(婚宦)에 부리는(役) 바가 되었고 또 악각(惡覺)과 악습(惡習)이 이기는(勝) 바가 되어 능히 순일(純一)하게 공부를 짓지 못하였으니 이로써 대죄(大罪)를 삼고 또 능히 무상(無常)한 세간(世間)의 갖가지 허환(虛幻)은 하나도 가히 즐길 게 없음을 통념(痛念)하고 전심(專心)으로 이 일단(一段)의 대사인연(大事因緣)을 참구하고 싶다 하니 심히 병승(病僧; 대혜 자신을 가리킴)의 뜻에 맞습니다(愜). 그러나 이미 사인(士人)이 되었으니 앙록(仰祿; 祿을 仰望)하며 생(生; 일생)으로 삼아야 합니다. 과거(科擧)와 혼환(婚宦)은 세간에서 능히 면하지 못할 바의 것이며 또한 공(公)의 죄가 아니거늘 소죄(小罪)로써 대포구(大怖懼)를 내었습니다. 무시(無始)의 광대겁래(曠大劫來)로 진선지식(眞善知識)을 승사(承事; 받들어 모심)하고 반야종지(般若種智)의 깊음을 훈습(熏習)하지 않았다면 어찌(焉) 능히 이와 같겠습니까. 공(公)이 이른 바 대죄란 것은 성현(聖賢)일지라도 또한 능히 면하지 못합니다. 단지 허환(虛幻)이라 구경법(究竟法)이 아님을 알았다면 능히 차개(此箇; 箇는 조사)의 문중(門中)으로 회심(回心)하여 반야지수(般若智水)로써 구염(垢染; 汚染)의 더러운 것을 척제(滌除)하고 청정하게 자거(自居)하면서 각하(脚下)로 좇아가며 일도(一刀)로 양단(兩段)하여 다시 상속심(相續心)이 일어나지 않는다면 족할 것이니 사전염후(思前念後)함이 필요치 않습니다. 이미 가로되 허환(虛幻)이니 곧 작(作)할 때도 또한 환(幻)이며 수(受)할 때도 또한 환이며 지각(知覺)할 때도 또한 환이며 미도(迷倒)할 때도 또한 환이며 과거ㆍ현재ㆍ미래가 모두 다 이 환입니다. 금일 그름(非)을 알았으니 곧 환약(幻藥)으로써 다시(復) 환병(幻病)을 치료하여 병이 낫고(瘥; 병 나을 채) 약을 제거하면 의전(依前; 如前. 仍舊)히 다만 이 구시인(舊時人)입니다. 만약 달리 인(人)이 있고 법(法)이 있다 하면 곧 이는 사마(邪魔)와 외도(外道)의 견해니 공(公)은 깊이 이를 사유하십시오. 단지 이와 같이 애장거(崖將去)하면서 시시(時時)로 정승(靜勝) 가운데 간절히 수미산(須彌山)과 방하착(放下著) 양칙어(兩則語)를 잊어버림을 얻지 말고 단지 각하(脚下)로 좇아 착실(著實; 切實. 誠心)히 지어(做) 가지고 가되 이미 지난 것은 포외(怖畏)를 쓰지(須) 말고 또한 사량(思量)함도 필요치 않나니 사량과 포외는 곧 장도(障道)입니다. 단지 제불(諸佛) 앞에서 대서원(大誓願)을 발(發)하되 원하오니 이 마음이 견고하여 길이(永) 퇴실(退失)하지 않고 제불의 가피(加被)에 의지하고(仗) 선지식을 만나 일언지하(一言之下)에 문득 생사를 잊고(亡) 무상정등보리(無上正等菩提)를 오증(悟證)하고 부처의 혜명(慧命)을 잇고 제불의 막대지은(莫大之恩)에 보답하리라. 만약 이와 같다면 곧 구구(久久; 오래오래 하다)에 깨치지 못할 이치가 있지 않습니다. 보지 못했습니까, 선재동자(善財童子)가 문수(文殊)로 좇아 발심(發心)하여 점차 남행(南行)하여 일백일십성(一百一十城)을 지나며 오십삼선지식(五十三善知識)을 참(參)했는데 말후에 미륵이 한 번 탄지(彌勒一彈指)하는 경각(頃刻; 頃)에 전래(前來; 以前. 從前)에 여러 선지식에게서 얻은 바 법문(法門)을 문득 잊었고(亡) 다시 미륵의 가르침에 의해 사유하되 문수를 봉근(奉覲)하려고 했다. 이에 문수가 우수(右手)를 멀리서(遙) 뻗어 1백4십 유순(由旬)을 지나 선재의 정수리를 어루만지며 가로되 선재(善哉)로다, 선재로다. 선남자(善男子)야, 만약 신근(信根)을 여의면 마음이 열등(劣等; 劣)하여 우회(憂悔)하고 공행(功行)을 갖추지 못하고 정근(精勤)을 퇴실(退失)하고 하나의 선근(善根)에 마음이 주착(住著)함을 내고 적은 공덕(功德)에 바로(便) 만족을 삼아 능히 선교(善巧)하게 행원(行願)을 발기(發起)하지 못하며 선지식이 섭호(攝護)하는 바가 되지 않는다. 내지 능히 이와 같은 법성(法性)ㆍ이와 같은 이취(理趣)ㆍ이와 같은 법문ㆍ이와 같은 소행(所行)ㆍ이와 같은 경계를 요지(了知)하지 못한다. 주편(周遍)하여 알거나(若; 어조사) 종종(種種)으로 알거나 원저(源底)를 다하거나 해료(解了)하거나 취입(趣入)하거나 해설하거나 분별하거나 증지(證知)하거나 획득하거나를 모두 다 능하지 못한다. 문수가 이와 같이 선재에게 선시(宣示)하자 선재가 언하(言下)에 아승기(阿僧祇) 법문을 성취했고 무량한 대지광명(大智光明)을 구족했고 보현문(普賢門)에 들어갔다. 일념 중에 삼천대천세계(三千大千世界)의 미진수(微塵數) 제선지식(諸善知識)을 모두 보고 모두 다 친근하고 공경하며 승사(承事; 받들어 모심)하고 그 가르침을 받아 행하고 불망념지(不忘念智)와 장엄장해탈(莊嚴藏解脫)을 얻고 이지(以至; 乃至) 보현모공찰(普賢毛孔刹)에 들어가 일모공(一毛孔)에 일보(一步)를 다니면서 불가설불가설(不可說不可說)의 불찰미진수세계(佛刹微塵數世界)를 지나 보현과 동등(同等; 等)하고 제불과 동등하고 찰(刹)과 동등하고 행(行)과 동등하고 및 해탈자재(解脫自在)가 모두 다 동등하여 둘도 없고 다름도 없나니(無二無別) 이러한(恁麽) 때를 당해야 비로소 능히 삼독(三毒)을 돌이켜(回) 삼취정계(三聚淨戒)로 삼고 6식(六識)을 돌이켜 6신통(六神通)으로 삼고 번뇌를 돌이켜 보리(菩提)로 삼고 무명(無明)을 돌이켜 대지(大智)로 삼는다. 위와 같은 이 1낙삭(絡索)은 다만 당인(當人)의 말후의 일념의 진실에 있을 따름입니다. 선재가 미륵이 탄지(彈指)하는 사이에 오히려(尙) 능히 제선지식에게서 증(證)한 바의 삼매(三昧)를 문득 잊었거늘(亡) 하물며 비롯함이 없는 허위(虛僞)의 악업의 습기(習氣)이겠습니까. 만약 이전(以前)에 지은 바의 죄가 실(實)이 된다면 곧 현금(現今) 목전의 경계도 모두 실유(實有)가 될 것이며 내지 관직ㆍ부귀ㆍ은애(恩愛)도 모두 다 이 실(實)이며 이미 이 실인지라 곧 지옥(地獄)과 천당(天堂)도 또한 실이며 번뇌와 무명도 또한 실이며 작업자(作業者; 업을 짓는 자)도 또한 실이며 수보자(受報者; 과보를 받는 자)도 또한 실이며 소증(所證)의 법문도 또한 실입니다. 만약 저반(這般; 這樣. 如此)의 견해를 짓는다면 곧 미래제(未來際)가 다하도록 다시 불승(佛乘)으로 나아갈(趣) 사람이 있지 않을 것이며 삼세제불(三世諸佛)과 제대조사(諸代祖師)의 갖가지 방편도 도리어(翻)이 망어(妄語)가 될 것입니다. 듣건대(承; 聞. 聽說) 공(公)이 발서(發書; 서신을 발송)할 때 제성(諸聖)을 대하여 분향(焚香)하고 및 멀리서(遙) 암중(菴中)에 예배한 후에 보내었다(遣) 하니 공(公)의 성심(誠心)이 지절(至切; 지극히 간절)함이 이와 같습니다. 서로의 거리(距離; 去)가 비록 심원(甚遠)하지 않고 면언(面言; 대면해 말함)함을 얻지 못했지만 신의신수(信意信手; 뜻 가는 대로 손 가는 대로)하여 불각(不覺)에 도달(忉怛)이 여허(如許; 許多. 如此)했습니다. 비록 번서(繁絮)한 듯하지만(若) 또한 성지지심(誠至之心; 정성이 지극한 마음)에서 나왔으며 감히 일언일자(一言一字)로써 상기(相欺)하지 않습니다. 참으로(苟) 공(公)을 속인다면(欺) 곧 이는 자기를 속임일 뿐입니다. 또 기득(記得)컨대 선재(善財)가 최적정바라문(最寂靜婆羅門; 선재의 제49참 선지식)을 뵙고 성어해탈(誠語解脫)을 얻었으니 과거ㆍ현재ㆍ미래의 제불보살(諸佛菩薩)이 아뇩보리(阿耨菩提)에 이퇴(已退; 과거에 이미 退轉함)가 없고 현퇴(現退; 현재 퇴전함)가 없고 당퇴(當退; 當來에 퇴전함)가 없어 무릇(凡) 구하는 바가 있으면 성만(成滿)하지 못함이 없음은 모두 성지(誠至)로 말미암아 미치는 바입니다. 공(公)이 이미(旣) 죽의(竹椅)와 포단(蒲團)과 더불어 벗(侶)으로 삼았다 하니 선재가 최적정바라문을 뵌 것과 다르지 않습니다. 또 운문(雲門; 雲門庵. 大慧가 머물렀음)으로 서신을 보내면서 제성(諸聖)을 대해 요례(遙禮)한 후에 보냈다 함은 다만 운문의 신뢰를 요함인가 하니 이는 성지(誠至)의 심함(劇)입니다. 단지 상청(相聽)할지니 다만 이와 같이 공부를 지으면 장래에 아뇩보리(阿耨菩提)를 성만(成滿)함이 의심 없습니다.
●宗匠; 선종(禪宗)의 대사(大師).
●惡覺; 악한 사상.
●無常; (1). 이르자면 세간의 만사만물이 생멸하며 천류(遷流)하는지라 능히 영항(永恒; 영원. 恒久)토록 존재하지 못함. 또 인생이 단잠(短暫; 짧고 잠시)이면서 쉽게 감을 가리킴. ▲번역명의집6. 살가야살(薩迦耶薩) 여기에선 이르되 무상(無常)이다. 순경(荀卿)이 가로되 추사(趨舍; 趨捨니 取捨의 뜻)가 정함이 없음을 일컬어 무상(無常)이다. 당(唐) 인명정리론에 이르되 본래 없다가 지금 있으며 잠시 있다가 도리어 없는지라 고로 이름이 무상(無常)이다. ▲정명경관중석초상. 2종 무상(無常) 1. 사무상(事無常) 이르자면 사시(四時)의 천변(遷變; 변천)과 안모(顔貌)의 쇠로(衰老) 등이니 사물이 변이(變移)함이 무상이 됨이다. 2. 이무상(理無常) 이르자면 유위의 법을 체득하매 찰나찰나 자성이 스스로 천역(遷易; 변천하여 바뀜)하거늘 어찌 잎 떨어지고 머리가 하얗게 되어 서로 달라짐을 기다린 연후에 무상(無常)이 되겠는가. (2). 사기(死期)를 가리킴.
●世間; 세(世)는 천류(遷流)의 뜻이며 파괴의 뜻이며 부진(覆眞)의 뜻이며 간(間)은 중(中)의 뜻이 됨. 세중(世中)의 사물(事物)에 떨어짐을 이를 일러 세간이라 함. 또 간격(間隔)의 뜻이니 세(世)의 사물은 개개(個個)가 간격하여 계반(界畔)이 되며 이를 일러 세간이라 함. 곧 이른 바 세계(世界)와 서로 같나니 대요(大要)에 2종이 있음. 1은 유정세간(有情世間)이니 이르자면 생자(生者)가 있음이며 2는 기세간(器世間)이니 국토임 [릉엄경4. 유식술기1본].
●虛幻; 환술(幻術)로 지은 바의 물건이니 허망하고 불실(不實)한지라 고로 이르되 허환임. ◆幻; 가상(假相)을 가리킴. 일체의 사상(事象)은 모두 실체성이 없고 오직 여환(如幻)의 가상(假相)을 현출(現出)하나니 곧 환상(幻相)임. ▲원각경 보현보살장. 비유컨대 찬화(鑽火)하매 양목(兩木)이 상인(相因)하여 불이 나오고 나무는 없어지며 재가 날고 연기가 꺼짐과 같이 환(幻)으로 환(幻)을 닦음도 또한 다시 이와 같나니 제환(諸幻)이 비록 없어지지만 단멸(斷滅)에 들지 않는다. 선남자여, 환(幻)인 줄 알면 곧 여읨이라 방편을 짓지 않고 환을 여의면 곧 깨침이라 또한 점차가 없다.
●大事因緣; 일대사인연(一大事之因緣)이니 일대사(一大事)는 실상의 묘리(妙理)의 사업을 개현(開顯)하여 불지견(佛知見)의 사업을 개시(開示)함임. 일대(一大)란 것은 실상(實相)의 묘리며 불지견(佛知見)을 말함이니 곧 법화(法華)의 묘법(妙法)임. 종문(宗門)의 일대사란 것은 교가(敎家)의 설에 비류(類比)하지 못하나니 단지 자기의 본분사를 가리켜 일대사라고 말함. 또 사람의 생사를 대사(大事)가 된다고 일컬음. 선도(善導; 唐代僧)의 임종정념결(臨終正念訣)에 가로되 세상의 대사에 생사를 초월할 게 없나니 한숨이 돌아오지 못하면 곧 후생에 속하고 한 생각이 만약 어긋나면 곧 윤회에 떨어진다.
●士人; 널리 학문을 연구하거나 혹 학문이 있는 사람을 일컬음. 남자의 통칭(通稱). 인민. 백성.
●劫; 범어 겁파(劫波; 梵 kalpa)ㆍ겁파(劫跛)ㆍ겁파(劫簸)ㆍ갈랍파는 여기에선 이르되 분별시분ㆍ분별시절ㆍ장시(長時)ㆍ대시(大時)ㆍ시(時). 원래 고대 인도 바라문교의 극대한 시한의 시간단위가 됨. 불교에서 이를 따르되 계산이 불가한 장대한 연월이 됨으로 봄. 고로 경론 중에 다분히 옛일을 비유하면서 이를 비유로 나타냄 [지도론38. 석가씨보. 혜원음의상].
●善知識; 또 간단히 이르되 지식(知識)이니 지식이란 것은 그의 마음을 알고(知) 그의 형상을 안다는(識) 뜻이니 지인(知人)이며 곧 붕우의 뜻임. 박지박식(博知博識)을 이름이 아님. 선(善)이란 것은 나에게 이익이 되며 나를 선도(善道)로 인도하는 자임. ▲법화문구4. 이름을 들음이 지(知)가 되고 형상을 봄이 식(識)이 되나니 이 사람은 나의 보리지도(菩提之道)를 더하는지라(益) 이름이 선지식이다.
●般若; <범> Prajna. 또 파야(波若)ㆍ반라야(般羅若)ㆍ발랄야(鉢剌若)로 지음. 여기에선 혜(慧)ㆍ지혜ㆍ명(明)ㆍ힐혜(黠慧)로 번역함. 보살이 피안에 도달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6종의 행을 닦는데 또한 곧 6바라밀을 닦음. 그 중의 반야바라밀(지혜바라밀)을 곧 일컬어 제불의 모(母)라 하며 기타의 5바라밀을 성취하는 근거임 [해탈도론9분별혜품. 양역섭대승론중. 대지도론43, 동72].
●種智; 조정사원4. 종지(種智) 근본지(根本智)는 안에서 진여를 증득함이니 곧 법신과 보신의 2신이며 이름이 일체지(一切智)임. 후득지(後得智)는 밖에서 유연(有緣)을 비추어 사람(物)에게 감응하여 형상을 나타냄이 마치 수중의 달과 같음이니 곧 3종화신(三種化身; 大化身ㆍ小化身ㆍ隨類不定)이며 이름이 종지(種智)임. 고로 이 둘을 이름해 이르되 일체종지(一切種智)라 함.
●熏習; 또 훈습(薰習)으로 지음. 신구(身口)로 나타내는 바의 선악의 행법(行法)이나 혹 의(意)로 나타내는 바의 선악의 사상이 일어날 때 그 기분(氣分)이 진여 혹 아뢰야식에 체류함이 옷의 향과 같음. 그 신구의(身口意)로 나타낸 바의 것은 이를 일러 현행법(現行法)이라 하고 기분(氣分)이 진여 혹 아뢰야식에 체류하는 것은 이를 일러 종자(種子) 혹 습기(習氣)라 함. 이로 인해 현행법이 진여 혹 아뢰야식에 그 종자 혹 습기를 남기는 작용을 일러 훈습이라 함. ▲기신론. 훈습(薰習)의 뜻이란 것은 세간의 의복은 실로 향이 없는데 어떤 사람이 향으로 훈습(薰習)하는 연고로 곧 향기가 있음과 같다.
●聖賢; 영명(靈明)히 통감(洞鑑; 환히 살핌)함을 가로되 성(聖)임. 또 성(聖)은 정(正)과 같나니 정교로 사람을 가르침임. 범부를 초월한 아성(亞聖; 성인의 버금)을 가로되 현(賢)임 [선림보훈음의].
●究竟; 1. 사리(事理)의 도법이 지극하고 고심(高深)한 곳. 종극의 영항(永恒)의 진리. 2. 필경. 여기에선 1을 가리킴.
●脚下; 당념(當念)의 뜻 [대혜서고로주].
●邪魔; 사악한 마라(魔羅; 梵 māra)임. 마라는 악한 귀신의 총칭이 되며 불서에서 망견(妄見)으로 사마(邪魔)를 삼음. 말하자면 족히 정도(正道)의 장애가 됨.
●外道; 또 외교(外敎)ㆍ외법(外法)ㆍ외학(外學)으로 지음. 불교 이외의 일체 종교(宗敎)를 가리킴. 유가(儒家)에서 이른 바 이단(異端)의 일어(一語)와 상당(相當)함. ▲삼론현의. 지묘(至妙)하여 허통(虛通)함을 제목하여 도(道)라 하고 마음이 도 밖에 노니는지라 고로 이름이 외도(外道)다. ▲종경록26. 마음 밖에 법을 보면 다 이름이 외도(外道)다.
●崖將去; 의미가 연궁(硏窮)의 뜻이 됨. 애(崖)와 애(捱)는 음이 같으며 애(捱)은 거(拒)임.
●靜勝; 정려(靜慮)의 가운데 승묘(勝妙)한 경계가 있으므로 고로 이르되 정승임 [대혜서고로주].
●佛; <범> buddha. 번역명의집7. 조(肇; 僧肇)가 가로되 불(佛)이란 무엇인가. 대개 이치를 궁구하여 자성을 다한 대각의 호칭이다. 그 도가 허현(虛玄)하여 소이로(固는 連詞니 因此. 所以) 이미 상경(常境)을 묘절(妙絶)하였다. 마음은 가히 지혜로써 알지 못하고 형체는 가히 형상으로써 헤아리지 못한다. 만물의 위(爲)와 한가지로되 불위(不爲)의 영역에 거처하며 언수(言數)의 안에 처하되 무언(無言)의 고향에 머문다. 유(有)가 아니면서 가히 무(無)가 되지도 않으며 무가 아니면서 가히 유가 되지도 않나니 적막하고 허광(虛曠)하여 사람이 능히 헤아리지 못한다. 이름의 소이를 알지 못해 고로 다만(强) 이를 일러 각(覺)이라 한다. ▲사십이장경해. 불(佛)이란 범어다. 갖추어 이르면 불타(佛陀; 梵 buddha)니 여기에선 각자(覺者)로 번역한다. 이르자면 자각(自覺)하고 각타(覺他)하여 각행(覺行)이 원만함이다. 자각(自覺)은 범부와 같지 않음이며 각타(覺他)는 2승(乘)과 같지 않음이며 각만(覺滿)은 보살과 같지 않음이다. 곧 이 석가모니여래니 만덕(萬德)의 자존(慈尊)이며 사바세계의 교주다.
●誓願; 서원을 세워 원하는 일임. 제불보살은 반드시 총별(總別) 2종의 서원이 있음. 총서원이란 것은 사홍서원이 이것이며 별서원이란 것은 아미타불의 48원과 약사의 12원 같은 게 이것임.
●加被; 신이나 부처의 힘을 중생에게 더하여 줌.
●無上正等菩提; 보리(菩提; 梵 Bodhi)는 신역에 가로되 각(覺)이니 곧 무상정등각(無上正等覺)임. 제불의 위없는 정지(正智)를 일컬어 가로되 정등각이니 각이란 것은 제법을 각지(覺知)하는 지(智)며 그 지가 무사(無邪)함을 가로되 정(正)이며 무편(無偏)함을 가로되 등(等)임.
●慧命; 불교의 법맥을 가리킴. 지혜는 이 불교의 생명인지라 고로 혜명이라 일컬음.
●善財; 화엄경 입법계품을 안험컨대 문수사리가 복성(福城)의 동쪽에 있으면서 장엄당사라림 중에 머물렀다. 그때 복성의 장자(長者)가 아들이 5백 동자가 있었는데 선재도 그 한 사람이다. 선재가 태어났을 때 갖가지 진보(珍寶)가 자연히 용출했다. 이 일을 쓴 고로 부모와 친속 및 선상사(善相師)가 모두 이 아이를 호칭하며 이름해 가로되 선재라 했다. 선재가 문수사리의 처소에 나아가서 발심하여 여기로부터 점차 남행하여 53지식을 참알하여 법계에 증입(證入)했다.
●童子; 범어로는 구마라(究摩羅; 梵 kumāra)ㆍ구마라가임. 8세 이상으로서 관례(冠禮)를 하지 않은 자의 총칭이 됨. 서국에선 출가를 희망하면서 비구의 처소에 기시(寄侍)하는 자를 호칭해 가로되 동자라 함. 또 경중에서 보살을 일컬어 동자라 하기도 하는데 어린 나이가 아니라 보살은 이 여래의 왕자이기 때문인 연고임. 또 음욕의 생각이 없음이 세간의 동자와 같음의 뜻을 취함 [기귀전3. 현응음의5. 석씨요람상].
●文殊; 삼장법수7. 문수삼명(文殊三名) [출번역명의] 1. 문수사리(文殊師利; 梵 Manjusri) 범어 문수사리는 화언(華言)으론 묘덕(妙德)이다. 이르자면 불가사의한 갖가지 미묘한 공덕을 갖춘지라 고로 이름이 묘덕이다. 2. 만수시리(滿殊尸利) 범어 만수시리는 화언으론 묘수(妙首)다. 이르자면 불가사의한 미묘한 공덕을 갖추어 모든 보살의 상(上)에 있는지라 고로 이름이 묘수다. 3. 만수실리(曼殊室利) 범어 만수실리는 화언으론 묘길상(妙吉祥)이다. 이르자면 불가사의한 미묘한 공덕을 갖추어 가장 수승(殊勝)한 길상인지라 고로 이름이 묘길상이다.
●一百一十城; 선재동자가 53참하면서 복성(福城)으로부터 일어나 후에 차제로 남행하여 주방(走訪)한 바의 선지식의 성수(城數)가 공계(共計) 110성임. ▲화엄경78. 이 장자의 아들은 접때 복성에서 문수의 가르침을 받고 전전(展轉)히 남행하며 선지식을 구했는데 110선지식을 경유한 다음 연후에 와서 나의 처소에 이르렀다.
●五十三善知識; 화엄경에 나옴. 아래에 간략히 전말(顚末)을 기재함. 1참(參) 선재가 최초에 문수의 가르침을 받아 승락국(勝樂國) 묘봉산(妙峰山)에 가서 덕운비구(德雲比丘; 梵 Meghaśrī-bhikṣu)를 참례했다. 2참 선재가 가르침을 받아 해문국(海門國)을 향하여 해운비구(海雲比丘; 梵 Sāgara -megha)를 참례했다. 3참 선재가 가르침을 받아 릉가도변(楞伽道邊)의 해안취락(海岸聚落)에 이르러 선주비구(善住比丘; 梵 Su-pratiṣṭhita)를 참례했다. 4참 선재가 가르침을 받아 달리비다국(達里鼻茶國) 자재성에 이르러 미가대사(彌伽大士; 梵 Megha-dramiḍa)를 참례했다. 범어로 달리비다는 화언으로 소융(消融)임. 5참 선재가 가르침을 받아 점차 유행하여 12년 만에 주림성(住林城)에 이르러 해탈장자(解脫長者; 梵 Vimuktika-śreṣṭhin)를 참례했다. 6참 선재가 가르침을 받아 염부제반(閻浮提畔)의 리가라국(利伽羅國)에 이르러 해당비구(海幢比丘; 梵 Sāgara-dhvaja)를 참례했다. 7참 선재가 가르침을 받아 해조처(海潮處)의 보장엄국(普莊嚴國)에 이르러 휴사우바이(休捨優婆夷; 梵 Āśā)를 참례했다. 8참 선재가 가르침을 받아 나라소국(那羅素國)을 향해 비목구사선인(毗目瞿沙仙人; 梵 Bhīṣmottara-nirghoṣa)을 참례했다. 범어로 나라소는 화언으로 불나타(不懶惰)임. 9참 선재가 가르침을 받아 이사나취락(伊沙那聚落)에 이르러 승열바라문(勝熱婆羅門; 梵 Jayoṣmāya)을 참례했다. 범어로 이사나는 화언으로 장직(長直)임. 10참 선재가 가르침을 받아 사자분신성(師子奮迅城)에 이르러 자행동녀(慈行童女; 梵 Maītrāyaṇī)를 참례했다. 11참 선재가 가르침을 받아 삼안국(三眼國)에 이르러 선견비구(善見比丘; 梵 Su-darśana)를 참례했다. 12참 선재가 가르침을 받아 명문국(名聞國)의 하저(河渚) 가운데 이르러 자재주동자(自在主童子; 梵 Indriyeśvara)를 참례했다. 13참 선재가 가르침을 받아 해주대성(海住大城)에 이르러 구족우바이(具足優婆夷; 梵 Pr abhūtā)를 참례했다. 14참 선재가 가르침을 받아 대흥성(大興城)에 이르러 명지거사(明智居士; 梵 Vidvan)를 참례했다. 15참 선재가 가르침을 받아 사자대성(師子大城)에 이르러 법보계장자(法寶髻長者; 梵 Ratna -cūḍa)를 참례했다. 16참 선재가 가르침을 받아 등근국(藤根國)의 보문성(普門城)에 이르러 보안장자(普眼長者; 梵 Samanta-netra)를 참례했다. 17참 선재가 가르침을 받아 다라당성(多羅幢城)에 이르러 무염족왕(無厭足王; 梵 Anala)을 참례했다. 18참 선재가 가르침을 받아 묘광성(妙光城)에 이르러 대광왕(大光王; 梵 Mahā-prabha)을 참례했다. 19참 선재가 가르침을 받아 안주국(安住國)에 이르러 부동우바이(不動優婆夷; 梵 Acalā)를 참례했다. 20참 선재가 가르침을 받아 도살라성(都薩羅城)에 이르러 편행외도(遍行外道; 梵 Sarva-gāmin)를 참례했다. 21참 선재가 가르침을 받아 광대국(廣大國)에 이르러 육향장자(鬻香長者; 梵 Utpala-bhūti)를 참례했다. 이름이 우발라화(優鉢羅華)다. 22참 선재가 가르침을 받아 누각대성(樓閣大城)에 이르러 바시라선사(婆施羅船師; 梵 Vairocana)를 참례했다. 23참 선재가 가르침을 받아 가락성(可樂城)에 이르러 무상승장자(無上勝長者; 梵 Jayottama)를 참례했다. 24참 선재가 가르침을 받아 수나국(輸那國)의 가릉가림성(迦陵迦林城)에 이르러 사자빈신비구니(師子頻申比丘尼; 梵 Siṃha-vijṛmbhitā)를 참례했다. 범어로 수나는 화언으로 용맹이며 범어로 가릉가는 화언으로 상투전(相鬪戰)임. 25참 선재가 가르침을 받아 험난국(險難國)의 보장엄성(寶莊嚴城)에 이르러 바수밀다녀(婆須蜜多女; 梵 Vasumitrā)를 참례했다. 26참 선재가 가르침을 받아 선도성(善度城)에 이르러 비슬지라거사(鞞瑟胝羅居士; 梵 Veṣṭhila)를 참례했다. 27참 선재가 가르침을 받아 보달락가산(補怛洛迦山)에 이르러 관자재보살(觀自在菩薩; 梵 Avalokiteśvara)을 참례했다. 범어로 보달락가는 화언으로 해도(海島)며 또 이르되 소백화(小白華)임. 28참 선재가 가르침을 받은 다음 이때 동방에 한 보살이 있었으니 이름해 가로되 정취(正趣; 梵 Ananya-gāmin)였다. 공중으로부터 와서 몸의 광명을 놓으니 일체의 일월성전(日月星電)을 비추어 가렸다. 관자재보살이 드디어 선재로 하여금 참례케 했다. 29참 선재가 가르침을 받아 타라발지성(墯羅鉢底城)에 이르러 대천신(大天神; 梵 Mahā-deva)을 참례했다. 30참 선재가 가르침을 받아 마갈제국(摩竭提國)의 보리장중(菩提場中)에 이르러 안주지신(安住地神; 梵 Sthāvarā)을 참례했다. 31참 선재가 가르침을 받아 마갈제국의 가비라성(迦毘羅城)에 이르러 바산바연지주야신(婆珊婆演底主夜神; 梵 Vasantī)을 참례했다. 32참 선재가 가르침을 받아 마갈제국의 보리장중(菩提場中)에 이르러 보덕정광주야신(普德淨光主夜神; 梵 Samanta-gambhīra-śrī -vimala-prabhā)을 참례했다. 33참 선재가 가르침을 받아 곧 보리장 우변에서 희목관찰중생주야신(喜目觀察衆生主夜神; 梵 Pramudita-nayana-jagad-virocanā)을 참례했다. 34참 선재가 가르침을 받아 곧 회중에서 보구중생묘덕야신(普救衆生妙德夜神; 梵 Samanta-sattva-trāṇojaḥ-śrī)을 참례했다. 35참 선재가 가르침을 받아 적정음해주야신(寂靜音海主夜神; 梵 Praśānta-ruta-sāgaravatī)을 참례했다. 36참 선재가 가르침을 받아 곧 보리장 여래회중에서 수호일체중생주야신(守護一切衆生主夜神; 梵 Sarva-nagara-rakśā-sambhava -tejaḥ-śrī)을 참례했다. 37참 선재가 가르침을 받아 곧 이 불회(佛會) 중에서 개부일체수화주야신(開敷一切樹花主夜神; 梵 Sarva-vṛksa-praphullana-sukha-saṃvāsā)을 참례했다. 38참 선재가 가르침을 받아 곧 회중에서 대원정진력구호중생야신(大願精進力救護衆生夜神; 梵 Sarva-jagad-rakṣī -praṇidhāna-vīya-prabhā)을 참례했다. 39참 선재가 가르침을 받아 람비니원(藍毘尼園)에 이르러 묘덕원만신(妙德圓滿神; 梵 Su-tejo-maṇḍalarati-śrī)을 참례했다. 40참 선재가 가르침을 받아 가비라성(迦毘羅城)에 이르러 석가구파녀(釋迦瞿波女; 梵 Gopā)를 참례했다. 41참 선재가 가르침을 받아 일심으로 마야부인(摩耶夫人; 梵 Māy ā)의 처소에 이르려 했다. 42참 선재가 가르침을 받아 드디어 천궁에 가서 왕녀천주광(王女天主光; 梵 Surendrābhā)을 참례했다. 43참 선재가 가르침을 받아 천궁으로부터 내려와 가비라성에 이르러 편우동자(遍友童子; 梵 Viśvā-mitra)를 참례했다. 44참 선재가 가르침을 받아 곧 회중에서 선지중예동자(善知衆藝童子; 梵 Śilpābhijña)를 참례했다. 45참 선재가 가르침을 받아 마갈제국의 바달나성(婆怛那城)에 이르러 현승우바이(賢勝優婆夷; 梵 Bhadrottamā)를 참례했다. 46참 선재가 가르침을 받아 옥전성(沃田城)에 이르러 견고해탈장자(堅固解脫長者; 梵 Muktā-sāra)를 참례했다. 47참 선재가 가르침을 받아 곧 본성(本城)에서 묘월장자(妙月長者; 梵 Su-candra)를 참례했다. 48참 선재가 가르침을 받아 출생성(出生城)에 이르러 무승군장자(無勝軍長者; 梵 Ajita-sena)를 참례했다. 49참 선재가 가르침을 받아 성남(城南) 법취락(法聚落)에 이르러 최적정바라문(最寂靜婆羅門; 梵 Śiva-rāgra)을 참례했다. 50참 선재가 가르침을 받아 묘의화문성(妙意華門城)에 이르러 덕생동자(德生童子; 梵 Śrī-sambhava) 와 및 유덕동녀(有德童女; 梵 Śrī-matī)를 참례했다. 51참 선재가 가르침을 받아 해안국(海岸國) 대장엄원(大莊嚴園)에 이르렀다. 그 중에 한 광대한 누각이 있었으니 이름이 비로자나장엄전(毘盧遮那莊嚴殿)이다. 선재가 누각 앞에서 공경정례(恭敬頂禮)하고 찬탄칭양(讚歎稱揚)하며 일심으로 미륵보살(彌勒菩薩; 梵 Maitreya)을 보기를 원했다. 때에 미륵보살이 별처(別處)로부터 와서 위하여 갖가지 법요를 설했다. 52참 선재가 가르침을 받아 보문국(普門國) 소마나성(蘇摩那城)에 이르러 사유하고 관찰하며 기쁘게 문수사리(文殊師利; 梵 Mañju-śrī)를 봉근(奉覲)하려고 했다. 이때 문수사리가 멀리서 오른손을 뻗어 110유순(由旬)을 지나와 선재의 정수리를 어루만지며 위해 묘법을 설했다. 53참 선재가 문수사리의 처소에서 삼매를 얻은 다음 제근(諸根)을 보섭(普攝)하고 일심으로 보현보살(普賢菩薩; 梵 Samanta-bhadra)을 구견(求見)하며 큰 정진을 일으켜 마음에 퇴전이 없었다. 곧 보현보살이 여래 앞 중회(衆會) 가운데 보련화사자지좌(寶蓮華師子之座)에 앉아 있음을 보았다 [삼장법수37].
●參; (1). 동사(動詞)임. 곧 학인(學人)이 사가(師家)를 배견(拜見)하고 도를 물음이며 또 수행하며 좌선함도 또한 호칭이 참(參)이니 예컨대(如) 참선(參禪)하며 변도(辨道)하다. (2). 명사(名詞)임. 예컨대(如) 힐단(詰旦; 이른 아침)의 승당(升堂)을 조참(早參; 朝參)이라 하고 포시(晡時; 지금의 오후 4시)의 염송(念誦)을 만참(晩參)이라 하고 만참 전의 좌선을 좌참(坐參)이라 하고 매(每) 5일마다 1참(參)함을 오참상당(五參上堂)이라 하고 정기상당(定期上堂)을 대참(大參)이라 하고 주지가 부정시(不定時)에 집중(集衆)하여 문답하며 응수(應酬)함을 소참(小參)이라 하는 등임.
●彌勒一彈指; 수화엄오지망진환원관(修華嚴奧旨妄盡還源觀). 예컨대(如) 선재동자가 기환림(祇桓林) 가운데로부터 점차 남행하여 비로자나장엄대누각 앞에 이르러 잠시 염념(歛念)하고 미륵보살에게 사뢰어 말하되 오직 원하오니 대성이시여 누각문을 열어 나로 하여금 득입(得入)하게 하소서. 미륵이 탄지(彈指)하자 그 문이 곧 열렸고 선재가 들어간 다음 도리어 닫힘이 예전과 같았다. 보매 누각 중에 백천(百千) 누각이 있고 하나하나의 누각 앞에 각기 미륵보살이 있고 하나하나의 미륵보살 앞에 각기 선재동자가 있고 하나하나의 선재동자가 모두 다 합장한 채 미륵 앞에 있었다. 법계의 중중(重重)함을 표시함이니 마치 제망(帝網)의 무진(無盡)함과 같다. ◆彌勒; <범> Maitreya. <파> Metteyya. 과주묘법연화경1. 미륵이란 것은 여기에선 이르되 자씨(慈氏)이다. 사익경에 이르되 이에 중생이 보는 자는 곧 자심삼매(慈心三昧)를 얻는다. 고로 자씨로 이름했다. 이 보살은 현재 지족천(知足天; 도솔천) 내원(內院)에 거처한다. 당래에 감인(堪忍; 娑婆)에 출흥하여 석가의 처소를 보좌하며 호가 미륵세존이다. 화림원(華林園) 안의 용화수 아래에서 정각을 이룬다. 지론34에 이르되 용화의 초회(初會)에 99억 성문(聲聞)을 제도하고 제2회에 96억 성문을 제도하고 제3회에 93억 성문을 제도한다.
●法門; 문이란 것은 차별의 뜻이니 설하는 바 법의(法義)에 갖가지 차별이 있는지라 고로 이르되 법문임. ▲증일아함경10. 여래가 법문을 여시니 듣는 자가 독신(篤信)함을 얻는다. ▲기신론소상. 궤칙(軌則; 규범으로 삼고 배움. 본받다)하여 진해(眞解)를 내는지라 고로 이름해 법이며 통하여 열반에 드는지라 고로 이름해 문이다.
●由旬; <범><파> yojana. 또 유순(兪旬)ㆍ유순(揄旬)ㆍ유연(由延) 혹 유사나(踰闍那)로 지으며 신칭은 유선나(踰繕那)임. 이정(里程)을 계산하는 수목(數目)임. 제왕(帝王)이 하루 행군(行軍)하는 이정(里程)임. 혹은 이르되 40리며 혹은 이르되 30리임 [서역기2. 현응음의2].
●善哉; 범어 사도(娑度; 梵 sādhu)는 여기에선 번역해 선재니 나의 뜻에 계합함의 칭탄어(稱歎語).
●善男子; 불타가 재가하거나 출가한 남녀를 일컬어 가로되 선남자 선여인이라 함. 선(善)이란 것은 불타를 믿고 법을 들음을 미화(美化)함임.
●信根; 5무루근(無漏根)의 하나. 3보(寶) 4제(諦) 등의 도리를 믿는 것.
●功德; 가이(可以) 선보(善報)를 인득(引得)하는 공업의 덕행. 또 덕(德)은 득(得)이니 공을 닦으면 소득이 있는지라 고로 가로되 공덕임. ▲전등록3 제28조 보리달마. 제(양 무제)가 물어 가로되 짐이 즉위한 이래로 절을 짓고 경을 서사하고 도승(度僧; 속인으로 하여금 출가하게 하여 승인이 되게 하는 것)한 것을 가히 다 기록치 못합니다. 무슨 공덕(功德)이 있습니까. 스님이 가로되 모두 공덕이 없습니다.
●行願; 몸의 행과 마음의 원이니 이 둘이 상자(相資)하여 대사를 이룸.
●法性; 제법의 진실한 체성(體性)을 가리킴. 또한 곧 우주 일체의 현상이 갖추어 있는 바의 진실하여 불변하는 본성임. 또 진여법성ㆍ진법성ㆍ진성으로 지음. 또 진여의 이칭(異稱)이 됨. 법성은 곧 만법의 근본인지라 고로 또 법본(法本)으로 지음.
●阿僧祇; <범> asaṃkhya. 인도 수목(數目)의 하나. 무량수(無量數) 혹 극대수(極大數)의 뜻. 또 아승가(阿僧伽)ㆍ아승기야(阿僧企耶)ㆍ아승(阿僧)ㆍ승기(僧祗)로 지음. 화언(華言)으론 불가산계(不可算計) 혹 무량수(無量數)ㆍ무앙수(無央數)임. 인도 60종 수목단위(數目單位) 중 아승기는 제52수가 됨 [신화엄경45아승기품. 구사론12분별세간품. 대지도론4]. ▲지도론51. 승기(僧祇)는 진(秦)나라 말로 수(數)며 아(阿)는 진나라 말로 무(無)다.
●普賢; 범명은 필수발타(邲輸跋陀; 梵 Viśvabhadra) 또 삼만다발타라(三曼多跋陀羅; 梵 samantabhadra)로 지음. 혹 번역해 가로되 보현이며 혹 편길(遍吉)로 지음. 일체제불의 이덕(理德)ㆍ정덕(定德)ㆍ행덕(行德)을 주재함. 문수의 지덕(智德)ㆍ증덕(證德)과 상대됨. 곧 이지(理智)가 한 쌍이며 행증(行證)이 한 쌍이며 삼매와 반야가 한 쌍임. 고로 석가여래의 두 협사(脅士)로 삼음. 문수는 사자를 타고 불타의 좌방(左方)에 시립하고 보현은 백상을 타고 불타의 우방에 시립함은(여금에 반대로 智右理左를 설하는 것은 理智가 융통함의 뜻을 보임임. 또 胎藏界의 차제는 右蓮左金임) 이것은 이지(理智)가 상즉(相卽)하며 행증(行證)이 상응함임. 삼매와 반야가 전체인 것은 곧 비로사나 법신불임. 화엄 1경(經)에서 밝히는 바가 이 1불 2보살의 법문으로 귀납(歸納)하는지라 고로 호칭하여 화엄삼성(華嚴三聖)이라 함 [법화의소12. 탐현기2. 대일경소1].
●三千大千世界; 약칭이 대천세계ㆍ대천계. 경에 설하기를 세계가 소천(小千)ㆍ중천(中千)ㆍ대천(大千)의 구별이 있다 했음. 4대주(大洲)와 일월과 제천을 합해서 1세계가 되며 1천 세계를 이름해 소천세계며 소천에 천 배를 가하면 이름이 중천세계며 중천에 천 배를 가하면 이름이 대천세계임. ▲구사론11. 송(頌)에 가로되 4대주와 일월/ 소미로(蘇迷盧; 수미산)와 욕천(欲天; 六欲天)/ 범세(梵世; 色界 18천) 각 1천이/ 이름이 1소천계며/ 이 소천의 천 배를/ 설해 1중천으로 이름하며/ 이것의 천 배가 대천이니/ 다 동일하게 성괴한다.
●解脫; 범어 비목차(毘木叉; 梵 vimokṣa)ㆍ비목차(毘目叉)ㆍ비목지(毘木底; 梵 vimukti), 또 목차(木叉)ㆍ목지(木底)로 지음. 뜻으로 이르면 해방이니 번뇌의 속박 가운데로부터 해방하여 미고(迷苦)의 경지(境地)를 초탈함을 가리킴. 능히 미(迷)의 세계를 초도(超度)하므로 고로 또 명칭이 도탈(度脫)이며 해탈을 얻으므로 고로 명칭이 득탈(得脫)임 [대반열반경5. 현양성교론13. 십주비바사론11].
●刹; (1). 범어 찰다라(刹多羅; 梵 ksetra)ㆍ차다라(差多羅)ㆍ찰마(刹摩)의 약칭이니 여기에선 이르되 토전(土田)ㆍ토(土)ㆍ국(國)이며 곧 국토를 가리킴. 혹 범한(梵漢)을 병칭하여 찰토(刹土)라 함. 일반적으로 숙지(熟知)하는 바의 불찰은 곧 불토의 뜻임. (2). 범어 랄슬지(剌瑟胝; 梵 lakṣatā)의 약칭. 뜻으로 이르면 표지(標誌)ㆍ기호니 기간(旗杆; 깃대)이나 혹 탑의 심주(心柱)를 가리킴. 일반적으로 사원을 일컬어 사찰(寺刹)ㆍ범찰(梵刹)ㆍ금찰(金刹) 혹 이름해 찰(刹)이라고 하는 등은 대개 불당(佛堂) 앞에 자고로 번간(幡竿; 곧 刹)을 세우는 풍조가 있는지라 고로 이 이름을 얻었음.
●恁麽; 저(這)ㆍ저양(這樣; 이 모양)ㆍ여차(如此)니 그와 유사한 용어에 여마ㆍ십마ㆍ습마ㆍ심마ㆍ즘마ㆍ작마 등이 있음.
●三毒; 조정사원7. 3독(毒) 이르자면 탐ㆍ진ㆍ치임. 사해탈경에 이르되 3독이 3(塗)를 감응하나니 진분(嗔忿; 성냄)은 화도(火塗; 지옥도)며 간탐은 도도(刀塗; 아귀도)며 우치는 혈도(血塗; 축생도)이다.
●三聚淨戒; 간칭이 삼취계(三聚戒)임. 1. 섭율의계(攝律儀戒) 5계ㆍ8계ㆍ10계ㆍ구(具; 구족계)등의 일체의 계율을 수지하는 것. 2. 섭선법계(攝善法戒) 일체의 선법(善法)을 닦음으로써 계를 삼는 것. 3. 섭중생계(攝衆生戒) 또 이르되 요익유정계니 일체중생을 요익(饒益)함으로써 계를 삼는 것. 이는 화엄ㆍ범망ㆍ점찰ㆍ영락 등의 경과 유가ㆍ유식 등의 논에서 설한 바임. 이 3자가 적취(積聚)한지라 고로 이르되 3취(聚)임. 계에 대소가 있으니 10계와 250계 등은 소승계가 되고 십중사십팔경계(十重四十八輕戒)와 삼취계(三聚戒) 등은 대승계가 됨. 또 재가와 출가의 구별이 있으니 5계와 8계는 재가계가 되고 10계와 250계는 출가가 되고 삼취계는 도속통행계(道俗通行戒)가 됨. 곧 대승의 보살은 출가와 재가를 논하지 않고 모두 이를 수지함. 단지 재가의 보살이 무릇 이 3취(聚)를 수지해 마음으로 삼는 것을 일컬어 통수(通受)라 하고 출가의 보살이 그 처음에 섭율의계(攝律儀戒), 즉 250계 및 10중(重) 등(섭율의의 가운데 일체의 대소의 계가 있음)을 별수함을 이 이름이 별수(別受)임. 다음은 곧 총수(總受)의 3취(聚)니 이 통수(通受)에 2종이 있음. 1자는 타인으로부터 얻음이니 오직 사(師)를 대해 얻음이며 2자는 자서득(自誓得)이니 오직 불상 앞에서 선심(善心)으로 자서(自誓)하여 얻음임. 모두 백사갈마(白四羯磨)의 작법을 요하지 않음.
●六識; 삼장법수21. 육식(六識) [출법계차제] 6식(識)이란 것은 안이비설신의(眼耳鼻舌身意)에 각기 식(識)이 있음이다. 이르자면 5근(根)에 의하여 능히 5진(塵)을 보며 5식(識)이 된다. 5진경(塵境)에 분별을 일으킴이 제6식이 된다. 1은 안식(眼識)이니 이르자면 안근이 만약 색진을 대하면 곧 안식을 낸다. 안식이 날 때 단지 능히 색은 보지만 분별을 일으키지 않는다. 2는 이식(耳識)이니 이르자면 이근(耳根)이 만약 성진(聲塵)을 대하면 곧 이식을 낸다. 이식이 날 때 단지 능히 소리를 듣지만 분별을 일으키지 않는다. 3은 비식(鼻識)이니 이르자면 비근(鼻根)이 만약 향진(香塵)을 대하면 곧 비식을 낸다. 단지 능히 향기를 냄새 맡지만 분별을 일으키지 않는다. 4는 설식(舌識)이니 이르자면 설근(舌根)이 만약 미진(味塵)을 대하면 곧 설식을 낸다. 설식이 날 때 단지 능히 맛을 보지만 분별을 일으키지 않는다. 5는 신식(身識)이니 이르자면 신근(身根)이 만약 촉진(觸塵)을 대하면 곧 신식을 일으킨다. 단지 능히 각촉(覺觸)하지만 분별을 일으키지 않는다. 6은 의식(意識)이니 이르자면 의근(意根)이 만약 법진(法塵)을 대하면 곧 의식을 낸다. 의식이 날 때 곧 능히 5진(塵)의 경(境)에 선악과 호추(好醜)를 분별한다.
●六神通; 또 6통(通)으로 지음. 6종의, 인간을 초월하여 자유무애한 힘을 가리킴. 삼장법수19. 6신통(神通) [출법계차제] 영락경에 이르되 신(神)은 이름이 천심(天心)이며 통(通)은 이름이 혜성(慧性)이다. 천연의 혜(慧)로 철조(徹照)하여 무애한지라 고로 이름이 신통(神通)이다. 1. 천안통 이르자면 육도중생(六道衆生)이 여기에서 죽어 저기에서 출생하는 고락의 형상을 능히 보며 및 일체 세간의 갖가지 형색을 보되 장애가 있지 않나니 이 이름이 천안통임. 2. 천이통 이르자면 육도중생의 고락과 우희(憂喜)의 어언 및 세간의 갖가지 음성을 능히 듣나니 이 이름이 천이통임. 3. 지타심통(知他心通) 이르자면 육도중생이 심중에 생각하는 바의 일을 능히 아나니 이 이름이 지타심통임. 4. 숙명통 이르자면 자신의 1세(世)ㆍ2세ㆍ3세 내지 백천만세(百千萬世)의 숙명 및 짓는 바의 일을 능히 알며 또한 능히 육도중생의 각각의 숙명 및 짓는 바의 일을 아나니 이 이름이 숙명통임. 5. 신여의통(身如意通) 이르자면 몸이 능히 비행하되 산과 바다가 장애함이 없으며 이 세계에서 잠겨 저 세계로부터 나오고 저 세계에서 잠겨 이 세계로부터 나오며 큰 것을 능히 작게 만들고 작은 것을 능히 크게 만들면서 뜻대로 변현(變現)하나니 이 이름이 신여의통임. 6. 누진통 누진통이란 것은 누(漏)는 곧 삼계의 견사혹(見思惑)이니 이르자면 라한이 견사혹을 끊어 없애고 삼계의 생사를 받지 않으면서 신통을 얻음이니 이 이름이 누진통임.
●菩提; <범> bodhi. 구역은 도(道)라 했고 신역은 각(覺)이라 했음. 도란 것은 통(通)의 뜻이며 각이란 것은 각오의 뜻임. 그러나 소통소각(所通所覺)의 경계는 사리(事理)의 2법이 있음. 리(理)란 것은 열반이니 번뇌장(煩惱障)을 끊고 열반을 증득하는 일체지(一切智)며 이는 3승(乘)의 보리에 통함. 사(事)란 것은 일체 유위의 제법이니 소지장(所知障)을 끊고 제법을 아는 일체종지(一切種智)며 이는 오직 불타의 보리임. 이 둘에 통하는 것인지라 고로 이를 일러 대보리(大菩提)라 함 [지도론4. 주유마경4].
●無明; 이르자면 암둔한 마음임. 제법의 사리를 비추는 밝음이 없음이니 곧 치(癡)의 다른 이름. ▲보살영락본업경상. 무명이란 것은 이름이 불료일체법(不了一切法; 일체법을 요달하지 못하다)이다. ▲대승의장4. 말한 무명이란 것은 치암(癡闇)의 마음이니 체에 혜명(慧明)이 없는지라 고로 가로되 무명이다.
●絡索; 락(絡)은 전사(纏絲; 얽어매는 실)며 삭(索)은 승삭(繩索; 노끈)이니 곧 승삭(繩索)임. 혹 어언이 규갈(糾葛; 糾紛)하여 맑지 못함의 뜻.
●三昧; 현응음의6. 삼매(三昧) 바른 말로는 삼마지(三摩地; 梵 samā dhi)니 여기에선 이르되 등지(等持)임. 모든 공덕을 등지함임. 혹은 이르되 정정(正定)이니 이르자면 한 경계에 인연을 머물러 모든 사란(邪亂)을 여읨임. 예전에 이른 삼마제(三摩提)는 그름. ▲번역명의집4. 삼매(三昧) 여기에선 이르되 조직정(調直定)이며 또 이르되 정정(正定)이며 또는 이르되 정수(正受)다. 규봉소(圭峯疏)에 이르되 모든 수(受)를 받지 않으므로 정수(正受)라고 이름한다. ▲조정사원5. 삼매(三昧)란 것은 삼(三)은 가로되 정(正)이며 매(昧)는 가로되 정(定)임. 또한 이르되 정수(正受)니 이르자면 정정(正定)이 불란(不亂)하여 능히 제법을 받아 억지(憶持)하며 간택하므로 고로 이름이 정수(正受)임. 또한 이르되 등지(等持)니 정정(正定)이 능히 정혜(正慧)를 발생하여 제법을 등지(等持; 가지런히 가짐)하므로 이런 고로 이를 이름해 등지(等持)임.
●習氣; 또 번뇌습ㆍ여습ㆍ잔기(殘氣)로 지으며 약칭이 습(習). ▲구사론기1. 말한 습기란 것은 습(習)은 이르자면 자주 익힘이며 기(氣)는 이르자면 기분(氣分)이다. 여러 번뇌 및 열지(劣智) 등이 있어 자주 기분을 익히는지라 고로 이름이 습기다. 습의 기인지라 이름하여 습기다. ▲사교의과해중(四敎儀集解中) 습(習)은 곧 관습이며 기(氣)는 이르자면 기분이니 곧 이 관습이 바로 기분을 부림이다. 마치 오랫동안 발을 채운 사람이 갑자기 해방되어 벗어남을 얻었다면 다닐 때 비록 없지만 오히려 습관이 있음과 같다. 또 마치 향이 그릇 속에 있는데 비록 그 향을 제거했더라도 나머지 향기가 아직 있음과 같다.
●地獄; <범> naraka 혹 niraya. <파> niraya. 5도(道)의 하나, 6도의 하나, 3악도의 하나가 됨. 현응음의6. 지옥(地獄) 범언(梵言)으로 니리야(泥黎耶), 혹은 말하되 니라야(泥囉夜), 혹은 이르되 나락가(那落迦)는 여기에선 이르되 가히 즐겁지 않음(不可樂)이며 또는 이르되 비행(非行)이니 이르자면 비법(非法)을 행하는 곳이다. ▲혜림음의26. 지옥(地獄)은 136소(所)며 처음에 팔열지옥(八熱地獄)이 있다. 1은 등활(等活)이며 2는 흑승(黑繩)이며 3은 중합(衆合)이며 4는 호규(號叫)며 5는 대호규(大號叫)며 6은 소연(燒燃)이며 7은 극소연(極燒燃)이며 8은 아비대지옥(阿鼻大地獄)이다. 낱낱의 지옥에 각기 4문(門)이 있고 낱낱의 문밖에 다시 4옥(獄)이 있다. 1은 당외(煻煨)며 2는 시분(屍糞)이며 3은 봉인(鋒刃)이며 4는 열하(烈河)다. 이 8지옥은 이 근본이며 각기 열여섯이 있어 권속(眷屬)으로 삼나니 합하면 136을 이룬다. ▲번역명의집2. 보행(輔行; 止觀輔行傳弘決)에 이르되 지옥은 뜻을 좇아 이름을 세웠다. 이르자면 지하의 옥(獄)인지라 이름해 지옥이다. 고로 바사(婆沙)에 이르되 섬부주(贍部洲) 아래 5백 유선나(踰繕那)를 지나면 곧 그 옥(獄)이 있다.
●天堂; 천중(天衆)이 거주하는 바의 궁전을 가리킴. 또 천궁으로 지으며 지옥과 대칭됨.
●佛乘; 1. 화엄에서 세운 바니 설하기를 일체중생이 모두 가히 성불할 도의 교법이니 이를 일러 불승이라 한다. 이 법은 2승(乘)이나 3승 등을 나누지 않음. 유일한 성불의 법을 설하는지라 고로 또 이르되 1승임. 화엄과 법화에서 설하는 바의 원교(圓敎)가 이것임. 2. 3승(乘)의 하나. 3승 중의 보살승을 성문과 독각의 2승에 대해 이르기를 불승이라 함. 보살승은 성불의 법이 되는 연고임.
●三世; 또 이르되 3제(際)니 과거ㆍ현재ㆍ미래임. 또 전세ㆍ현세ㆍ내세임. 세(世)란 것은 천류(遷流)의 뜻. 유위의 사물은 1찰나의 사이에도 또한 멈추지 않고 생하면 바로 멸하나니 이로 인해 이르기를 내생은 미래세가 되고 생료(生了)하면 현재세가 되고 멸료(滅了)하면 과거세가 됨. 이것은 사물의 천류상(遷流上)에서 3종의 세(世)를 가립(假立)했음. 사물을 여의면 달리 세의 실체가 없음 [보적경94]. ▲잡아함경27. 3세(世)가 있다 무엇 등이 3이 되는가 이르자면 과거세ㆍ미래세ㆍ현재세다.
●祖師; 조(祖)란 것은 시(始)니 1종1파(一宗一派)를 개창(開創)한 사람을 개조(開祖)라고 이르고 혹 그 교법(敎法)을 전승(傳承)한 사람을 열조(列祖)라고 이름. 개조에 종조(宗祖)와 파조(派祖)의 분별이 있으니 예여(例如; 예를 들어 말함) 일반적으로 보리달마(菩提達摩)를 존칭하여 선종의 종조(宗祖)로 삼고 의현(義玄)과 양개(良价)는 곧 분별하여 임제종과 조동종의 파조(派祖)로 삼음. 불교의 각 종파(宗派)에서 다 그 열조(列祖)의 상승(相承)을 중시하나니 예여(例如) 선종은 서천의 28조와 동토의 6조가 있고 천태종은 동토의 9조ㆍ17조가 있고 화엄종은 5조ㆍ7조ㆍ10조가 있고 진언종은 8조가 있고 정토종은 5조ㆍ13조 등이 있음. ▲춘추정의(春秋正義) 담조(啖助)가 가로되 3전(三傳; 左傳ㆍ公羊傳ㆍ穀梁傳)의 뜻은 본래 다 구전(口傳)했으나 뒤의 학자들이 이에 죽백(竹帛)에 붙여 조사(祖師)의 명목(名目)으로써 이를 제목했다. ▲한서 외척전. 정도정희(定陶丁姬)는 애제(哀帝)의 모친이다. 역조사정장군(易祖師丁將軍)의 현손(玄孫)이다. 사고(師古)의 주(注)에 가로되 조(祖)는 시(始)다. 정관역(丁寬易)의 시사(始師)다. 고로 석로(釋老) 2씨가 그 종파를 창립한 사람을 일컬어 가로되 조사(祖師)라 한다. ▲석씨요람상(釋氏要覽上) 이 국토에선 달마의 서래(西來)로부터 조계능대사(曹溪能大師)에 이르기까지(距) 6인만이 조사(祖師)라는 명칭을 얻는다.
●妄語; 10악의 하나. 이르자면 허언을 구조(搆造; 제조)하여 사람들에게 믿음을 취하려 함임. 그러나 망어에 대소의 구별이 있음. 대망어(大妄語)란 것은 이르자면 얻지 못하고서 얻었다고 말하고 증득하지 못하고서 증득했다고 말하여 명리(名利)를 탐하고 도모하면서 괴이를 나타내어 무리를 혹란하는지라 고로 대망어를 이룸. 소망어(小妄語)란 것은 이르자면 보지 못하고서도 보았다고 말하고 보고서도 보지 못했다고 말하고 듣고서도 듣지 못했다고 말하고 듣지 못하고서도 들었다고 말함임. 만습(慢習)의 교사(矯詐; 남을 속이거나 기만함)로 앞의 사람을 경모(輕侮; 업신여기거나 모욕함)함이니 곧 소망어를 이룸 [전계정범].
●信意信手; 신(信)은 수의(隨意). 임빙(任凭; 마음대로 하게 하다). 예컨대(如) 신수염래(信手拈來; 손 닿는 대로 집어 오다).
●忉怛; 말이 많음. 노도(嘮叨; 叨도 또한 嘮임).
●繁絮; 번잡(繁雜)하고 라사(囉唆; 수다스럽다)함.
●婆羅門; <범> brāhmaṇa. 현응음의18. 바라문(婆羅門) 이 말은 와략(訛略)이다. 응당 이르되 바라하마나(婆羅賀磨拏)니 이는 뜻에 이르되 범천법(梵天法)을 승습(承習)하는 자다. 그 사람들의 종류가 스스로 이르기를 범천의 입으로 좇아 나왔다. 4성(姓) 중에 최승(最勝)이므로 고로 홀로 범(梵)이란 이름을 취한다. 오직 5천축에만 있고 제국(諸國)에는 곧 없다. 경중의 범지(梵志)도 또한 이 이름이다. 바른 말로는 정윤(靜胤)이니 말하자면 이 범천의 묘윤(苗胤)이다. ▲수릉엄의소주경2. 바라문(婆羅門) 여기에선 이르되 범지(梵志)며 혹은 정지(淨志)다.
●菩薩; (1). 갖춘 이름은 보리살타(菩提薩埵; 梵 bodhi -sattva). 구역(舊譯)으론 대도심중생(大道心衆生)ㆍ도중생(道衆生) 등이 되며 신역(新譯)은 가로되 대각유정(大覺有情)ㆍ각유정(覺有情) 등임. 이르자면 이는 구도하는 대심(大心)의 사람이므로 고로 가로되 도심중생(道心衆生)이며 도를 구하고 대각을 구하는 사람이므로 고로 가로되 도중생(道衆生)ㆍ대각유정(大覺有情)임. 또 살타란 것은 용맹의 뜻이니 용맹하게 보리를 구하는 고로 이름이 보리살타임. 또 개사(開士)ㆍ시사(始士)ㆍ고사(高士)ㆍ대사(大士) 등으로 번역함은 의역(義譯)이니 총명(總名)이 불과(佛果)를 구하는 대승중(大乘衆)임 [주유마경1. 대승의장14. 법화현찬2. 불지론2. 정명소1]. (2). 승인에 대한 경칭.
●阿耨菩提; 아뇩다라삼먁삼보리(阿耨多羅三藐三菩提; 梵 anuttarā-samyak-saṃbodhi)의 약칭이 아뇩삼보리(阿耨三菩提; 耨은 奴豆切 또 內沃切)ㆍ아뇩보리니 여기에선 이르되 무상정등정각(無上正等正覺)ㆍ무상정등각(無上正等覺)ㆍ무상정편지(無上正遍知)임. 아뇩다라는 무상(無上)으로 번역하고 삼먁삼보리는 정편지(正遍知)로 번역하나니 곧 불타가 각오(覺悟)한 바의 지혜임. 평등원만(平等圓滿)의 뜻을 함유(含有)했음. ▲유마경 불국품 조주(肇註). 아뇩다라는 진(秦)나라 말로 무상(無上)이며 삼먁삼보리는 진나라 말로 정편지(正遍知)다. 도(道)가 막대(莫大)하게 큰 것이 무상(無上)이며 그 도가 진정(眞正)하며 알지 못할 법이 없음이 정편지(正遍知)다. ▲법화경현찬2. 아(阿)는 이르되 무(無)며 뇩다라(耨多羅)는 이르되 상(上)이며 삼(三)은 이르되 정(正)이며 먁(藐)은 이르되 등(等)이며 또 삼(三)은 이르되 정(正)이며 보리(菩提)는 이르되 각(覺)이니 곧 이 무상정등정각(無上正等正覺)이다.
●蒲團; 포초(蒲草; 부들풀)로 편직(編織)하여 만든 원형이면서 편평(扁平; 납작하고 평평)한 좌구니 곧 승인이 좌선 및 궤배(跪拜)할 때 쓰는 바의 물건.
●相聽; 상(相)은 일방이 다른 일방에 대해 동작하는 바가 있음을 표시함.
https://blog.naver.com/pyungsimsa/223761444652
서장주역(書狀註譯)
2025. 02. 번역필. 594쪽 本註와 補註 총 1078 目. 110권 초판. 원문과 출처가 분명한 한문 주석을 넣고 다...
blog.naver.com
'서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서장주역(書狀註譯) 증시랑(曾侍郞)〈天游〉에게 답하다○〈問書 附〉 01 (0) | 2025.02.15 |
---|---|
서장주역(書狀註譯) 목록 (0) | 2025.02.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