神光
二祖生時 神光照室 故舊名神光 後達摩改名慧可
) -->
二祖가 태어날 때 神光이 방을 비췄으므로 고로 舊名이 신광임. 후에 달마가 慧可로 개명했음.
) -->
紫胡
紫當作子 子胡巗蹤禪師 於門前立牌云 子胡有一犬上取人頭 中取人心 下取人足 擬擬則喪身失命 僧問 如何是子胡犬 師云 嘷嘷호
) -->
紫는 마땅히 子로 지어야 함. 子胡巗 利蹤禪師(南泉의 法嗣. 南嶽下三世)가 門前에 立牌해 이르되 子胡에 한 마리 개가 있나니 위론 사람의 머리를 취하고 가운데론 사람의 가슴을 취하고 아래론 사람의 발을 취한다. 擬擬(擬는 헤아릴 의)하면 곧 喪身失命하느니라. 중이 묻되 무엇이 이 자호의 개입니까. 스님이 이르되 컹컹(嘷는 짖을 호).
破竈墮▶竈는 부뚜막 조. 파조타는 慧安國師의 法嗣. 五祖弘忍下二世.
師晦迹不以名顯 嵩山老安以今名稱之 師居嵩嶽 有廟甚靈 殿中唯安一竈 師入廟 以杖敲竈三下 咄돌 此竈只是泥瓦合成 聖從何來 靈從何出 又打三下 竈傾破墮落 須臾有一靑衣戴冠設拜云 我此廟竈神 今日蒙師說無生法 今生天中 特來致謝 師曰 是汝本有之性 非吾强言 卽再拜而沒
) -->
스님은 종적을 감추어 이름을 나타내지 않았음. 嵩山의 老安(慧安이 長壽하여 當時에 老安으로 불리었음)이 지금의 이름으로 그를 일컬었음. 스님이 嵩嶽에 거주했는데 祠堂(廟)이 있어 매우 신령했으며 殿中에 오직 한 부뚜막을 안치했다. 스님이 入廟하여 주장자로 부뚜막을 세 번 두드렸다. 咄(꾸짖는 소리 돌. 혀 차는 소리 돌) 이 부뚜막은 단지 이 泥瓦로 합성하였나니 聖은 어디로부터 오며 靈은 어디로부터 나오는가. 또 세 번 때리자 부뚜막이 기울면서 깨져 떨어졌다. 잠시(須는 잠깐 수. 臾는 잠깐 유) 만에 한 푸른 옷에 冠을 쓴 이가 있어 예배를 베풀고 이르되 나는 이 廟의 竈神입니다. 금일 스님이 無生法 설하심을 입어 지금 天中에 태어났습니다만 특별히 와서 감사 드립니다. 스님이 가로되 이는 너의 本有의 성품인지라 내가 애써 말함이 아니니라. 곧 再拜하고 隱沒했다.
'석자역주 조정사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석자역주(釋字譯註) 조정사원(祖庭事苑) 卷第二 雪竇頌古 64 소삭(銷鑠) 마롱(磨礱) (0) | 2019.09.05 |
---|---|
석자역주(釋字譯註) 조정사원(祖庭事苑) 卷第二 雪竇頌古 63 구담(瞿曇) (0) | 2019.09.05 |
석자역주(釋字譯註) 조정사원(祖庭事苑) 卷第二 雪竇頌古 61 지수(止水) 우문(禹門) (0) | 2019.09.05 |
석자역주(釋字譯註) 조정사원(祖庭事苑) 卷第二 雪竇頌古 60 전상(全象) 전우(全牛) (0) | 2019.09.05 |
석자역주(釋字譯註) 조정사원(祖庭事苑) 卷第二 雪竇頌古 59 망주(網珠) 오불견시(吾不見時) (0) | 2019.09.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