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畜雲西密】 禪林疏語考證二 畜雲西密 易曰 小畜亨 密雲不雨 自我西郊 傳 雲陰陽之氣 二氣交而和則相畜固而成雨 陽倡而陰和順也故和 若陰先陽倡不順也故不和 不和則不能成雨 雲之畜聚雖密而不成雨者 自西郊故也 東北陽方 西南陰方 自陰倡故不和而不能成雨 ▲禪林疏語考證二 畜雲西密不堪惜雨之憂 微雨東來僅應望雲之禱
축운서밀(畜雲西密) 선림소어고증2. 축운서밀(畜雲西密) 역(易)에 가로되 소축(小畜)이 형(亨)이나 밀운(密雲)이 비를 내리지 않음은 나의 서교(西郊)로부터이다. 전(傳) 구름은 음양의 기운이다. 2기(氣)가 사귀어 화합하면 곧 서로 견고(堅固)를 모아 비를 이룬다. 양(陽)이 인도(倡)하고 음(陰)이 화순(和順)하는 고로 화합한다. 만약 음이 먼저고 양이 따르면 순서가 아닌 고로 불화(不和)한다. 불화는 곧 능히 비를 이루지 못한다. 구름이 모여 비록 뻭빽하더라도 비를 이루지 못하는 것은 서교(西郊)로부터 시작하기 때문이다. 동북(東北)은 양방(陽方)이며 서남은 음방(陰方)인데 음(陰)으로부터 인도함인 고로 불화하여 능히 비를 이루지 못하는 것이다. ▲선림소어고증2. 축운이 서밀하여(畜雲西密) 석우(惜雨)의 근심을 감내하지 못하는데 미우(微雨)가 동에서 오니 겨우 망운(望雲)의 기도에 응한다.
) -->
【竺元道】 元代楊岐派僧妙道 字竺元 詳見妙道
축원도(竺元道) 원대 양기파승 묘도의 자가 축원이니 상세한 것은 묘도(妙道)를 보라.
) -->
【竺原道】 元代楊岐派僧妙道 字竺原 又字竺元 詳見妙道
축원도(竺原道) 원대 양기파승 묘도의 자가 축원(竺原)이며 또 자가 축원(竺元)이니 상세한 것은 묘도(妙道)를 보라.
) -->
【竺源盛】 元代楊岐派僧水盛字竺源 詳見水盛
축원성(竺源盛) 원대 양기파승 수성의 자가 축원이니 상세한 것은 수성(水盛)을 보라.
) -->
【竺原元】 宋代楊岐派僧宗元 號竺原 詳見宗元
축원원(竺原元) 송대 양기파승 종원의 호가 축원이니 상세한 것은 종원(宗元)을 보라.
) -->
【竺源智泉】 高麗國僧智泉號竺源 詳見智泉
축원지천(竺源智泉) 고려국승 지천의 호가 축원이니 상세한 것은 지천(智泉)을 보라.
'국역태화선학대사전 9책(ㅊㅍ)'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9책(ㅊㅋㅌㅍ) 455쪽 (0) | 2019.12.19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9책(ㅊㅋㅌㅍ) 454쪽 (0) | 2019.12.19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9책(ㅊㅋㅌㅍ) 452쪽 (0) | 2019.12.19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9책(ㅊㅋㅌㅍ) 450쪽 (0) | 2019.12.19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9책(ㅊㅋㅌㅍ) 449쪽 (0) | 2019.12.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