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9책(ㅊㅍ)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9책(ㅊㅋㅌㅍ) 842쪽

태화당 2019. 12. 23. 11:39

八部龍神又作天龍八部 佛敎護法队伍 分爲天 龍 夜叉等八大部衆 稱爲八部龍神 參八部 普菴印肅語錄一 八部龍神 和光同喜 千年枯木忽開花 久溺驪珠今日現

팔부룡신(八部龍神) 또 천룡팔부로 지음. 불교의 호법 대오(队伍)를 분류하면 천ㆍ용ㆍ야차 등 팔대부중(八大部衆)이며 일컬어 팔부용신이라 함. 팔부(八部)를 참조하라. 보암인숙어록1. 팔부용신(八部龍神)이 화광동희(和光同喜)하니 천년의 고목이 홀연히 개화하고 구닉(久溺)한 이주(驪珠; 여주)가 금일 나타났다.

) --> 

八部般若又以八部總該般若 金剛仙論一曰 則有感應應世 故說八部般若 以十種義 釋對治十 其第一部十萬偈(大品是) 第二部二萬五千偈(放光是) 第三部一萬八千偈(光讚是) 第四部八千偈(道行是) 第五部四千偈(小品是) 第六部二千五百偈(天王問是) 第七部六百偈(文殊是) 第八部三百偈(卽此金剛般若是) 憨山夢遊集四十六 佛第二時說般若經 有二十二年 其經最多 來此方者 有八部般若

팔부반야(八部般若) 8부로 반야를 총해(總該). 금강선론1에 가로되 곧 감응하여 응세(應世)함이 있는지라 고로 8부 반야를 설했고 10종의 뜻으로 십()을 해석해 대치(對治)했다. 그 제1부는 10만 게며(大品이 이것) 2부는 25천 게며(放光이 이것) 3부는 18천 게며(光讚이 이것) 4부는 8천 게며(道行이 이것) 5부는 4천 게며(小品이 이것) 6부는 25백 게며(天王問이 이것) 7부는 6백 게며(文殊가 이것) 8부는 3백 게다(곧 이 금강반야가 이것). 감산몽유집46. 불타가 제2시에 반야경을 설했는데 22년이 있으며 그 경이 가장 많다. 이 지방에 온 것은 팔부반야(八部般若)가 있다.

) --> 

八部神八部龍神 見八部 紫栢集十四 經龕畫八部神記

팔부신(八部神) 8부 용신이니 팔부(八部)를 보라. 자백집14. 경감화팔부신기(經龕畫八部神記; 經龕에 팔부신을 그린 ).

) --> 

八不淨卽八不淨物 乃指八種戒律上不允許比丘比丘尼所蓄積或從事之事物 卽金 銀 奴婢 牛 羊 倉庫 及販賣 耕種 另一說八不淨者 卽田園 種植 穀帛 人僕 禽獸 錢寶 裖釜 象金飾床 及諸重物 [涅槃經疏六 佛祖統紀四] 龐居士語錄下 世人愛假不愛眞 世人憐富却憎貧 唯敬三塗八不淨 背却如來妙色身

팔부정(八不淨) 곧 여덟의 부정물이니 곧 8종의, 계율상 윤허하지 아니한 비구와 비구니가 축적하는 것이나 혹 종사하는 사물을 가리킴. 곧 금ㆍ은ㆍ노비ㆍ소ㆍ양ㆍ창고 및 판매와 경종(耕種). 다른 일설의 8부정은 곧 전원(田園)ㆍ종식(種植)ㆍ곡백(穀帛)ㆍ인복(人僕)ㆍ금수(禽獸)ㆍ전보(錢寶)ㆍ진부(裖釜; 솥을 갖춤)ㆍ상금식상(象金飾床; 상아나 금으로 장식한 상) 및 여러 귀중한 물건 [열반경소6. 불조통기4]. 방거사어록하. 세인은 거짓을 좋아하고 진실을 좋아하지 않으며/ 세인은 부귀를 연모하고 도리어 빈곤을 증오한다/ 오직 3()8부정(不淨)을 공경하여/ 여래의 묘색신을 배각(背却)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