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現世】 又作現生 今生 卽現在世 ▲潙山警策註 圓覺云 若人心不妄 現世卽菩薩
현세(現世) 또 현생ㆍ금생으로 지음. 곧 현재세. ▲위산경책주. 원각에 이르되 어떤 사람이 마음이 허망하지 않으면 현세(現世)에 곧 보살이다.
) -->
【玄素】 (668-752) 唐代僧 嗣牛頭智威 牛頭法融下五世 潤州延陵(今江蘇丹陽西南)人 俗姓馬 字道淸 故亦稱馬素 唐如意元年(692) 於江寧長壽寺出家 開元(713-742)年中至京口 應郡牧韋銑之請 居於潤州黃鶴山之鶴林寺 天寶十一年示寂 壽八十五 太和年中 追諡大律禪師 [祖堂集三 傳燈錄四 佛祖歷代通載十三 宋高僧傳九]
현소(玄素) (668-752) 당대승. 우두지위(牛頭智威)를 이었으니 우두법융하 5세. 윤주 연릉(지금의 강소 단양 서남) 사람이며 속성은 마(馬)며 자는 도청이니 고로 또한 명칭이 마소(馬素)임. 당 여의 원년(692) 강녕 장수사에서 출가했고 개원(713-742)년 중 경구(京口)에 이르러 군목(郡牧) 위선(韋銑)의 요청에 응해 윤주 황학산의 학림사(鶴林寺)에 거주했음. 천보 11년 시적했고 나이는 85. 태화년 중 추시(追諡)하여 대율선사라 했음 [조당집3. 전등록4. 불조역대통재13. 송고승전9].
) -->
【縣疏】 一縣官府所出的公疏 官府疏之一種 ▲虛堂語錄八 師出世 初住嘉興府興聖寺 府疏已刊前集 縣疏知府陸盤隱撰
현소(縣疏) 1현(縣)의 관부(官府)에서 발출(發出)하는 바의 공고(公疏)니 관부소(官府疏)의 일종. ▲허당어록8. 스님이 출세하여 처음 가흥부 흥성사에 주(住)했다. 부소(府疏)는 이미 전집(前集)에서 간행했고 현소(縣疏)는 지부(知府) 육반은(陸盤隱)이 찬(撰)했다.
) -->
【玄素體】 淸代曹洞宗僧淨體 字玄素 詳見淨體
현소체(玄素體) 청대 조동종승 정체의 자가 현소니 상세한 것은 정체(淨體)를 보라.
) -->
【賢首】 唐代華嚴宗第三祖法藏 字賢首 詳見法藏 又指賢首宗 ▲禪林寶訓音義 汴京自唐朝毀寺 太祖建隆間復興兩街 止是南山律部 慈恩賢首疏鈔義學而已
현수(賢首) 당대 화엄종 제3조 법장의 자가 현수니 상세한 것은 법장(法藏)을 보라. 또 현수종(賢首宗)을 가리킴 ▲선림보훈음의. 변경(汴京)은 당조(唐朝)에서 훼사(毀寺)함으로부터 태조 건륭(960-961) 간 양가(兩街)를 부흥했다. 다만 이는 남산율부(南山律部)와 자은(慈恩)ㆍ현수(賢首)의 소초(疏鈔) 의학(義學)일 따름이다.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321쪽 (0) | 2019.12.28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320쪽 (0) | 2019.12.28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318쪽 (0) | 2019.12.28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317쪽 (0) | 2019.12.28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316쪽 (0) | 2019.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