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玄宗】 玄妙宗旨 禪宗意旨 ▲禪宗永嘉集 夫欲妙識玄宗 必先審其愚智 若欲審其愚智 善須明其眞妄 ▲傳燈錄十六九峰道虔 擬將心意學玄宗 狀似西行却向東
현종(玄宗) 현묘한 종지. 선종의 의지. ▲선종영가집. 무릇 현종(玄宗)을 묘식(妙識)하려면 반드시 먼저 그 우지(愚智)를 살펴(審) 그 진망(眞妄)을 밝힘을 잘 써야 한다. ▲전등록16 구봉도건. 심의(心意)를 가지고 현종(玄宗)을 배우려고 한다면 서행(西行)하려고 하면서 도리어 향동(向東)함과 상사(狀似; 형상이 흡사)하다.
【顯宗記】 一篇 唐代荷澤神會作 全稱荷澤大師顯宗記 收於大正藏第五十一冊景德傳燈錄三十 內容敘述禪宗之宗要 全篇僅有六百六十字
현종기(顯宗記) 1편. 당대(唐代)의 하택신회(荷澤神會)가 지었으며 전칭이 하택대사현종기(荷澤大師顯宗記)임. 대정장 제51책의 경덕전등록30에 수록되었음. 내용은 선종의 종요(宗要)를 서술했으며 전편(全篇)이 겨우 660자가 있음.
) -->
【顯宗論】 阿毘達磨藏顯宗論之略稱 四十卷 薩婆多部衆賢造 唐玄奘譯 顯揚諸法實有之宗義 收於大正藏第二十九冊 ▲宗鏡錄九十九 顯宗論云 我此禪門一乘妙旨 以無念爲宗 無住爲本 眞空爲體 妙有爲用
현종론(顯宗論) 아비달마장현종론의 약칭. 40권. 살바다부(薩婆多部) 중현(衆賢)이 지었고 당 현장(玄奘)이 번역했음. 제법실유(諸法實有)의 종의(宗義)를 현양(顯揚)했음. 대정장 제29책에 수록되었음. ▲종경록99. 현종론(顯宗論)에 이르되 나의 이 선문(禪門)의 일승묘지(一乘妙旨)는 무념(無念)으로 종(宗)을 삼고 무주(無住)로 본(本)을 삼고 진공(眞空)으로 체(體)를 삼고 묘유(妙有)로 용(用)을 삼는다.
) -->
【玄酒】 一古代祭禮中當酒用的淸水 二指淡薄的酒 ▲雪峰語錄大尾 大羹玄酒爲衆味王 淡然有餘味
현주(玄酒) 1. 고대 제례(祭禮) 중 주용(酒用)에 당하는 청수(淸水). 2. 담박(淡薄)한 술을 가리킴. ▲설봉어록대미. 대갱(大羹)과 현주(玄酒)는 중미(衆味)의 왕이 되나니 담연(淡然)하면서 여미(餘味)가 있다.
) -->
【玄中銘】 一篇 唐代曹洞宗開祖洞山良价(807-869)撰 闡明回互宛轉 事理雙明 體用無滯的玄旨 四言五十六句二二四字 與寶鏡三昧歌 新豐吟 綱要頌 並載洞山語錄
현중명(玄中銘) 1편. 당대 조동종 개조 동산양개(洞山良价; 807-869)가 찬(撰)했음. 회호완전(回互宛轉)ㆍ사리쌍명(事理雙明)ㆍ체용무체(體用無滯)의 현지(玄旨)를 천명(闡明)했음. 4언 56구 224자. 보경삼매가ㆍ신풍음ㆍ강요송과 더불어 모두 동산어록에 실렸음.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340쪽 (0) | 2019.12.28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339쪽 (0) | 2019.12.28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336쪽 (0) | 2019.12.28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335쪽 (0) | 2019.12.28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334쪽 (0) | 2019.12.2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