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407쪽

태화당 2019. 12. 29. 09:33

嵆山章又作稽山章 五代曹洞宗僧 江西南康雲居山道膺法嗣 住池州嵆山 [傳燈錄二十 五燈會元十三]

혜산장(嵆山章) 또 계산장(稽山章)으로 지음. 오대 조동종승. 강서 남강 운거산 도응(道膺)의 법사며 지주 혜산에 거주했음 [전등록20. 오등회원13].

) --> 

慧山海淸代臨濟宗僧超海 字慧山 詳見超海

혜산해(慧山海) 청대 임제종승 초해의 자가 혜산이니 상세한 것은 초해(超海)를 보라.

) --> 

鼷鼠祖庭事苑四 鼷鼠 西漢 注 鼷鼠 一名甘鼠 食人及鳥獸 至盡不痛 爾雅 郭璞 有螫毒者 明覺語錄一 問 翠峰一箭已射雪竇 雪竇一箭當射何人 師云 不爲鼷鼠發機

혜서(鼷鼠) 조정사원4. 혜서(鼷鼠) 서한(西漢) () 혜서는 일명이 감서(甘鼠)니 사람 및 조수(鳥獸)를 먹는데 다함에 이르도록 아프지 않다. 이아(爾雅) 곽박(郭璞) 독을 쏨(은 쏠 석)이 있는 놈이다. 명각어록1. 묻되 취봉(翠峰)1()은 이미 설두를 쏘았습니다만 설두의 1전은 마땅히 어떤 사람을 쏨니까. 스님이 이르되 혜서(鼷鼠)를 위해 발기(發機)하지 않는다.

) --> 

惠暹宋代臨濟宗僧 亦作慧暹 名文慧 從東京淨因道臻受法 住福州莆田上生寺 移怡山長慶寺 [續燈錄十四 五燈會元十二]

혜섬(惠暹) 송대 임제종승. 또한 혜섬(慧暹)으로 지음. 이름은 문혜며 동경 정인도진(淨因道臻)을 좇아 법을 받았고 복주 보전 상생사에 주()하다가 이산 장경사로 옮겼음 [속등록14. 오등회원12].

) --> 

慧涉(741-822) 唐代牛頭宗僧 俗姓謝 爲東晉謝安後代 會稽(今浙江紹興)人 大歷(766-779)初年 于金陵(今江蘇南京)莊嚴寺 遇牛頭山忠禪師 遂師事之 幷得心旨 其後五十年中 大揚牛頭宗風 問道者雲集 [宋高僧傳二十九]

혜섭(慧涉) (741-822) 당대 우두종승. 속성은 사니 동진 사안(謝安)의 후대(後代)가 됨. 회계(會稽; 지금의 절강 소흥) 사람. 대력(766-779) 초년 금릉(지금의 강소 남경) 장엄사에서 우두산 충선사(忠禪師)를 만나 드디어 그를 사사(師事)했고 아울러 심지(心旨)를 얻었음. 그 후 50년 중 우두종풍을 대양(大揚)했으며 도를 묻는 자가 운집했음 [송고승전29].

) --> 

慧誠(941-1007) 宋代法眼宗僧 俗姓崔 揚州(今屬江蘇)人 幼年出家 至金陵(治今江蘇南京)報恩寺 參法安禪師 嗣其法 淳化(990-994)年間 住持廬山歸宗寺 [傳燈錄二十六]

혜성(慧誠) (941-1007) 송대 법안종승. 속성은 최며 양주(지금 강소에 속함) 사람. 유년에 출가했고 금릉(治所는 지금의 강소 남경) 보은사에 이르러 법안선사(法安禪師)를 참해 그의 법을 이었음. 순화(990-994)년 간 여산 귀종사에 주지했음 [전등록26].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