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405쪽

태화당 2019. 12. 29. 09:32

慧方】 ①(629-695) 唐代僧 牛頭宗第三祖 潤州(江蘇)延陵人 俗姓濮 於開善寺出家 受具足戒後 深硏經論 後入牛頭山 禮謁智巖 諮詢祕要 竝嗣其法 於牛頭山參契 逾十年不出林藪 四方學者皆雲集來訪 後欲行隨機利物 而以正法傳付法持禪師 獨自歸隱茅山 武后天冊萬歲元年示寂 世壽六十七 法臘四十 [傳燈錄四] 宋代楊岐派僧 湖南潭州人 姓許 參學於文殊心道(楊岐下四世) 竝嗣其法 後住潭州楚安寺 [普燈錄十九 五燈會元二十] (1073-1129) 宋代黃龍派僧 江西臨江人 俗姓龔 號超宗 少依禪居寺 十七歲試經得度 參學於死心悟新(黃龍下二世) 竝嗣其法 宣和年間(1119-1125) 於隆慶寺開堂 遷吉州禾山 豫章雲巖 隆興黃龍 建炎三年示寂 世壽五十七 遺有超宗慧方禪師語錄一卷 [聯燈會要十六 普燈錄十]

혜방(慧方) (629-695) 당대승. 우두종 제3. 윤주(강소) 연릉 사람이며 속성은 복. 개선사에서 출가했고 구족계를 받은 후 경론을 깊이 연구했음. 후에 우두산에 들어가 지암(智巖)을 예알하고 비요(祕要)를 자순(諮詢)했으며 아울러 그의 법을 이었음. 우두산에서 참계(參契: 參驗)하고는 10년이 넘도록 임수(林藪)를 벗어나지 않았음. 사방의 학자가 운집하고 내방했으며 후에 수기이물(隨機利物)을 행하려고 하면서 정법을 법지선사(法持禪師)에게 전부(傳付)하고 독자(獨自)로 모산(茅山)에 귀은(歸隱)했음. 무후(武后) 천책만세 원년 시적했고 세수는 67, 법랍은 40 [전등록4]. 송대 양기파승. 호남 담주 사람이며 성은 허. 문수심도(文殊心道; 양기하 4)에게 참학했고 아울러 그의 법을 이었음. 후에 담주 초안사에 주()했음 [보등록19. 오등회원20]. (1073-1129) 송대 황룡파승. 강서 임강 사람이며 속성은 공()이며 호는 초종(超宗). 소년에 선거사에 의지했고 17세에 시경득도(試經得度)했음. 사심오신(死心悟新; 황룡하 2)에게 참학했고 아울러 그의 법을 이었음. 선화년 간(1119-1125) 융경사에서 개당했고 길주 화산ㆍ예장 운암ㆍ융흥 황룡으로 옮겼음. 건염 3년 시적했고 세수는 57. 유작에 초종혜방선사어록 1권이 있음 [연등회요16. 보등록10].

) --> 

慧寶宋代雲門宗僧 又作惠寶 住韶州舜峰 嗣法南華寶緣 [續燈錄五 續傳燈錄六]

혜보(慧寶) 송대 운문종승. 또 혜보(惠寶)로 지음. 소주 순봉에 거주했고 남화보연의 법을 이었음 [속등록5. 속전등록6].

) --> 

慧本宋代臨濟宗僧 依護國齊月受法 住當陽護國寺 [續燈錄二十三 五燈會元十二]

혜본(慧本) 송대 임제종승. 호국제월에게 의지해 법을 받았고 당양 호국사에 주()했음 [속등록23. 오등회원12].

) --> 

慧溥仁淸代臨濟宗僧際仁 字慧溥 詳見際仁

혜부인(慧溥仁) 청대 임제종승 제인의 자가 혜부니 상세한 것은 제인(際仁)을 보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