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781쪽

태화당 2020. 1. 2. 09:30

徽猷閣北宋皇宮內一處藏書地點 主要用做保存宋哲宗御書 [百度百科] 僧寶正續傳一泐潭照 通議大夫馮公溫舒 徽猷閣待制宋公喚秀 州刺史韓公昭 同會泐潭 頗問道於師

휘유각(徽猷閣) 북송 황궁 속 한 곳의 장서(藏書)의 지점이니 주요는 송 철종의 어서(御書)를 보존함에 사용했음 [백도백과]. 승보정속전1 늑담조. 통의대부 풍공온서ㆍ휘유각(徽猷閣) 대제 송공환수ㆍ주자사(州刺史) 한공소가 늑담에 함께 모여 자못 스님에게 도를 물었다.

) --> 

諱日人死亡之日 忌日 五燈會元二耽源山應眞 國師諱日設齋 有僧問曰 國師還來否 師曰 未具他心 曰 又用設齋作麼 師曰 不斷世諦

휘일(諱日) 사람이 사망한 날이니 기일. 오등회원2 탐원산응진. 국사의 휘일(諱日)에 재()를 베풀었다. 어떤 중이 물어 가로되 국사가 도리어 오십니까. 스님이 가로되 타심통을 갖추지 않았다. 가로되 또 재를 베풀어 무엇합니까. 스님이 가로되 세제(世諦)를 단절하지 않는다.

) --> 

翬濟淸代臨濟宗僧 字喩葦 通州(江蘇南通)程氏 依退翁弘儲受法 住南嶽慈賢庵 [五燈全書八十六]

휘제(翬濟) 청대 임제종승. 자는 유위며 통주(강소 남통) 정씨. 퇴옹홍저에게 의지해 법을 받았고 남악 자현암에 거주했음 [오등전서86].

) --> 

彚藻文淸代臨濟宗僧思文 字彚藻 詳見思文

휘조문(彚藻文) 청대 임제종승 사문의 자가 휘조니 상세한 것은 사문(思文)을 보라.

) --> 

徽州今安徽省歙縣

휘주(徽州) 지금의 안휘성 흡현.

) --> 

暉洲昊淸代臨濟宗僧 字暉洲 名昊 樂亭(今屬河北)劉氏 年十一禮曉公薙髮 嘗閉關跪誦法華生疑 赴灤州萬善 決於了宗見 親依日久得契 出住灤州萬善 白道石佛 盛京華嚴 寧遠地藏 [五燈全書一六補遺]

휘주호(暉洲昊) 청대 임제종승. 자가 휘주며 이름이 호니 낙정(지금 하북에 속함) 유씨(劉氏). 나이 11에 효공을 예알하여 머리를 깎았음. 일찍이 폐관(閉關)하고 법화경을 궤송(跪誦)하다가 의심이 생겨 난주 만선에 다다라 요종견(了宗見)에게 결의(決疑)했고 친밀히 의지한 날이 오래되자 계합함을 얻었음. 출세해 난주 만선ㆍ백도 석불ㆍ성경 화엄ㆍ영원 지장에 거주했음 [오등전서106보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