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興文厄陳】 緇門警訓註上 孔子欲興文治 於陳蔡間 絶糧七日 ▲緇門警訓三 抱璞刖足興文厄陳
흥문액진(興文厄陳) 치문경훈주상. 공자가 문치(文治)를 일으키려고 하다가 진채(陳蔡) 사이에서 양식이 끊어지기가 7일이었음. ▲치문경훈3. 포박월족(抱璞刖足)하고 흥문액진(興文厄陳)하다.
) -->
【興微】 淸代曹洞宗僧 字霜頂 四明(浙江寧波)朱氏 嘗閱華嚴十定品 至普賢以法界藏爲身 卽能世界身心一時融會 往參石公璸於杭州虎跑大慈 蒙璸印可 繼住大慈 [廩山正燈錄]
흥미(興微) 청대 조동종승. 자는 상정이며 사명(절강 영파) 주씨. 일찍이 화엄 십정품(十定品)을 열람하다가 보현이 법계장(法界藏)으로 몸을 삼아 곧 능히 세계와 신심(身心)을 일시에 융회(融會)한다 함에 이르자 석공빈(石公璸)을 항주 호포대자(虎跑大慈)에 가서 참(參)하였고 빈의 인가를 받았으며 대자에 계주(繼住)했음 [늠산정등록].
) -->
【興珀】 淸代曹洞宗僧 字樹中 參石潮寧 苦行八載 得法後住建東苑 年三十三寂 [廩山正燈錄]
흥박(興珀) 청대 조동종승. 자는 수중이며 석조녕을 참해 고행하기 8재(載)였음. 득법한 후 건동원에 주(住)했고 나이 33에 적(寂)했음 [늠산정등록].
) -->
【興法大師】 五代僧紹卿的署號 詳見紹卿
흥법대사(興法大師) 오대승 소경의 서호(署號)니 상세한 것은 소경(紹卿)을 보라.
) -->
【興福寺】 位于江蘇省常熟市西北虞山 始建于南齊 初名大慈寺 南朝梁大同年間(535-546) 易名興福寺
흥복사(興福寺) 강소성 상숙시 서북 우산에 위치함. 남제(南齊)에서 처음 건립했고 처음 명칭은 대자사(大慈寺)였음. 남조 양 대동년 간(535-546) 흥복사로 이름을 바꾸었음.
) -->
【興福院】 見雙峰寺
흥복원(興福院) 쌍봉사를 보라.
) -->
【興福定】 淸代臨濟宗僧行定 曾住虞山興福 詳見行定
흥복정(興福定) 청대 임제종승 행정이 일찍이 우산 흥복에 거주했으니 상세한 것은 행정(行定)을 보라.
) -->
【興本】 淸代曹洞宗僧 字自彰 久參吉水龍華梅逢忍 得印可 出世匡廬金竹 [廩山正燈錄]
흥본(興本) 청대 조동종승. 자는 자창이며 길수 용화 매봉인을 오래 참했고 인가를 얻었으며 광려 금죽에서 출세했음 [늠산정등록].
) -->
【興舒】 淸代曹洞宗僧 字牧堂 湘潭(今屬湖南)人 參觀濤奇得法 住杭州皋亭崇先 [廩山正燈錄]
흥서(興舒) 청대 조동종승. 자는 목당이며 상담(지금 호남에 속함) 사람. 관도기를 참해 득법했고 항주 고정 숭선에 거주했음 [늠산정등록].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812쪽 (0) | 2020.01.02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811쪽 (0) | 2020.01.02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809쪽 (0) | 2020.01.02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808쪽 (0) | 2020.01.02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807쪽 (0) | 2020.0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