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興陽妙翅】 興陽指宋代曹洞宗僧淸剖 居郢州興陽 從容錄第四十四則興陽妙翅 僧問興陽剖和尙 娑竭出海乾坤靜 覿面相呈事若何 師云 妙翅鳥王當宇宙 箇中誰是出頭人 僧云 忽遇出頭時 又作麽生 陽云 似鶻捉鳩君不覺 御樓前驗始知眞 僧云 恁麽則叉手當胸退身三步 陽云 須彌座下烏龜子 莫待重敎點額痕
흥양묘시(興陽妙翅) 흥양은 송대 조동종승 청부(淸剖)를 가리키며 영주 흥양(興陽)에 거주했음. 종용록 제44칙 흥양묘시(興陽妙翅). 중이 흥양부화상(興陽剖和尙)에게 묻되 사갈(娑竭)이 바다에서 나오면 건곤이 고요하나니 적면(覿面)하여 상정(相呈)하는 일이 어떻습니까. 스님이 이르되 묘시조왕(妙翅鳥王)이 우주에 당했거늘 개중에 누가 이 출두하는 사람인가. 중이 이르되 홀연히 출두함을 만났을 땐 또 어떻습니까. 흥양이 이르되 새매가 비둘기를 잡음과 같거늘 그대가 깨닫지 못한다면 어루(御樓) 앞에서 증험(證驗)해야 비로소 진의를 알겠는가. 중이 이르되 이러하시다면 곧 차수(叉手)하여 당흉(當胸)하고 세 걸음 퇴신(退身)하겠습니다. 흥양이 이르되 수미좌(須彌座) 아래의 오귀자(烏龜子; 烏龜)여, 거듭 점액의 흔적을 남기게 됨을 기다리지 말아라.
) -->
【興陽剖】 宋代曹洞宗僧淸剖居郢州興陽 詳見淸剖
흥양부(興陽剖) 송대 조동종승 청부가 영주 흥양에 거주했으니 상세한 것은 청부(淸剖)를 보라.
) -->
【興陽讓】 五代潙仰宗僧淸讓 居郢州(今湖北京山)興陽山 詳見淸讓
흥양양(興陽讓) 오대 위앙종승 청양이 영주(지금의 호북 경산) 흥양산에 거주했으니 상세한 것은 청양(淸讓)을 보라.
【興陽靜】 宋代臨濟宗僧歸靜 住郢州興陽 詳見歸靜
흥양정(興陽靜) 송대 임제종승 귀정이 영주 흥양에 거주했으니 상세한 것은 귀정(歸靜)을 보라.
) -->
【興陽舟】 宋代臨濟宗僧啓舟 居郢州興陽山慧光院 詳見啓舟
흥양주(興陽舟) 송대 임제종승 계주가 영주 흥양산 혜광원에 거주했으니 상세한 것은 계주(啓舟)를 보라.
) -->
【興陽賢】 宋代臨濟宗僧 江州(江西九江)人 居郢州興陽 叢林稱謂賢蓬頭 嗣法大潙慕喆 [續傳燈錄十七]
흥양현(興陽賢) 송대 임제종승. 강주(강서 구강) 사람. 영주 흥양에 거주했고 총림에서 호칭해 이르기를 현봉두(賢蓬頭)라 했음. 대위모철(大潙慕喆)의 법을 이었음 [속전등록17].
【興言】 淸代曹洞宗僧 字妙詮 仁和(浙江杭州)李氏 參石公璸得法 住杭州虎跑 [廩山正燈錄]
흥언(興言) 청대 조동종승. 자는 묘전이며 인화(절강 항주) 이씨(李氏). 석공빈을 참해 득법했고 항주 호포에 거주했음 [늠산정등록].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816쪽 (0) | 2020.01.02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815쪽 (0) | 2020.01.02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813쪽 (0) | 2020.01.02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812쪽 (0) | 2020.01.02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811쪽 (0) | 2020.01.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