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821쪽

태화당 2020. 1. 2. 10:00

興華淸代曹洞宗僧 字無葉 南昌(今屬江西)人 初禮翠巖古堂喆座下 後參諸方 十易寒暑 復參梅逢忍於石塔 機緣契合 遂承記莂 潛隱西華有年 出住蕪湖興國 [廩山正燈錄]

흥화(興華) 청대 조동종승. 자는 무엽이며 남창(지금 강서에 속함) 사람. 처음 취암 고당철의 좌하에 참례했고 후에 제방을 참방하며 열 번 한서(寒暑)를 바꾸었음. 다시 매봉인(梅逢忍)을 석탑에서 참해 기연이 계합했고 드디어 기별(記莂)을 승수(承受)했음. 서화에 잠은(潛隱)하기 몇 년이었고 출세해 무호 흥국에 거주했음 [늠산정등록].

) --> 

興化河北魏府興化寺 又指五代後唐僧存獎 後住大明府興化院 嗣臨濟義玄 詳見存獎

흥화(興化) 하북 위부 흥화사. 또 오대 후당승 존장(存獎)을 가리킴이니 후에 대명부 흥화원에 주()했음. 임제의현을 이었으니 상세한 것은 존장(存獎)을 보라.

) --> 

興化軍福建的軍級古代行政區名 存在於公元九八至一二七七年間 轄境相當於今天的福建省莆田市 興化軍是北宋太平興國五年(980) 由原太平軍改名而來的 元至元十五年(1278) 被改爲興化路 [百度百科]

흥화군(興化軍) 복건의 군급(軍級) 고대 행정구(行政區)의 이름. 공원(公元) 980에서 1277년 간에 이르기까지 존재했음. 할경(轄境)은 금천(今天; 금일)의 복건성 보전시에 상당함. 흥화군은 이 북송 태평흥국 5(980) 원래의 태평군을 개명함으로 말미암아 온 것임. 원 지원 15(1278) 흥화로로 개칭함을 입었음 [백도백과].

) --> 

興化軍旗興化卽存獎 空谷集第八十三則興化軍旗 僧問興化 軍旗急速時如何 化云 日料半斤飡

흥화군기(興化軍旗) 흥화는 곧 존장. 공곡집 제83칙 흥화군기(興化軍旗). 중이 흥화에게 묻되 군기(軍旗)가 급속(急速)할 때 어떻습니까. 흥화가 이르되 하루에 반 근의 밥을 요리한다(日料半斤飡).

) --> 

興化同參相見見興化打同參 大慧語錄十 興化同參相見 頌云 鏌鎁在握 天魔膽落 明眼衲僧 休更卜度

흥화동참상견(興化同參相見) 흥화타동참을 보라. 대혜어록10. 흥화동참상견(興化同參相見) 송해 이르되 막야(鏌鎁)가 손아귀에 있나니/ 천마(天魔)의 쓸개가 떨어진다/ 명안납승이여/ 다시 복탁(卜度)함을 그쳐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