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0책(ㅎ)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0책(ㅎ) 829쪽

태화당 2020. 1. 2. 10:04

希明宋代黃龍派僧 綿竹(今屬四川)人 弱冠從馬溪廣禪師下髮 登具 依靑原惟信受法 住成都正法院 [普燈錄十 五燈會元十八]

희명(希明) 송대 황룡파승. 면죽(지금 사천에 속함) 사람이며 약관에 마계광선사를 좇아 하발(下髮)했고 등구(登具)했음. 청원유신(靑原惟信)에게 의지해 법을 받았고 성도 정법원에 주()했음 [보등록10. 오등회원18].

) --> 

喜無量心四心之一 見人離苦得樂生慶悅之心也 禪林疏語考證一 四心 法界次第曰 一慈無量心 二悲無量心 三喜無量心 四捨無量心

희무량심(喜無量心) 4심의 하나. 사람이 이고득락(離苦得樂)함을 보면 경열(慶悅)을 내는 마음임. 선림소어고증1. 4심 법계차제에 가로되 1은 자무량심임 2는 비무량심이며 3은 희무량심(喜無量心)이며 4는 사무량심이다.

) --> 

希辯】 ①(921-997) 又作希辨 宋代法眼宗僧 世稱普門希辯 蘇州常熟(位於江蘇)人 幼從延福院啓祥落髮 受具足戒 初於楞伽山學律 後參於法眼門下之天台德韶 受其心印 宋太祖乾德(963-967)初 吳越忠懿王命主越州(今浙江紹興)淸泰院 署號慧智 開寶年中(968-976) 復遷於杭州普門寺 太平興國三年(978) 太宗敕賜紫衣與慧明大師之號 至道三年八月示寂 壽七十七 [傳燈錄二十六 五燈會元十] (1081-1149) 宋代曹洞宗僧 又稱一辨 一辯 洪州(江西南昌)人 俗姓黃 十一歲出家 十八歲受具足戒 遊方至襄州(湖北襄陽) 參鹿門自覺禪師(良价下十三世) 得契機受印可 宣和(1119-1125)年間 住持靑州天寧寺 嘗於室中設百問勘驗修學者 歷住燕京華嚴寺 萬壽寺 靑州普照寺 鼓揚北地曹洞禪 後傳法於大明寶 金熙宗皇統九年示寂 壽六十九 [五燈全書六十一 續指月錄三 宗統編年二十四]

희변(希辯) (921-997) 또 희변(希辨)으로 지음. 송대 법안종승. 세칭이 보문희변(普門希辯)이니 소주 상숙(강소에 위치함) 사람. 어릴 적에 연복원 계상을 좇아 낙발(落髮)하고 구족계를 받았음. 처음 릉가산에서 율을 학습했고 후에 법안 문하의 천태덕소(天台德韶)를 참해 그의 심인을 받았음. 송태조 건덕(963-967) 초 오월(吳越) 충의왕(忠懿王)의 명으로 월주(지금의 절강 소흥) 청태원(淸泰院)을 주지(主持)했고 서호(署號)하여 혜지라 했음. 개보년 중(968-976) 다시 항주 보문사(普門寺)로 옮겼고 태평흥국 3(978) 태종이 자의(紫衣)와 혜명대사란 호를 칙사(敕賜)했음. 지도 38월에 시적했고 나이는 77 [전등록26. 오등회원10]. (1081-1149) 송대 조동종승. 또 명칭이 일변(一辨), 일변(一辯)이니 홍주(강서 남창) 사람이며 속성은 황. 11세에 출가했고 18세에 구족계를 받았고 유방하다가 양주(호북 양양)에 이르러 녹문자각선사(鹿門自覺禪師; 양개하 13)를 참해 계기(契機)를 얻고 인가를 받았음. 선화(宣和; 1119-1125)년 간 청주 천녕사에 주지했음. 일찍이 실중에서 백문(百問)을 시설해 수학자(修學者)를 감험했음. 연경 화엄사ㆍ만수사ㆍ청주 보조사(普照寺)를 역주(歷住)하며 조동선(曹洞禪)을 북지(北地)에 고양(鼓揚)했음. 후에 대명보(大明寶)에게 전법했고 금 희종 황통 9년 시적했음. 나이는 69 [오등전서61. 속지월록3. 종통편년2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