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10】 佛敎是*椀鳴 *祖宗是睡語 睡語與椀鳴 分明好記取 逈絶無人處 聚頭相共擧 會得甚奇特 不會也*相許 〖禪門拈頌集卄八 一三一二則 修山主偈〗
불교는 이 사발이 울림(椀鳴)이며/ 조종(*祖宗)은 이 잠꼬대로다/ 잠꼬대와 사발이 울림이여/ 분명히 좋이 기취(記取)하라/ 멀고 끊어져 사람이 없는 곳에/ 머리를 모아 서로 함께 들어보아라/ 알아 얻으면 매우 기특하지만/ 알지 못하더라도 상허(*相許)하리라.
*椀鳴; 방비성(放屁聲; 방귀를 뀌는 소리)과 같음.
*祖宗; 원래는 시조의 조상을 가리킴이나 선림 중에서 조사의 종지와 종풍을 가리킴. 또 조사를 가리킴.
*相許; 상(相)은 일방(一方)이 다른 일방에 대해 동작하는 바가 있음을 표시함.
'태화일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화일적(泰華一滴) 112 (0) | 2020.11.06 |
---|---|
태화일적(泰華一滴) 111 (0) | 2020.11.06 |
태화일적(泰華一滴) 109 (0) | 2020.11.06 |
태화일적(泰華一滴) 108 (0) | 2020.11.06 |
태화일적(泰華一滴) 107 (0) | 2020.11.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