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화일적

태화일적(泰華一滴) 278

태화당 2020. 11. 9. 10:00

278三細者 一者業相 卽無明業相 以依不覺故心動 說名爲業 覺則不動 動則有苦 果不離因故 二者轉相 卽能見相 以依動故能見 不動則無見 三者現相 卽境界相 以依能見故境界妄現 離見則無境界 註心賦四

 

3()란 것은 1자는 업상(業相)이니 곧 무명업상(無明業相)이다. 불각(不覺)에 의하는 고로 마음이 동()함을 설명(說名)해 업이라 한다. ()하면 곧 동하지 않고 동하면 곧 고가 있나니 과가 인을 여의지 않는 연고다. 2자는 전상(轉相)이니 곧 능견상(能見相)이다. ()에 의하는 고로 능견하나니 동하지 않으면 곧 봄()이 없다. 3자는 현상(現相)이니 곧 경계상(境界相)이다. 능견에 의하는 고로 경계가 망령되이 나타나나니 봄()을 여의면 곧 경계가 없다.

 

'태화일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화일적(泰華一滴) 280  (0) 2020.11.09
태화일적(泰華一滴) 279  (0) 2020.11.09
태화일적(泰華一滴) 277  (0) 2020.11.09
태화일적(泰華一滴) 276  (0) 2020.11.09
태화일적(泰華一滴) 275  (0) 2020.11.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