잡사(雜辭)/사게

사게(賜偈) 4 바하(婆訶) 卞花玉(仙陀會)

태화당 2021. 3. 13. 11:33

사호(賜號)

 

바하(婆訶) 卞花玉(仙陀會) 서기 2019.01

 

참선지요심안락(參禪只要心安樂)

요득심안휴만사(了得心安休萬事)

주진기량필사한(做盡伎倆匹似間)

불여정처살바하(不如靜處薩婆訶)

 

참선은 다만 마음의 안락을 요하나니

요득(了得)하여 마음이 안락하면 만사를 쉰다

기량을 지어 다함은 필사한(匹似間)1이니

정처(靜處)의 살바하(薩婆訶)2만 같지 못하다.

 

 

    1. 필사한(匹似間); 방어(方語)로 긴요하지 않음임.
    2. 정처(靜處)의 살바하(薩婆訶); 이르자면 청정(淸靜)하게 참구해야 가히 오도의 효과를 획득함. 살바하(薩婆訶; 梵 svāhā)는 범어의 음역이니 번역하면 길상ㆍ성취. △심경약소. 살바하(薩婆訶)란 것은 여기에선 이르되 속질(速疾)이다. 앞의 소작(所作; 지은 것)으로 하여금 속질로 성취하게 함인 연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