垂示云 恁麽恁麽 不恁麽不恁麽 若論戰也 箇箇立在轉處 所以道 若向上轉去 直得釋迦*彌勒 *文殊*普賢 千聖萬聖 天下宗師 普皆飲氣呑聲 若向下轉去 醯雞蠛蠓 *蠢動含靈 一一放大光明 一一*壁立萬仞 儻或不上不下 又作麽生商量 有條攀條 無條攀例 試擧看
●彌勒; 科註妙法蓮華經一 彌勒者 此云慈氏 思益云 若衆生見者 卽得慈心三昧 故名以慈氏 是菩薩現居知足內院 當來出興于堪忍 補釋迦之處 號彌勒世尊 於華林園內龍華樹下 而成正覺 智論三十四云 龍華初會度九十九億聲聞 第二會度九十六億聲聞 第三會度九十三億聲聞
●文殊; 見下第三五則
●普賢; 梵名邲輸跋陀 又作三曼多跋陀羅 或譯曰普賢 或作遍吉 主一切諸佛之理德定德行德 與文殊之智德證德相對 卽理智一雙 行證一雙 三昧般若一雙也 故以爲釋迦如來之二脅士 文殊駕師子侍佛之左方 普賢乘白象 侍佛之右方(今反智右理左之說者 示理智融通之義 又胎藏界之次第右蓮左金也) 此理智相卽 行證相應 三昧與般若全者 卽毘盧舍那法身佛也 華嚴一經之所明 歸於此一佛二菩薩之法門 故稱爲華嚴三聖 [法華義疏十二 探玄記二 大日經疏一]
●蠢動含靈; 蠢動的含靈 則指諸衆生
●壁立萬仞; 壁 陟峭的山崖 如懸崖峭壁 壁立萬仞者 形容禪悟者明見自心 自我爲主 絶無依倚 超脫塵俗的氣槪與境界 與壁立千仞同意
수시(垂示)하여 이르되 이러함(恁麽)은 이러하고 이러하지 않음은 이러하지 않나니 만약 법전(法戰; 戰)을 논하자면 개개가 전처(轉處)에 서 있다. 소이로 말하되 만약 향상(向上)하여 굴러갈진대 바로(直) 석가와 미륵(*彌勒)ㆍ문수(*文殊)와 보현(*普賢)ㆍ천성(千聖)과 만성(萬聖)ㆍ천하의 종사가 널리 다 음기탄성(飲氣呑聲)함을 얻고 만약 향하(向下)하여 굴러갈진대 혜개멸몽(醯雞蠛蠓; 초파리와 하루살이)과 준동함령(*蠢動含靈)이 낱낱이 대광명을 놓으며 낱낱이 벽립만인(*壁立萬仞)이지만 당혹(儻或; 만약) 불상불하(不上不下; 불향상 불향하)할진대 또 어떻게(作麽生) 상량(商量)하겠는가. 조문(條文)이 있으면 조문을 당기고 조문이 없으면 예문(例文)을 당길지니 시험삼아 들어보아라(擧看).
●彌勒; 과주묘법연화경1. 미륵이란 것은 여기에선 이르되 자씨(慈氏)이다. 사익경에 이르되 이에 중생이 보는 자는 곧 자심삼매(慈心三昧)를 얻는다. 고로 자씨로 이름했다. 이 보살은 현재 지족천(知足天; 도솔천) 내원(內院)에 거처한다. 당래에 감인(堪忍; 娑婆)에 출흥하여 석가의 처소를 보좌하며 호가 미륵세존이다. 화림원(華林園) 안의 용화수(龍華樹) 아래에서 정각을 이룬다. 지론34에 이르되 용화의 초회(初會)에 99억 성문(聲聞)을 제도하고 제2회에 96억 성문을 제도하고 제3회에 93억 성문을 제도한다.
●文殊; 아래 제35칙을 보라.
●普賢; 범명(梵名)은 필수발타(邲輸跋陀; 梵 Viśvabhadra) 또 삼만다발타라(三曼多跋陀羅; 梵 samantabhadra)로 지음. 혹 번역해 가로되 보현이며 혹 편길(遍吉)로 지음. 일체제불의 이덕(理德)ㆍ정덕(定德)ㆍ행덕(行德)을 주재함. 문수의 지덕(智德)ㆍ증덕(證德)과 상대됨. 곧 이지(理智)가 한 쌍이며 행증(行證)이 한 쌍이며 삼매와 반야가 한 쌍임. 고로 석가여래의 두 협사(脅士)로 삼음. 문수는 사자를 타고 불타의 좌방(左方)에 시립하고 보현은 백상을 타고 불타의 우방에 시립함은(여금에 반대로 智右理左를 설하는 것은 理智가 융통함의 뜻을 보임임. 또 胎藏界의 차제는 右蓮左金임) 이것은 이지(理智)가 상즉(相卽)하며 행증(行證)이 상응함임. 삼매와 반야가 전체인 것은 곧 비로사나 법신불임. 화엄 1경(經)에서 밝히는 바가 이 1불 2보살의 법문으로 귀납(歸納)하는지라 고로 호칭하여 화엄삼성(華嚴三聖)이라 함 [법화의소12. 탐현기2. 대일경소1].
●蠢動含靈; 준동하는 함령이니 곧 모든 중생을 가리킴.
●壁立萬仞; 벽(壁)은 아주 높고 가파른 산애(山崖)니 현애초벽(懸崖峭壁. 아득한 낭떠러지와 가파른 벽)과 같음. 벽립만인(壁立萬仞)이란 것은 선오자(禪悟者)가 자심(自心)을 환히 보아 자아(自我)를 위주(爲主)로 하여 절대(絶對)로 의의(依倚)함이 없이 진속(塵俗)을 초탈(超脫)한 기개(氣槪)와 경계(境界)를 형용(形容)함. 벽립천인(壁立千仞)과 같은 뜻.
'벽암록주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벽암록 제10칙 본칙평창 (0) | 2021.08.25 |
---|---|
벽암록 제10칙 본칙 (0) | 2021.08.25 |
벽암록 제9칙 송 평창 (0) | 2021.08.24 |
벽암록 제9칙 본칙평창 (0) | 2021.08.24 |
벽암록 제9칙 수시 본칙 (0) | 2021.08.2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