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二三○】南泉云 我*十八上 便解作活計 趙州道 我十八上 便解破家散宅
神鼎諲擧此話云 你道 破家散宅好 解作活計底好 *初心底人 且取前語 久叅*先德 直須破家散宅 更有一言 萬里崖州
●第二三○則; 碧巖錄第八十則 南泉云 我十八上 解作活計 趙州道 我十八上 解破家散宅
●十八上; 十八歲也 上 置數詞後表年齡 ▲元 王實甫 西廂記第一本第二折 五旬上因病身亡 ▲五家正宗贊(四卷 宋 紹曇記)四 芭蕉淸禪師 師諱慧淸 嗣南塔 新羅人也 師謂衆曰 十八上到仰山 見南塔
●初心; 初發心而未經深行者 ▲首楞嚴經一 復有無量辟支無學幷其初心 同來佛所
●先德; 一對已逝高僧的尊稱 二先參宿德 卽先輩之有德者
【二三○】 남천이 이르되 나는 18상(*十八上)에 바로 활계(活計)를 지을 줄 알았다. 조주가 말하되 나는 18상(上)에 바로 파가산택(破家散宅)할 줄 알았다.
신정인(神鼎諲)이 차화를 들고 이르되 너희가 말하라, 파가산택이 좋으냐 활계를 지을 줄 앎이 좋으냐. 초심(*初心)의 사람은 다만 전어(前語)를 취하고 구참(久參)의 선덕(*先德)은 바로 꼭 파가산택하라. 다시 한 말이 있나니 만리애주(萬里厓州; 萬里崖州와 같음)다.
●第二三○則; 벽암록 제81칙. 남천이 이르되 나는 18상(上)에 활계(活計)를 지을 줄 알았다. 조주가 말하되 나는 18상(上)에 파가산택(破家散宅)할 줄 알았다.
●十八上; 18세임. 상(上)은 수사(數詞) 뒤에 두어서 연령을 표시함. ▲원(元) 왕실보(王實甫)의 서상기(西廂記) 제일본(第一本) 제이절(第二折). 오순상(五旬上)에 병으로 인해 몸이 죽었다. ▲오가정종찬(四卷 宋 紹曇記) 4. 파초청선사(芭蕉淸禪師) 스님의 휘(諱)는 혜청이며 남탑(南塔)을 이었고 신라 사람이다. 스님이 대중에게 일러 가로되 18상(上)에 앙산에 이르러 남탑을 참견했다.
●初心; 처음 발심하여 깊은 행을 경험치 못한 자. ▲수릉엄경1. 다시 무량한 벽지불 무학 그리고 그 초심(初心)이 있어서 함께 불타의 처소에 왔다.
●先德; 1. 이미 서거한 고승에 대한 존칭. 2. 선참(先參)의 숙덕(宿德)이니 곧 선배의 유덕(有德)한 자.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불교신문 광고 2022년 3월 발행. 150부. 5책 1질. 총 4,842쪽, 12.5pt. 4․6배판. 하드. 양장. 정가 60만 ...
blog.naver.com
'선문염송집주(10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문염송집 권7 제232칙 (0) | 2021.10.22 |
---|---|
선문염송집 권7 제231칙 (0) | 2021.10.22 |
선문염송집 권7 제229칙 (0) | 2021.10.22 |
선문염송집 권7 제228칙 (0) | 2021.10.22 |
선문염송집 권7 제227칙 (0) | 2021.10.2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