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二四○】南泉刈茅次 僧問 南泉路向什麽處去 師拈起鎌子云 我者鎌子三十錢買 僧云 我不問鎌子 南泉路向什麽處去 師云 我者鎌子用得快
智海淸頌 王老眞機迅若風 示人方便孰能同 茆鎌擧起神鋒露 驚得泥牛過*海東
枯木成上堂擧此話云 南泉用處 比若利劒揮空 不留痕迹 這僧秪解問路 焉知*脚下泥深 *香山今日 不免爲虵畫足 重說偈言 覿面相逢問*路頭 鎌刀提起謾相酬 可怜不具金剛眼 空走雲山暗度秋
天童覺上堂擧此話云 我這鎌子用得快 當時三十文錢買 南泉門下路歧通 寄語行人着精彩 着精彩相謾殺 衲僧眼被案山碍 而今覷破露堂堂 大地撮來成一塊 大衆 若也如此 顆糝漏他不得
白雲昺拈 者僧只解問路 不知隨照失宗 南泉雖善指南 大似釘樁搖櫓
松源上堂擧此話云 南泉門前 活路子八字打開 這僧肚裏惺惺 佯聾詐啞 當時若見南泉道我使得最快 便乃轉一步云 賺我來 大小南泉 也須倒退
●第二四○則; 此話出五燈會元三
●海東; 渤海之東 今之韓國的別稱
●脚下泥深; 又作脚跟下泥深 脚跟 卽脚之後跟 於禪林常轉指本來自我 脚下泥深 指跌入煩惱之深淵 卽迷妄甚深 又作脚下太泥深
●香山; 指枯木法成自身 上已出
●路頭; 卽路 路上 路邊 頭 後綴
【二四○】 남천이 띠(茅)를 베던 차에 중이 묻되 남천로(南泉路)는 어느 곳을 향해 가야 합니까. 스님이 겸자(鎌子; 낫이니 子는 조사)를 집어 일으키고 이르되 나의 이 낫은 30전(錢)에 샀다. 중이 이르되 나는 낫을 물은 게 아닙니다. 남천로는 어느 곳을 향해 가야 합니까. 스님이 이르되 나의 이 낫은 사용하면서 쾌(快)함을 얻는다.
지해청(智海淸)이 송하되 왕로(王老)의 진기(眞機)는 빠르기가 바람과 같나니/ 사람에게 보이는 방편에 누가 능히 같겠는가/ 모겸(茆鎌; 띠를 베는 낫)을 거기(擧起)하매 신봉(神鋒)이 드러나니/ 이우(牛過)를 놀라게 해 해동(*海東)을 지난다.
고목성(枯木成)이 상당하여 차화를 들고 이르되 남천의 용처(用處)는 비유(比喩)컨대 이검(利劒)으로 허공에 휘두름과 같아서 흔적을 남기지 않는다. 이 중은 다만 길을 물을 줄만 알거늘 어찌 발 아래 진흙이 깊은(*脚下泥深) 줄 알겠는가. 향산(*香山)이 금일 위사화족(爲虵畫足)을 면하지 않고 거듭 게언(偈言)을 설하겠다. 적면(覿面: 당면)하여 상봉해 노두(*路頭)를 물으니/ 겸도(鎌刀; 낫)를 제기(提起)하여 헛되이(謾) 상수(相酬; 酬對)했다/ 가령(可怜; 可憐)하게도 금강안(金剛眼)을 갖추지 못해/ 공연히 운산(雲山)으로 달아나 몰래 가을을 지난다.
천동각(天童覺)이 상당하여 차화를 들고 이르되 나의 이 낫은 사용하매 쾌함을 얻나니/ 당시에 30문(文)의 돈으로 샀다네/ 남천문(南泉門) 아래의 길이 갈래져 통하므로/ 행인에게 말을 기탁하노니 정채(精彩)를 붙여라/ 정채를 붙여라 하여 서로 속임이 심하니/ 납승의 눈이 안산(案山; 前山)에 막힘을 입었다/ 이금(而今; 여금)에 처파(覷破)하여 당당히 드러났나니/ 대지를 움켜오매 한 덩이를 이루었다. 대중이여 만약에 이와 같다면 과삼(顆糝)만큼이라도 그것을 누설함을 얻지 못하리라.
백운병(白雲昺)이 염하되 이 중은 다만 길을 물을 줄만 알고 비춤을 따라 종을 잃는(隨照失宗) 줄 알지 못했다. 남천은 비록 잘 지남(指南)했지만 말뚝을 박고 노를 저음과 매우 흡사하다.
송원(松源)이 상당하여 차화를 들고 이르되 남천의 문 앞의 활로자(活路子; 子는 조사)가 팔자(八字)로 열렸거늘(打開) 이 중이 두리(肚裏)가 성성(惺惺)하면서도 귀가 먹은 척 벙어리인 척하였다(佯聾詐啞). 당시에 만약 남천이 말하되 내가 사용하면서 가장 쾌(快)하다 함을 보았다면 곧 이에 1보(步)를 이전(移轉)하고 이르되 나를 속입니까(賺我來) 하였더라면 대소(大小) 남천이 또한 도퇴(倒退)함을 썼으리라.
●第二四○則; 차화는 오등회원3에 나옴.
●海東; 발해(渤海)의 동쪽. 또 지금의 한국의 고시(古時)의 별칭.
●脚下泥深; 또 각근하니심(脚跟下泥深)으로 지음. 각근은 곧 발의 뒤꿈치. 선림에선 늘 전(轉)하여 본래의 자아를 가리킴. 각하니심(脚下泥深)은 번뇌의 깊은 못에 미끌어져 들어감을 가리킴. 곧 미망(迷妄)이 매우 심함. 또 각하태니심(脚下太泥深)으로 지음.
●香山; 고목법성(枯木法成) 자신을 가리킴. 위에 이미 나왔음.
●路頭; 곧 로(路)ㆍ노상ㆍ노변. 두는 후철.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불교신문 광고 2022년 3월 발행. 150부. 5책 1질. 총 4,842쪽, 12.5pt. 4․6배판. 하드. 양장. 정가 60만 ...
blog.naver.com
'선문염송집주(10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문염송집 권7 제242칙 (0) | 2021.10.24 |
---|---|
선문염송집 권7 제241칙 (0) | 2021.10.23 |
선문염송집 권7 제239칙 (0) | 2021.10.23 |
선문염송집 권7 제238칙 (0) | 2021.10.23 |
선문염송집 권7 제237칙 (0) | 2021.10.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