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문염송집주(25권)

선문염송집 권23 제1001칙

태화당 2022. 2. 22. 07:56

○○玄沙因僧問 如何是無縫塔 師云 只這一縫*大少

 

天童覺頌 只這一縫大少 飽叢林漢分曉 點頭言語丁寧 擺手舌頭*狤獠 不狤獠 人人脚下長安道

又擧此話云 見成公案 你若道據款結案 我知你未識玄沙 若有人問長蘆 秪向道四稜蹋地 且道 識玄沙 不識玄沙 具眼者辨看

 

第一○○一則; 傳燈錄十八玄沙宗一 問 如何是無縫塔 師曰 遮一縫大小

大少; 同大小 表疑問 相當于多 大

狤獠; 見上第三二則吃嘹舌頭

 

○○현사가, 중이 묻되 무엇이 이 무봉탑(無縫塔)입니까 함으로 인해 스님이 이르되 다만 이 1()은 대소(*大少)인가.

 

천동각(天童覺)이 송하되 다만 이 1()은 대소(大少)아 하니/ 포총림한(飽叢林漢)이라야 분효(分曉; 환하고 뚜렷함)한다/ 점두(點頭; 머리를 끄덕임)하는 언어가 정녕(丁寧)하고/ 파수(擺手; 손바닥을 흔들어 털다)하며 설두(舌頭)가 길료(*狤獠)하리라/ 길료가 아니니/ 사람마다 발 아래가 장안의 길이다.

 

또 차화를 들고 이르되 현성공안(見成公案)이거늘 네가 만약 거관결안(據款結案)이라고 말한다면 네가 현사를 알지 못함을 내가 안다. 만약 어떤 사람이 장로(長蘆; 天童覺)에게 묻는다면 다만 향해 말하되 사릉답지(四稜蹋地). 그래 말하라, 현사를 알았느냐 현사를 알지 못했느냐. 구안자(具眼者)는 분변해 보아라.

 

第一○○一則; 전등록18 현사종일. 묻되 무엇이 이 무봉탑(無縫塔)입니까. 스님이 가로되 1()은 대소(大小)인가.

大少; 대소(大小)와 같음. 의문을 표시함. ()ㆍ대()에 상당함.

狤獠; 위 제32칙 흘료설두(吃嘹舌頭)를 보라.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불교신문 광고 2022년 3월 발행. 150부. 5책 1질. 총 4,842쪽, 12.5pt. 4․6배판. 하드. 양장. 정가 60만 ...

blog.naver.com

 

'선문염송집주(25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문염송집 권23 제1003칙  (0) 2022.02.22
선문염송집 권23 제1002칙  (0) 2022.02.22
선문염송집 권23 제1000칙  (0) 2022.02.22
선문염송집 권23 제999칙  (0) 2022.02.22
선문염송집 권23 제998칙  (0) 2022.02.2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