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一○一四】雲門示衆云 聞聲悟道 見色明心 作麽生是聞聲悟道見色明心 擧手云 觀世音菩薩將錢來 買餬餠 放下手云 元來却是饅頭
天童覺頌 出門躍馬掃*攙搶 萬國煙塵自肅淸 *十二處亡閑影*像 三千界放淨光明
法眞一頌 見色聞聲可悟心 韶陽拈起小知音 饅頭餬餠無人買 空使傍觀笑愈深
霅溪益頌 買得欣欣急走歸 不知放手却成非 直饒超過毗盧頂 也落韶陽第二機
慈受頌 小院春風特地寒 佳人寂寞凭欄干 斷腸曲調無人聽 更把琵琶月下彈
崇勝珙頌 聞聲悟道 見色明心 饅頭餬餠 豈易追尋 病前着艾 藥後加針 誰挈無孔槌 誰彈無絃琴 南無*佛陁耶 救苦觀世音
圜悟勤頌 見色心先現 聞聲道已彰 掣電光中分皂白 海潮音裏別宮商 韶陽老慈門普 發機直用千鈞弩
雲門杲頌 見色明心事已差 聞聲悟道更*交加 觀音妙智慈悲力 荊蕀林生*優鉢花
竹庵珪頌 南無觀世音菩薩 *補陁嵓上紅蓮舌 不知成佛是何時 打刀須用*幷州鐵
悅齋居士頌 懸崖斷處騰身下 烈火堆中疊膝盤 的的若無安樂處 敢將盛暑作嚴寒
薦福逸上堂擧此話云 雲門大師 解向十字街頭萬人叢裏 塗之以灰 抹之以土 神出鬼沒 變現多身 放過卽不可 若不放過 者野狐精 不消一喝
白雲演上堂云 心隨萬境轉 轉處實能幽 雲門道 至却是饅頭 如此則隨他脚跟轉也 五祖有个隨流認得性 快樂永無憂底因緣 擧似大衆 忽然於此省去 也不定 良久喚侍者 侍者應喏 師云 *我害癡
又上堂擧此話云 雲門好則甚好 奇則甚奇 要且只說得老婆禪 若是白雲卽不然 作麽生是聞聲悟道 見色明心 遂作打杖鼓勢云 *堋八囉札 也是熟處難忘
寶峯準示衆云 大道縱橫 觸事見成 雲開日出 水綠山靑 驀拈柱杖卓一下云 雲門大師來也 說道觀音菩薩至饅頭 大衆 雲門只見錐頭利 不見鑿頭方 寶峯卽不然 乃擲下拄杖云 勿於中路事空王 策杖還須達本鄕 昨日有人從*淮南來 不得福建路信 却道 嘉州大像 呑却陝府鐵牛 喝云 是什麽說話 笑倒雲居士地
松源上堂擧此話 連擧五祖師翁上堂云 聞聲悟道 至熟處難忘 師云 *冶父有一條活路 要與諸人共行 拈拄杖云 穿入諸人鼻孔裏 燈籠露柱 直得眼睛突出 卓拄杖
又上堂擧此話云 面赤不如語直
●第一○一四則; 雲門錄中 擧 古云 聞聲悟道見色明心 師云 作麼生是聞聲悟道見色明心 乃云 觀世音菩薩將錢來 買餬餅 放下手云 元來秖是饅頭
●攙搶; 祖庭事苑六 攙搶 天文志云 攙搶 棓彗 其殃一也 爲有破國亂軍 伏死其辜 餘殃不盡 爲旱 凶 飢 暴 疾 又漢書音義曰 妖星曰孛星 彗星 長星 亦曰攙搶 絶跡而去曰飛星 光跡相連曰流星
●十二處; 見上第九三則十二處 ▲從容錄第八十二則 十二處 猶六根六塵也
●像; 宏智錄二作響
●佛陁耶; <梵> buddha 此云覺者
●交加; 錯雜 交錯
●優鉢花; 優鉢羅華 祖庭事苑八 優鉢羅 此云黛華 又曰靑蓮花 此華葉似梨 而果大如拳 其味甘 無華而結子 亦有華而難値 故經中以喩希有者也
●補陁; 同補陀 補陀洛山也 見上第三○二則寶陁山
●幷州; 今四川省太原
●我害癡; 拈頌說話曰 我害癡者 我所害者癡者也
●堋八囉札; 拈頌說話曰 堋八囉扎者 疑是鼓聲也
●淮南; 謂淮水以南揚子江以北地域 特指安徽省中部
●冶父; 指松源崇嶽自身 曾住冶父
【一○一四】 운문이 시중하여 이르되 소리를 듣다가 도를 깨닫고(聞聲悟道) 색을 보다가 마음임을 밝힌다(見色明心) 했다. 무엇이 이 소리를 듣다가 도를 깨닫고 색을 보다가 마음임을 밝임인가. 손을 들고 이르되 관세음보살이 돈을 가져와서 호병(餬餠)을 사는데, 손을 내리고 이르되 원래 도리어 이는 만두(饅頭)였다.
천동각(天童覺)이 송하되 문을 나서서 말을 달리며 참창(*攙搶)을 소탕(掃蕩)하니/ 만국(萬國)의 연진(煙塵)이 저절로 숙청(肅淸)되었다/ 12처(*十二處)가 망하니 한가한 영상(影*像)이며/ 삼천계(三千界)가 맑은 광명을 방출한다.
법진일(法眞一)이 송하되 견색문성(見色聞聲)하다가 가히 마음을 깨닫는다 하니/ 소양(韶陽; 운문)의 염기(拈起)에 지음(知音)이 적다/ 만두(饅頭)와 호병(餬餠)을 사는 사람이 없나니/ 공연히 방관(傍觀)으로 하여금 웃음을 더욱 깊게 하네.
삽계익(霅溪益)이 송하되 매득(買得; 사다)하여 흔흔(欣欣; 매우 기쁨)하며 급히 달리 돌아갔으나/ 손을 놓을 줄 알지 못해 도리어 그름(非)을 이루었다/ 직요(直饒) 비로정(毗盧頂)을 초과하더라도/ 또한 소양(韶陽)의 제2기에 떨어진다.
자수(慈受)가 송하되 소원(小院)에 춘풍이 특지(特地; 특별히) 찬데/ 가인(佳人)이 적막하여 난간에 기대었다/ 단장의 곡조를 듣는 사람이 없어/ 다시 비파를 잡고 달 아래 퉁기는구나.
숭승공(崇勝珙)이 송하되 소리를 듣다가 도를 깨치고/ 색을 보다가 마음임을 본다/ 만두와 호병을/ 어찌 쉽게 추심(追尋)하리오/ 병전(病前)엔 쑥(艾)을 붙이고/ 약후(藥後)엔 침을 가한다/ 누가 무공추(無孔槌)를 손에 들며(挈)/ 누가 무현금(無絃琴)을 퉁기는가/ 나무 불타야(*佛陁耶)/ 구고(救苦) 관세음.
원오근(圜悟勤)이 송하되 색을 보면 마음이 먼저 나타나고/ 소리를 들으면 도가 이미 드러난다/ 체전광(掣電光; 번쩍하는 번갯빛) 가운데서 조백(皂白; 흑백)을 나누고/ 해조음(海潮音) 속에서 궁상(宮商)을 분별한다/ 소양로(韶陽老)의 자문(慈門)이 넓나니(普)/ 발기(發機)하매 바로 천균(千鈞)의 쇠뇌를 쓴다.
운문고(雲門杲)가 송하되 견색명심(見色明心)하면 일이 이미 어긋났고/ 문성오도(聞聲悟道)하면 다시 교가(*交加)다/ 관음(觀音)의 묘지(妙智)와 자비력(慈悲力)으로/ 형극림(荊蕀林)에서 우발화(*優鉢花)가 피었다.
죽암규(竹庵珪)가 송하되 나무관세음보살/ 보타암(*補陁嵓) 위의 홍련설(紅蓮舌)이다/ 성불이 이 어느 때인지 알지 못하지만/ 칼을 만들려면 꼭 병주(*幷州)의 쇠를 써야 한다.
열재거사(悅齋居士)가 송하되 현애(懸崖; 낭떠러지)의 단처(斷處)에서 몸을 솟구쳤다가 떨어지고/ 열화(烈火)의 무더기 속에서 무릎을 포개고 쭈그려 앉아라/ 적적(的的; 매우 분명함)히 만약 안락처(安樂處)가 없다면/ 감히 성서(盛暑)를 가지고 엄한(嚴寒)을 지어라.
천복일(薦福逸)이 상당하여 차화를 들고 이르되 운문대사가 십자가두 만인(萬人)의 무리 속을 향해 재로써 칠하고 흙으로써 바른 줄 알았으니 신출귀몰(神出鬼沒)하고 다신(多身)을 변화해 나타내었지만 방과(放過; 放棄)하면 곧 옳지 못하다. 만약 방과하지 않는다면 이 야호정(野狐精)을 1할(喝)도 쓰지 않는다.
백운연(白雲演)이 상당하여 이르되 마음이 만경(萬境) 따라 구르나니 구르는 곳이 실로 능히 그윽하다. 운문이 말하되 至도리어 이 만두다. 이와 같다면 곧 저 각근(脚跟)을 따라 도는 것이다. 오조(五祖; 法演)가 저(个) 흐름 따라 성(性)을 인득(認得)하고 쾌락하여 길이 근심이 없는 인연이 있어 대중에게 거사(擧似)하겠다. 홀연히 이에서 성찰할지는 또한 부정(不定)이다. 양구(良久)에 시자를 불렀다. 시자가 응낙했다. 스님이 이르되 나는 어리석음을 해(害)한다(*我害癡).
또 상당하여 차화를 들고 이르되 운문이 좋기는 곧 매우 좋고 기특하기는 곧 매우 기특하지만 요차(要且; 종내. 도리어) 다만 노파선을 설해 얻었다. 만약 이 백운이라면 곧 그렇지 않으리라. 무엇이 이 소리를 듣다가 도를 깨치고 색을 보다가 마음임을 밝힘인가 한다면, 드디어 북을 치는 형세를 짓고 이르되 붕팔라찰(*堋八囉札). 또 이는 익힌 곳을 잊기 어렵다.
보봉준(寶峯準)이 시중하여 이르되 대도는 종횡(縱橫)이며 촉사(觸事)하여 현성(見成)했다. 구름이 개이자 해가 나오고 수록산청(水綠山靑)이다. 갑자기 주장자를 잡아 한 번 치고 이르되 운문대사가 왔다. 설해 말하되 관음보살 至만두(饅頭). 대중이여, 운문은 다만 송곳(錐頭)의 예리함만 보고 끌(鑿頭)의 모남을 보지 못했다. 보봉(寶峯)은 곧 그렇지 않다. 이에 주장자를 척하(擲下)하고 이르되 중로에서 공왕(空王)을 섬기지 말고 책장(策杖; 주장자에 기댐)하여 도리어 꼭 본향(本鄕)에 도달하라. 어제 아떤 사람이 회남(*淮南)으로부터 왔는데 복건로(福建路)의 소식(信)을 얻지 못하였다. 도리어 말하되 가주대상(嘉州大像)이 섬부철우(陝府鐵牛)를 삼켜버렸다. 할(喝)하고 이르되 이 무슨 설화(說話)인가, 운거(雲居)의 토지(士地; 토지신)를 웃겨 넘어뜨렸다.
송원(松源)이 상당하여 차화를 들고 이어서 들되 오조사옹(五祖師翁)이 상당하여 이르되 소리를 듣다가 도를 깨닫고 至익힌 곳은 잊기 어렵다. 스님이 이르되 야보(*冶父)가 한 가닥의 활로(活路)가 있어 제인과 더불어 공행(共行)하려고 한다. 주장자를 잡고 이르되 제인의 콧구멍 속을 천입(穿入)하매 등롱과 노주가 바로 눈동자가 돌출함을 얻었다. 주장자로 쳤다.
또 상당하여 차화를 들고 이르되 얼굴 붉힘이 말 정직함만 같지 못하다.
●第一○一四則; 운문록중. 거(擧)하다. 고인이 이르되 소리를 듣다가 도를 깨닫고 색을 보다가 마음임을 밝힌다 했다. 스님이 이르되 무엇이 이 소리를 듣다가 도를 깨닫고 색을 보다가 마음임을 밝임인가. 이에 이르되 관세음보살이 돈을 가져와서 호병(餬餅)을 사는데, 손을 내리고 이르되 원래 단지 이는 만두였다.
●攙搶; 조정사원6. 참창(攙搶) 천문지(天文志; 한서26)에 이르되 참창(攙搶)과 부혜(棓彗; 棓는 별 이름)는 그 재앙이 하나다. 나라가 깨어지고 군(軍)이 어지러움이 있으며 그 재난(災難; 辜)에 복사(伏死; 엎드려 죽음)하고 여앙(餘殃)이 다하지 않아 한흉기폭질(旱凶飢暴疾; 가뭄ㆍ흉년ㆍ기근ㆍ폭풍ㆍ질병)이 된다. 또 한서음의(漢書音義)에 가로되 요성(妖星)을 가로되 패성(孛星; 孛는 彗星)ㆍ혜성(彗星)ㆍ장성(長星)이며 또한 가로되 참창(攙搶)이다. 자취를 끊고 감을 가로되 비성(飛星)이며 광적(光跡)이 서로 이음을 가로되 유성(流星)이다.
●十二處; 위 제93칙 십이처(十二處)를 보라. ▲종용록 제82칙. 십이처(十二處) 6근(根)ㆍ6진(塵)과 같다.
●像; 굉지록2에 향(響)으로 지었음.
●佛陁耶; <범> buddha. 여기에선 이르되 각자(覺者).
●交加; 착잡(錯雜; 갈피를 잡을 수 없이 뒤섞여 어수선함). 교착(交錯).
●優鉢花; 우발라화(優鉢羅華)임. 조정사원8. 우발라(優鉢羅) 여기에선 이르되 대화(黛華; 黛는 새파랄 대. 눈썹 그릴 대)며 또 가로되 청련화임. 이 꽃의 잎은 배나무와 같고 열매는 크기가 주먹과 같고 그 맛은 달고 꽃이 없이 열매(子)를 맺음. 또한 꽃이 있음을 만나기 어려우므로 고로 경중에 희유한 것에 비유함.
●補陁; 보타(補陀)와 같음. 보타락산(補陀洛山)이니 위 제302칙 보타산(寶陁山)을 보라.
●幷州; 지금의 사천성 태원(太原).
●我害癡; 염송설화에 가로되 아해치(我害癡)란 것은 내가 소해(所害)하는 것은 치자(癡者)다.
●堋八囉札; 염송설화에 가르되 붕팔라찰(堋八囉扎)이란 것은 이 북소리인가 의심된다.
●淮南; 이르자면 회수(淮水) 이남, 양자강 이북 지역. 특히 안휘성 중부를 가리킴.
●冶父; 송원숭악(松源崇嶽) 자신을 가리킴. 일찍이 야보(冶父)에 주(住)했음.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 네이버 블로그 (naver.com)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불교신문 광고 2022년 3월 발행. 150부. 5책 1질. 총 4,842쪽, 12.5pt. 4․6배판. 하드. 양장. 정가 60만 ...
blog.naver.com
'선문염송집주(25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문염송집 권23 제1016칙(한문) (0) | 2022.02.25 |
---|---|
선문염송집 권23 제1015칙 (0) | 2022.02.24 |
선문염송집 권23 제1013칙 (0) | 2022.02.24 |
선문염송집 권23 제1012칙 (0) | 2022.02.23 |
선문염송집 권23 제1011칙 (0) | 2022.02.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