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문염송집주(30권)

선문염송집 권30 제1420칙

태화당 2022. 4. 11. 08:31

一四二○】*圜悟*克勤和尙 因僧問 如何是佛 師云 口是禍門

 

雲門杲頌 口是禍門 雷激雷奔 *娑竭出海 震動乾坤

竹庵珪頌 的的當陽句 明明箭後路 着靴人喫肉 赤脚人趂兔

 

第一四二; 此話出禪林類聚二

圜悟; 又作圓悟 克勤禪師號

克勤; (1063-1135) 又作克懃 宋代楊岐派僧 四川崇寧人 俗姓駱 字無著 幼於妙寂院依自省出家 受具足戒後 於成都依圓明學習經論 後至五祖山參法演 蒙其印證 與佛鑑慧懃 佛眼淸遠齊名 世有演門二勤一遠之稱 被譽爲叢林三傑 崇寧(1102-1106)中 於成都昭覺寺開法 政和初年(1111)至荊州 當世名士張無盡禮謁之 與之談論華嚴要旨及禪門宗趣 復受澧州刺史之請 住夾山靈泉禪院 復徙道林 時因樞密鄧子常之奏請 敕賜紫服及佛果禪師之號 政和中 奉詔移住金陵蔣山 次住天寧萬壽 大振宗風 後居於金山 高宗幸揚州時 詔其入對 賜號圜悟 世稱圜悟克勤 後歸成都昭覺寺 紹興五年示寂 壽七十三 諡號眞覺禪師 弟子有大慧宗杲 虎丘紹隆等禪門龍象 曾於夾山之碧巖 集雪竇重顯之頌古百則 編成碧巖錄十卷 世稱禪門第一書 此外有圜悟佛果禪師語錄二十卷 [大慧普覺禪師年譜 僧寶正續傳四 嘉泰普燈錄十一 佛祖歷代通載三十 釋氏稽古略四]

娑竭; 見上第一三七一則沙竭

 

一四二○】 원오(*圜悟) 극근화상(*克勤和尙), 중이 묻되 무엇이 이 부처입니까 함으로 인해 스님이 이르되 입이 이 화문(口是禍門)이다.

 

운문고(雲門杲)가 송하되 입이 이 화문이라 하니/ 우레가 치고 우레가 달린다(雷激雷奔)/ 사갈(*娑竭; 娑竭羅龍)이 출해(出海)하니/ 건곤을 진동한다.

 

죽암규(竹庵珪)가 송하되 적적(的的; 분명)한 당양구(當陽句)/ 명명(明明)한 전후로(箭後路)/ 신발 신은 사람은 고기를 먹고/ 맨발의 사람은 토끼를 쫓는다.

 

第一四二; 차화는 선림유취2에 나옴.

圜悟; 또 원오()로 지음. 극근선사의 호.

克勤; (1063-1135) 또 극근(克懃)으로 지음. 송대 양기파승. 사천 숭녕(崇寧) 사람이며 속성은 낙이며 자는 무착. 어릴 적에 묘적원에서 자성에게 의지해 출가했고 구족계를 받은 후에 성도(成都)에서 원명에게 의지해 경론을 학습했음. 후에 오조산에 이르러 법연(法演)을 참알해 그의 인증을 받았음. 불감혜근(佛鑑慧懃)ㆍ불안청원(佛眼淸遠)과 더불어 이름이 가지런해 세상에 연문(演門; 法演門下)의 이근일원(二勤一遠)의 칭호가 있으며 총림의 삼걸(三傑)이란 명예를 입었음. 숭녕(1102-1106) 중 성도 소각사(昭覺寺)에서 개법했음. 정화 초년(1111) 형주에 이르러 당세(當世)의 명사(名士)인 장무진(張無盡)을 예알해 그와 더불어 화엄의 요지(要旨) 및 선문의 종취(宗趣)를 담론했음. 다시 예주자사의 청을 받아 협산의 영천선원(靈泉禪院)에 주지하다가 다시 도림으로 이사했음. 때에 추밀(樞密) 등자상의 주청(奏請)으로 인해 자복(紫服)과 및 불과선사(佛果禪師)란 호를 칙령으로 주었음. 정화(1111-1 117) 중에 조칙(詔勅)을 받들어 금릉의 장산(蔣山)으로 이주했고 다음에 천녕의 만수(萬壽)에 거주하면서 종풍을 크게 진작(振作)했음. 후에 금산에 거주했는데 고종이 양주에 거둥했을 때 그를 불러 입대(入對; 궁에 들어가 마주함)했으며 원오(圜悟)란 호를 주었으니 세칭이 원오극근(圜悟克勤). 후에 성도 소각사로 돌아갔으며 소흥 5년에 시적했으니 나이는 73이며 시호는 진각선사(眞覺禪師). 제자에 대혜종고ㆍ호구소륭 등의 선문의 용상(龍象)이 있음. 일찍이 협산의 벽암(碧巖)에서 설두중현의 송고(頌古) 100칙을 모아 벽암록 10권을 편성했는데 세칭이 선문제일서(禪門第一書). 이 밖에 원오불과선사어록 20권이 있음 [대혜보각선사년보. 승보정속전4. 가태보등록11. 불조역대통재30. 석씨계고략4].

娑竭; 위 제1371칙 사갈(沙竭)을 보라.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daum.net)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2022년 3월 발행. 150부. 5책 1질. 총 4,842쪽, 12.5pt. 4․6배판. 하드. 양장. 정가 60만 원. 한문주석 1만 여 개로 염송본문의 各則을 해석하고 전체를 한글로 번역. 주석의 쪽 수가 본문을 조금 초

blog.daum.net

 

'선문염송집주(30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문염송집 권30 제1422칙  (0) 2022.04.11
선문염송집 권30 제1421칙  (0) 2022.04.11
선문염송집 권30 제1419칙  (0) 2022.04.11
선문염송집 권30 제1418칙  (0) 2022.04.11
선문염송집 권30 제1417칙  (0) 2022.04.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