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문무고

종문무고(宗門武庫) 101

태화당 2022. 8. 30. 09:46

101師因讀*洞山悟道頌 遂疑云 有箇* 又有箇我 成什麽禪 遂請益湛堂 堂云 爾更擧看 師遂擧 堂云 爾擧也未會 便推出

 

洞山悟道頌; 洞山良价語錄 切忌從他覓 迢迢與我疏 我今獨自往 處處得逢渠 渠今正是我 我今不是渠 應須恁麽會 方得契如如 洞山; 良价(807-869) 曹洞宗之祖 唐代越州會稽(浙江會稽)人 俗姓兪 幼從師誦般若心經 以無眼耳鼻舌身意之義問其師 其師駭然 卽指往五洩山禮靈默禪師披剃 年二十一 詣嵩山受具足戒 尋謁南泉普願 深領其旨 又訪潙山靈祐 參無情說法之公案 不契 受指示詣雲巖曇晟 問無情說法之義 辭歸時 涉水睹影 大悟前旨 後嗣雲巖之法 於江西洞山弘揚佛法 倡五位君臣說 門風頗振 咸通十年 命剃髮披衣 鳴鐘辭衆 大衆號慟不止 師忽開目謂曰 夫出家之人 心不附物 是眞修行 勞生息死 於悲何有 衆猶戀慕不已 乃延七日 至第八日浴訖 於丈室端坐長往 壽六十三 臘四十二 敕諡悟本禪師 著有寶鏡三昧歌 玄中銘 洞山語錄等 [洞山良价禪師語錄 宋高僧傳十二 傳燈錄十五 禪學思想史上]

; 一他 第三人稱代詞 二指本來面目 眞如法身

 

101스님(대혜)이 동산오도송(*洞山悟道頌)을 잃고 드디어 의심해 이르되 이() (*)가 있고 또 이() ()가 있거늘 무슨 선()을 이루겠는가. 드디어 담당(湛堂; 文準)에게 청익했다. 담당이 이르되 네가 다시 들어보아라(擧看). 스님이 드디어 들었다(). 담당이 이르되 너는 들() 줄도 알지 못하는구나, 곧 밀어내었다(推出).

 

洞山悟道頌; 동산양개어록. 그를 좇아 찾음을 간절히 꺼리나니/ 자꾸 멀어져 나와 소원하다/ 나는 이제 홀로 스스로 가노니/ 곳곳마다 거()를 만남을 얻는다/ ()는 이제 바로 이 나()지만/ 나는 이제 이 거()가 아니다/ 응당 모름지기 이렇게 알아야/ 비로소 여여에 계합함을 얻는다. 洞山; 양개(良价; 807-869)니 조동종의 개조(開祖). 당대 월주 회계(절강 회계) 사람이며 속성은 유(). 어릴 적에 스승을 좇아 반야심경을 외우다가 눈ㆍ귀ㆍ코ㆍ혀ㆍ몸ㆍ뜻이 없다는 뜻으로써 그 스승에게 묻자 그 스승이 놀라서 곧 오설산(五洩山)에 가서 영묵선사(靈默禪師)를 예알(禮謁)하고 피체(披剃)하라고 지시했음. 나이 21에 숭산(嵩山)에 나아가 구족계를 받았으며 이윽고 남천보원(南泉普願)을 참알(參謁)해 깊이 그 지취를 깨쳤음. 또 위산영우(潙山靈祐)를 방문해 무정설법(無情說法)의 공안을 참구했으나 계합치 못했고 운암담성(雲巖曇晟)에게 가라는 지시를 받았으며 무정설법의 뜻을 물었음. 고별(告別; )하고 돌아갈 때 물을 건너면서 그림자를 보다가 앞의 지취를 대오했으며 후에 운암(雲巖)의 법을 이었음. 강서(江西)의 동산(洞山)에서 불법을 홍양(弘揚)했으며 오위군신(五位君臣)의 설을 선양하여() 문풍(門風)을 자못 진작(振作)했음. 함통 10(869) 명해 머리를 깎고 옷을 입고 종을 울리고 대중을 고별했음. 대중이 울고 통곡하며 그치지 않았는데 스님이 홀연히 눈을 뜨고 일러 가로되 무릇 출가한 사람은 마음이 사물에 붙지 않아야 이것이 참 수행이다. 살면서 노고하다가 죽어서 쉬거늘 슬픔이 어디에 있는가. 대중이 오히려 연모해 말지 않자 이에 7일을 연장하더니 8일째에 이르러 목욕해 마치고 장실(丈室)에서 단정히 앉아 장왕(長往)했음. 세수는 63이며 법랍은 42. 칙시(敕諡)가 오본선사(悟本禪師). 저서에 보경삼매가(寶鏡三昧歌)ㆍ현중명(玄中銘)ㆍ동산어록 등이 있음 [동산양개선사어록. 송고승전12. 전등록15. 선학사상사상].

; 1. ()니 제3인칭대사. 2. 본래면목ㆍ진여법신을 가리킴.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tistory.com)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2022년 3월 발행. 150부. 5책 1질. 총 4,842쪽, 12.5pt. 4․6배판. 하드. 양장. 정가 60만 원. 한문주석 1만 여 개로 염송본문의 各則을 해석하고 전체를 한글로 번역. 주석의 쪽 수가 본문을 조금 초

pyungsimsa.tistory.com

 

'종문무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종문무고(宗門武庫) 103  (0) 2022.08.31
종문무고(宗門武庫) 102  (0) 2022.08.30
종문무고(宗門武庫) 100  (0) 2022.08.30
종문무고(宗門武庫) 099  (0) 2022.08.29
종문무고(宗門武庫) 098  (0) 2022.08.2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