廣州志道禪師者南海人也 初參六祖曰 學人自出家 覽涅槃經僅十餘載 未明大意 願和尙垂誨 祖曰 汝何處未了 對曰 諸行無常 是生滅法 生滅滅已 寂滅爲樂 於此疑惑 祖曰 汝作麽生疑 對曰 一切衆生皆有二身 謂色身法身也 色身無常有生有滅 法身有常無知無覺 經云 生滅滅已寂滅爲樂者 未審是何身寂滅何身受樂 若色身者 色身滅時 四大分散全是苦 苦不可言樂 若法身寂滅 卽同草木瓦石 誰當受樂 又法性是生滅之體 五蘊是生滅之用 一體五用生滅是常 生則從體起用 滅則攝用歸體 若聽更生 卽有情之類不斷不滅 若不聽更生 卽永歸寂滅 同於無情之物 如是則一切諸法 被涅槃之所禁伏 尙不得生何樂之有 祖曰 汝是釋子何習外道斷常邪見 而議最上乘法 據汝所解 卽色身外別有法身 離生滅求於寂滅 又推涅槃常樂 言有身受者 斯乃執吝生死耽著世樂 汝今當知 佛爲一切迷人認五蘊和合爲自體相 分別一切法爲外塵相 好生惡死念念遷流 不知夢幻虛假 枉受輪迴 以常樂涅槃翻爲苦相終日馳求 佛愍此故乃示涅槃眞樂 刹那無有生相 刹那無有滅相 更無生滅可滅 是則寂滅見前 當見前之時亦無見前之量乃謂常樂 此樂無有受者亦無不受者 豈有一體五用之名 何況更言涅槃禁伏諸法令永不生 斯乃謗佛毀法 聽吾偈曰 無上大涅槃 圓明常寂照 凡愚謂之死 外道執爲斷 諸求二乘人 目以爲無作 盡屬情所計 六十二見本 妄立虛假名 何爲眞實義 唯有過量人 通達無取捨 以知五蘊法 及以蘊中我 外現衆色象 一一音聲相 平等如夢幻 不起凡聖見 不作涅槃解 二邊三際斷 常應諸根用 而不起用想 分別一切法 不起分別想 劫火燒海底 風鼓山相擊 眞常寂滅樂 涅槃相如是 吾今彊言說 令汝捨邪見 汝勿隨言解 許汝知少分 師聞偈踊躍作禮而退
●廣州; 廣東省西江流域 梁武帝時達磨大師初來上陸地 天寶(742-756)初名南海郡 乾元(758-760)初稱廣州
●斷常; 斷見與常見 外道所計 不出斷常二見 或執爲有 卽是常見 或執爲無 卽是斷見 於有見中及計一異 遂有四句 一執有法與有等性其體定一 二執有法與有等性其體定異 三執有法與有等性亦一亦異 四執有法與有等性非一非異 見成唯識論一
●六十二見; 指古代印度外道所執之六十二種錯誤見解 此有數種異說
●過量人; 指超越思量分別 不落途程 不歷階位的禪悟者
●三際; 指前際(過去) 今際(現在) 後際(未來)
●劫火; 又作劫盡火 劫燒 壞劫時所起之火災 於佛敎之世界觀中 謂世界之成立分爲成住壞空四劫 於壞劫之末必起火災水災風災 火災之時 天上出現七日輪 初禪天以下全爲劫火所燒 [長阿含二十一世記經三災品 中阿含二七日經 法華經五如來壽量品 俱舍論十二]
광주(廣州) 지도선사(志道禪師)란 자는 남해(南海) 사람이다. 처음 6조를 참알하여 가로되 학인은 출가함으로부터 열반경을 열람하기 거의 10여 재(載)이지만 대의(大意)를 밝히지 못했으니 화상의 수회(垂誨)를 원합니다. 조왈(祖曰) 너는 어느 곳에서 밝히지 못했느냐. 대왈(對曰) 제행(諸行)은 무상(無常)하며/ 이 생멸법(生滅法)이니/ 생멸이 멸한 다음/ 적멸(寂滅)이 낙이 된다. 여기에서 의혹합니다. 조왈 네가 어떻게(作麽生) 의혹하느냐. 대왈(對曰) 일체중생은 모두 2신(身)이 있으니 이르자면 색신(色身)과 법신(法身)입니다. 색신은 무상(無常)하여 유생유멸(有生有滅)하고 법신(法身)은 유상(有常)하여 무지무각(無知無覺)합니다. 경운(經云) 생멸이 멸한 다음 적멸이 낙이 된다는 것은 미심(未審)하오니 이 어떤 신(身)이 적멸이며 어떤 신이 낙을 받습니까. 만약 색신이라 할진대 색신은 멸할 때 4대(四大)가 분산(分散)하여 전연(全然)히 이 고(苦)며 고를 가히 낙(樂)이라고 말하지 못할 것입니다. 만약 법신이 적멸이라 한다면 곧 초목와석(草木瓦石)과 같거늘 무엇이(誰) 마땅히 낙을 받습니까. 또 법성(法性)은 이 생멸의 체(體)며 5온(蘊)은 이 생멸의 용(用)이니 1체(體)에 5용(用)하면서 생멸이 이 상(常)입니다. 생(生)은 곧 체(體)로 좇아 용(用)을 일으키고 멸(滅)은 곧 용을 거두어 체로 돌아갑니다. 만약 갱생(更生)을 청허(聽許; 聽)한다면 곧 유정지류(有情之類)가 부단불멸(不斷不滅)할 것이며 만약 갱생을 청허하지 않는다면 곧 영원히 적멸로 돌아가 무정지물(無情之物)과 같을 것입니다. 이와 같다면 곧 일체제법(一切諸法)이 열반의 금복(禁伏; 禁止하고 伏斷)하는 바를 입어 오히려 생(生)을 얻지 못하거늘 무슨 낙(樂)이 있겠습니까. 조왈 너는 이 석자(釋子)이면서 왜 외도(外道)의 단상(斷常)의 사견(邪見)을 익혀 최상승법(最上乘法)을 의논하느냐. 너의 이해하는 바에 의거하자면 곧 색신 밖에 따로 법신이 있으며 생멸을 여의고 적멸을 구한다. 또 열반의 상락(常樂)을 추구(推究)하여 말하되 수용(受用)할 몸이 있다 하거니와 이는 곧 생사를 집린(執悋; 집착해 아끼다)하고 세락(世樂)에 탐착(耽著)함이다. 너는 이제 당지(當知)하라. 불타가 일체 미인(迷人)이 5온(蘊)의 화합을 인정하여 자체상(自體相)으로 삼고 일체법을 분별하여 외진상(外塵相)으로 삼고 호생오사(好生惡死)하면서 염념(念念)이 천류(遷流)하면서 몽환(夢幻)이며 허가(虛假)임을 알지 못하고 헛되이 윤회(輪迴)를 받고 상락(常樂)의 열반을 도리어 고상(苦相)으로 삼고 종일(終日) 치구(馳求)하기 때문에(爲) 불타가 이를 불쌍히 여긴 연고로 이에 열반의 진락(眞樂)을 보였다. 찰나(刹那)에도 생상(生相)이 있지 않고 찰나에도 멸상(滅相)이 있지 않고 다시 가히 멸할 생멸이 없나니 이것이 곧 적멸이 현전(見前)함이다. 현전함을 당한 때 또한 현전한다는 사량(思量)이 없나니 이에 상락(常樂)이라고 이른다. 이 낙은 수자(受者)가 있지 않고 또한 불수자(不受者)도 없거늘 어찌 1체5용(一體五用)의 이름이 있겠는가. 어찌 하물며 다시 말하되 열반이 제법을 금복(禁伏)하여 영원히 나지 않게 한다 하느냐. 이는 곧 방불훼법(謗佛毀法)이다. 나의 게를 들어라 가로되 위없는 대열반이/ 원명(圓明)하여 늘 적조(寂照)하거늘/ 범우(凡愚)는 이를 일러 사(死)라 하고/ 외도는 집착하여 단(斷; 斷滅)이라 한다/ 모든 2승(乘)을 구하는 사람은/ 명목(名目)해 무작이라 하나니(爲無作; 저본에 無爲作으로 지었음)/ 모두 정(情)의 소계(所計; 計謀하는 바)에 속하고/ 6십2견(六十二見)의 근본이다/ 허망하게 허가(虛假)의 이름을 세우니/ 어찌 진실한 뜻이라 하겠는가/ 오직 과량인(過量人)이 있어/ 통달하여 취사(取捨)가 없다/ 5온법(蘊法)과/ 및 온중(蘊中)의 아(我)를 알므로써/ 밖으로 뭇 색상(色象)과/ 하나하나의 음성상(音聲相)을 나타낸다/ 평등히 몽환(夢幻)과 같아서/ 범성(凡聖)이란 견해를 일으키지 않고/ 열반이란 이해를 짓지 않나니/ 2변(邊)과 3제(三際)가 끊긴다/ 늘 제근(諸根)에 응해 쓰되(用)/ 용(用)이란 상념(想念)을 일으키지 않고/ 일체법을 분별하되/ 분별하는 상념(想念)을 일으키지 않는다/ 겁화(劫火)가 해저를 태우고/ 바람이 두드려 산이 서로 부딪치나니/ 진상(眞常)의 적멸락이여/ 열반상(涅槃相)이 이와 같다/ 내가 이제 강경(强硬; 彊)한 언설로/ 너로 하여금 사견(邪見)을 버리게 했으니/ 네가 말을 따라 이해를 내지 않으면/ 너에게 소분(少分) 안다고 허락하겠다. 스님이 게를 듣고 용약(踊躍)하며 작례(作禮)하고 물러났다.
●廣州; 광동성 서강 유역이니 양무제 시 달마대사가 처음 와서 상륙한 땅임. 천보(742-756) 초에 명칭이 남해군이었고 건원(758-760) 초에 광주로 일컬었음.
●斷常; 단견과 상견이니 외도가 헤아리는 바는 단ㆍ상 2견을 벗어나지 못함. 혹은 집착해 유(有)로 삼음은 곧 이 상견이며 혹 집착해 무(無)로 삼으면 곧 이 단견임. 유견(有見) 중에 일이(一異)를 헤아림에 이르는지라 드디어 4구가 있음. 1은 유법(有法)과 유(有) 등의 자성이 그 체가 꼭 일(一)이라고 집착함이며 2는 유법과 유 등의 자성이 그 체가 꼭 이(異)라고 집착함이며 3은 유법과 유 등의 자성이 역일역이(亦一亦異)라고 집착함이며 4는 유법과 유 등의 자성이 비일비이(非一非異)라고 집착함. 성유식론1을 보라.
●六十二見; 고대 인도의 외도들이 집착한 바의 62종의 착오의 견해를 가리킴. 여기에 몇 가지 이설이 있음.
●過量人; 사량과 분별을 초월하고 도정(途程)에 떨어지지 않고 계위(階位)를 겪지 않는 선오자(禪悟者)를 가리킴.
●三際; 전제(과거)ㆍ금제(현재)ㆍ후제(미래)를 가리킴.
●劫火; 또 겁진화(劫盡火)ㆍ겁소(劫燒)로 지음. 괴겁(壞劫) 시에 일어나는 바의 화재. 불교의 세계관 중에선 이르자면 세계의 성립을 성주괴공의 4겁으로 분리하며 괴겁의 말에 반드시 화재ㆍ수재ㆍ풍재를 일으킴. 화재의 때에 천상에서 7일륜이 출현하여 초선천 이하는 전부 겁화에 타는 바가 됨 [장아함21세기경삼재품. 중아함2칠일경. 법화경5여래수량품. 구사론12].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tistory.com)
'전등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등록 권5 행사선사(行思禪師) 01 (0) | 2023.02.15 |
---|---|
전등록 권5 인종화상(印宗和尙) (0) | 2023.02.15 |
전등록 권5 지상선사(智常禪師) (0) | 2023.02.14 |
전등록 권5 지철선사(志徹禪師) (0) | 2023.02.14 |
전등록 권5 지통선사(智通禪師) 02 (0) | 2023.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