信州智常禪師者本州貴谿人也 髫年出家志求見性 一日參六祖 祖問 汝從何來欲求何事 師曰 學人近往洪州建昌縣白峯山 禮大通和尙 蒙示見性成佛之義 未決狐疑 至吉州遇人指迷令投謁和尙 伏願垂慈攝受 祖曰 彼有何言句 汝試擧似於吾 與汝證明 師曰 初到彼三月未蒙開示 以爲法切故 於中夜獨入方丈禮拜哀請 大通乃曰 汝見虛空否 對曰見 彼曰 汝見虛空有相貌否 對曰 虛空無形有何相貌 彼曰 汝之本性猶如虛空 返觀自性了無一物可見 是名正見 無一物可知 是名眞知 無有靑黃長短 但見本源淸淨覺體圓明 卽名見性成佛 亦名極樂世界 亦名如來知見 學人雖聞此說猶未決了 乞和尙誨示令無凝滯 祖曰 彼師所說猶存見知 故令汝未了 吾今示汝一偈曰 不見一法存無見 大似浮雲遮日面 不知一法守空知 還如太虛生閃電 此之知見瞥然興 錯認何曾解方便 汝當一念自知非 自己靈光常顯見 師聞偈已心意豁然 乃述一偈曰 無端起知解 著相求菩提 情存一念悟 寧越昔時迷 自性覺源體 隨照枉遷流 不入祖師室 茫然趣兩頭
●信州; 今江西上饒市 廣輿記十二江西廣信府曰 唐宋曰信州
●擧似; 擧示 擧說言句告訴某人 似 相當于與 向
●極樂世界; 卽指阿彌陀佛之淨土 又稱極樂淨土 極樂國土 西方淨土 安養世界 安樂國 自此世間向西而去 經過十萬億佛土之彼方 卽爲極樂淨土 [無量壽經上 阿彌陀經疏(窺基) 無量壽經義疏(慧遠)]
●太虛; 太虛空 指天
신주(信州) 지상선사(智常禪師)란 자는 본주(本州) 귀계(貴谿) 사람이다. 초년(髫年; 어린 나이. 髫는 다박머리)에 출가했고 의지(意志)가 견성(見性)을 구했다. 어느 날 6조에게 참례(參禮)하자 6조가 묻되 너는 어디로부터 왔으며 무슨 일을 구하려고 하느냐. 사왈(師曰) 학인(學人)이 최근에 홍주(洪州) 건창현(建昌縣) 백봉산(白峯山)으로 가서 대통화상(大通和尙)을 참례하여 견성성불(見性成佛)의 뜻을 보임을 입었습니다만 호의(狐疑)를 결단(決斷)하지 못했습니다. 길주(吉州)에 이르러 사람을 만났는데 미혹을 가리키며 화상에게 투알(投謁)하게 했습니다. 복원(伏願)컨대 자비를 내려 섭수(攝受)하십시오. 조왈(祖曰) 그가 무슨 언구가 있었는지 네가 시험 삼아 들어보아라(擧似). 너에게 증명해 주겠다. 사왈(師曰) 처음 거기에 이르러 석 달 동안 개시(開示)를 입지(蒙) 못했습니다. 법을 위함히 간절한 연고로 중야(中夜)에 홀로 방장(方丈)에 들어가 예배하고 애청(哀請)하자. 대통(大通)이 이에 가로되 너는 허공을 보느냐. 대답해 가로되 봅니다. 그가 가로되 네가 허공을 보매 상모(相貌)가 있느냐. 대답해 가로되 허공은 무형(無形)이거늘 무슨 상모가 있겠습니까. 그가 가로되 너의 본성은 마치 허공과 같다. 자성을 반관(返觀)한다면 마침내(了) 가히 볼 1물(物)도 없나니 이 이름이 정견(正見)이며 가히 알 1물도 없나니 이 이름이 진지(眞知)다. 청황장단(靑黃長短)이 있지 않고 단지 본원(本源)의 청정과 각체(覺體)의 원명(圓明)만 봄을 곧 이름해 견성성불이며 또한 이름이 극락세계(極樂世界)며 또한 이름이 여래지견(如來知見)이다. 학인이 비록 이 설을 들었지만 오히려 결료(決了; 決斷하여 明了)하지 못했으니 화상의 회시(誨示; 가르쳐 보임)를 구걸합니다. 조왈 그 스님이 설한 바는 아직 견지(見知)를 둔지라 고로 너로 하여금 결료(決了)하지 못하게 했다. 내가 이제 너에게 1게를 보이겠다. 가로되 1법도 보지 않음은 무견(無見; 無라는 見)을 두나니/ 부운(浮雲)이 일면(日面)을 가림과 매우 흡사(大似)하다/ 1법도 알지 않음은 공지(空知; 空이란 知)를 지킴이니/ 도리어 태허(太虛)에 섬전(閃電)이 발생함과 같다/ 이 지견(知見)을 별연(瞥然; 갑자기)히 일으키면/ 착인(錯認)이거늘 어찌 일찍이 방편을 알겠는가/ 네가 마땅히 일념에 스스로 그른 줄 안다면/ 자기의 영광(靈光)이 늘 현현(顯現)하리라. 스님이 게를 듣고 나서 심의(心意)가 활연(豁然)하여 이에 1게를 서술하여 가로되 무단(無端)히 지해(知解)를 일으켜/ 착상(著相)하며 보리(菩提)를 구했다/ 뜻(情)에 일념의 오(悟)를 둔다면/ 어찌(寧) 석시(昔時)의 미(迷)를 초월하겠는가/ 자성의 각원(覺源)의 체(體)는/ 비춤 따라 헛되이(枉) 천류(遷流)한다/ 조사실(祖師室)에 들어가지 않았다면/ 망연(茫然)히 양두(兩頭)로 취향(趣向)했으리라.
●信州; 지금의 강서 상요시(上饒市). 광여기12 강서 광신부에 가로되 당ㆍ송에서 가로되 신주(信州)라 했다.
●擧似; 들어 보임(擧示). 언구를 들어 설하면서 어떤 사람에게 알림. 사(似)는 주다ㆍ향하다에 상당함.
●極樂世界; 곧 아미타불의 정토를 가리킴. 또 명칭이 극락정토ㆍ극락국토ㆍ서방정토ㆍ안양세계ㆍ안락국. 이 세간으로부터 서방으로 향하여 가서 십만억 불토를 경과한 그 지방이 곧 극락정토가 됨 [무량수경상. 아미타경소(규기). 무량수경의소(혜원)].
●太虛; 태허공(太虛空)이니 하늘을 가리킴.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tistory.com)
선문염송집주 5책 1질로 발간되었습니다
2022년 3월 발행. 150부. 5책 1질. 총 4,842쪽, 12.5pt. 4․6배판. 하드. 양장. 정가 40만 원. 할인. 잔본 81질 한문주석 1만 여 개로 염송본문의 各則을 해석하고 전체를 한글로 번역. 주석의 쪽 수가 본문을
pyungsimsa.tistory.com
'전등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전등록 권5 인종화상(印宗和尙) (0) | 2023.02.15 |
---|---|
전등록 권5 지도선사(志道禪師) (0) | 2023.02.15 |
전등록 권5 지철선사(志徹禪師) (0) | 2023.02.14 |
전등록 권5 지통선사(智通禪師) 02 (0) | 2023.02.13 |
전등록 권5 지통선사(智通禪師) 01 (0) | 2023.02.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