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孤峰覺明】 (1271-1361) 日本臨濟宗僧 會津(福島縣)人 俗姓平 初學天台 後從紀伊出羽等師學禪 應長元年(1311)渡海來華(元代) 承嗣中峰明本之法系 返國後 於瑩山受菩薩戒 其後移居出雲(島根縣) 後醍醐天皇亦曾臨幸此地 後村上天皇則從之歸依受戒 正平十六年示寂 壽九十一 臘七十五 著有徹心錄 敕號國濟國師 諡號三光國師 [本朝高僧傳二十九 延寶傳燈錄十五]
고봉각명(孤峰覺明) (1271-1361) 일본 임제종승. 회진(복도현) 사람. 속성은 평. 처음에 천태를 배우고 후에 기이ㆍ출우 등의 스님으로부터 선을 배웠음. 응장 원년(1311) 바다를 건너 중화에 와(元代) 중봉명본(中峰明本)의 법계(法系)를 승사(承嗣)했음 반국(返國; 귀국)한 후에 영산에서 보살계를 받았으며 그 후에 출운(도근현)으로 이주해 거처했음. 후에 제호천황이 또한 일찍이 이 땅에 임행(臨幸)했으며 후에 촌상천황이 곧 그를 따르며 귀의하고 수계했음. 정평 16년에 시적했음. 나이는 91이며 납은 75. 저서에 철심록이 있음. 칙호가 국제국사며 시호는 삼광국사 [본조고승전29. 연보전등록15].
) -->
【高峰喬松億禪師語錄】 二卷 淸代臨濟宗僧喬松玄億說 燈洪編 又稱喬松億禪師語錄 卷首載李道濟之序 卷一 住重慶府忠州柏巖禪院 夔州府梁山縣高峰禪院 湖廣鄂州大別山臥雲禪院等三會之語錄 頌古 拈評 行由 卷二 宗統編頌 今收錄於嘉興藏第三十九冊
고봉교송억선사어록(高峰喬松億禪師語錄) 2권. 청대 임제종승 교송현억(喬松玄億)이 설하고 등홍이 편(編)했음. 또 명칭이 교송억선사어록. 권수에 이도제의 서가 실렸음. 권1은 중경부 충주의 백암선원ㆍ기주부 양산현의 고봉선원ㆍ호광 악주 대별산의 와운선원 등에 주(住)하면서의 3회(會)의 어록과 송고ㆍ염평ㆍ행유. 권2는 종통편송. 지금 가흥장 제39책에 수록되었음.
) -->
【孤峰獨宿】 虛堂集第七十一則孤峰獨宿 僧問雲居簡禪師 孤峰獨宿時如何 居云 九間僧堂裏不臥 誰敎你孤峰獨宿
고봉독숙(孤峰獨宿) 허당집 제71칙 고봉독숙(孤峰獨宿). 중이 운거간선사에게 묻되 고봉에서 독숙할 때는 어떻습니까. 거가 이르되 9간(間)의 승당 속에서 눕지 않고 누가 너에게 고봉에서 독숙하라고 시켰는가.
) -->
【高峰妙】 元代臨濟宗僧原妙字高峰 詳見原妙
고봉묘(高峰妙) 원대 임제종승 원묘의 자가 고봉이니 상세한 것은 원묘(原妙)를 보라.
) -->
【高峰無夢無想】 見高峰主人公 ▲圓澄語錄五 高峯無夢無想 四大無我心如風 箇中誰是主人公 廓然撲落元無物 始悔從前錯用功
고봉무몽무상(高峰無夢無想) 고봉주인공을 보라. ▲원징어록5. 고봉무몽무상(高峰無夢無想) 사대에 내가 없고 마음은 바람과 같나니/ 개중에 누가 이 주인공인가/ 확연히 박락(撲落; 거꾸로 떨어짐)하여 원래 물건이 없나니/ 비로소 종전에 잘못 용공(用功)했음을 후회한다.
자세히 보기
'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500쪽 (0) | 2019.05.04 |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499쪽 (0) | 2019.05.04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497쪽 (0) | 2019.05.04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496쪽 (0) | 2019.05.04 |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495쪽 (0) | 2019.05.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