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역태화선학대사전 1책(ㄱ)

국역태화선학대사전(國譯泰華禪學大辭典) 1책(ㄱ) 500쪽

태화당 2019. 5. 4. 15:10

高峰三山來禪師疏語三卷 明末淸初臨濟宗僧三山燈來撰 性統編 又稱三山來禪師疏語 淸康熙三十年(1691)頃刊行 內容集錄禪院之各種法會疏語 卷上中 表 卷下 祝延增補 今收錄於嘉興藏第三十九冊

고봉삼산래선사소어(高峰三山來禪師疏語) 3. 명말청초 임제종승 삼산등래(三山燈來)가 지었고 성통이 편()했음. 또 명칭이 삼산래선사소어. 청 강회 30(1691) 경에 간행했음. 내용은 선원의 각종 법회의 소어를 집록했음. 권상, 중은 표며 권하는 축연증보. 지금 가흥장 제39책에 수록되었음.

) --> 

孤峰秀宋代楊岐派僧德秀 字孤峰 詳見德秀

고봉수(孤峰秀) 송대 양기파승 덕수의 자가 고봉이니 상세한 것은 덕수(德秀)를 보라.

) --> 

高峰嶽宋代楊岐派僧 住萬壽高峰 得法於錢塘淨慈谷源道(嗣松源崇岳) [增集續傳燈錄四]

고봉악(高峰嶽) 송대 양기파승. 만수의 고봉에 거주했고 전당 정자의 곡원도(송원숭악을 이었음)에게서 득법했음 [증집속전등록4].


高峰原妙元代臨濟宗原妙 字高峰 世稱高峰原妙 詳見原妙

고봉원묘(高峰原妙) 원대 임제종승 원묘의 자가 고봉이며 세칭이 고봉원묘니 상세한 것은 원묘(原妙)를 보라.

) --> 

高峰原妙禪師禪要一卷 又作高峰和尙禪要 元代原妙撰 元洪喬祖編 收錄開堂普說 示衆法語 除夜小參 書等 揭示參禪學道之旨要 收入卍新纂續藏經第七十冊 注釋書有朝鮮僧白坡亘璇所撰高峰和尙禪要私記一卷

고봉원묘선사선요(高峰原妙禪師禪要) 1. 또 고봉화상선요로 지음. 원대 원묘가 지었고 원의 홍교조가 편()했음. 개당보설ㆍ시중법어ㆍ제야소참ㆍ서 등을 수록했음. 참선학도의 지요(旨要; 요지)를 게시했음. 만신찬속장경 제70책에 수입(收入)되었음. 주석서로는 조선승 백파긍선(白坡亘璇)이 지은 바인 고봉화상선요사기 1권이 있음.

) --> 

高峰原妙禪師語錄一卷 又作高峰大師語錄 宋代僧原妙(1238-1295)撰 元代刊行 收於卍續藏第一二二冊 收錄湖州雙髻庵示衆法語 西天目山師子禪寺開堂語要 拈古 補遺 偈頌 讚佛祖 行狀 塔銘 音釋等 元代洪喬祖另編有高峰原妙禪師禪要一卷 又作高峰和尙禪要 亦收於卍續藏第一二二冊 收錄開堂普說 示衆法語 除夜小參 書等 揭示參禪學道之旨要 本書之注釋書有朝鮮僧白坡亙璇所撰之高峰和尙禪要私記一卷

고봉원묘선사어록(高峰原妙禪師語錄) 1. 또 고봉대사어록으로 지음. 송대승 원묘(原妙; 1238-1295)가 지었고 원대에 간행했음. 만속장 제122책에 수록되었음. 호주 쌍계암의 시중법어ㆍ서천목산 사자선사의 개당어요ㆍ염고ㆍ보유ㆍ게송ㆍ찬불조ㆍ행장ㆍ탑명ㆍ음석 등을 수록했음. 원대 홍교조가 따로 편집한 고봉원묘선사선요 1권이 있는데 또 고봉화상선요로 지으며 또한 만속장 제122책에 수록되었음. 개당보설ㆍ시중법어ㆍ제야소참ㆍ서 등을 수록했으며 참선학도의 지요(旨要; 요지)를 게시했음. 본서의 주석서로는 조선승 백파긍선(白坡亘璇)이 지은 바인 고봉화상선요사기 1권이 있음.



자세히 보기

http://blog.daum.net/pyungsimsa/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