태화당수세록

태화당수세록(泰華堂隨歲錄) 2004년 심화(心花)

태화당 2019. 8. 10. 12:04

심화(心花)

) --> 

염화지화공리화(拈花指花空裏花)

도화연화안중화(桃花蓮花眼中花)

화중지왕시심화(花中之王是心花)

막향안리갱살사(莫向眼裏更撒沙)

) --> 

염화(拈花)하고 지화(指花)함은 허공 속의 꽃이요

도화(桃花)와 연화(蓮花)는 눈 가운데의 꽃이로다

꽃 가운데의 왕은 이 심화(心花)인가

눈 속을 향해 다시 모래 뿌리지 말라 하노라.

) --> 

1~3행 상당(上堂)하다 세존의 염화(拈花)와 남천(南泉. 普願이니 馬祖法嗣)의 지화(指花. 위의 南泉天地與我同根云云話를 보라), 영운(靈雲. 志勤이니 福州大安法嗣. 馬祖下三世)의 도화(桃花)와 지문(智門. 光祚雲門下二世)의 연화(蓮花. 중이 묻되 蓮花가 물에서 나오지 않은 때는 어떻습니까. 스님이 가로되 蓮花니라. 가로되 물에서 나온 후엔 어떻습니까. 스님이 가로되 荷葉이니라. 宗鑑法林卷五十一 智門光祚禪師)가 모두 이 공화(空花)라 납승(衲僧)의 눈 가운데 꽃을 더함을 얻었도다. 제인(諸人)이 만약 심화(心花)를 발명(發明)코자 한다면, 좌우를 돌아보고 이르되 바로 모름지기 철수(鐵樹)에 개화(開花)해야 하리라 [月磵禪師語錄 月磵文明西巖了慧法嗣. 臥龍祖先下二世]. ()은 뿌릴 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