一條楖栗任縱橫 野狐跳入金毛隊 【續傳燈錄十六 雲峯道圓語】
한 가닥 즐률은 종횡하는 대로 맡기나니 야호가 도약하여 금모의 무리에 들어간다.
楖栗은 나무 이름. 곧 즐률나무로 만든 주장자.
) -->
一炷淸香林下客 太平時節太平人 【平石如砥錄】
일주의 청향은 임하객이요 태평시절에 태평인이로다.
炷는 심지 주. 또 향을 세는 量詞.
) -->
一塵纔擧一刹現 一華開時一佛生 【圓悟錄五】
일진을 겨우 들매 일찰이 나타나고 일화가 필 때 일불이 탄생한다.
) -->
一陣香風來枕上 庭梅開徧臘前花 【平石如砥錄】
일진의 향풍이 침상에 오고 뜨락의 매화는 臘前의 꽃을 피워 두루하다.
臘은 섣달 랍.
) -->
一處妙時萬處空 三世了時千世同 【投子義靑錄】
일처가 묘할 때 만처가 空하고 삼세를 요달할 때 천세도 한가지이다.
) -->
一切法門無盡海 同會一法道場中 【續燈錄十一】
일체 법문의 무진한 바다가 한가지로 일법의 도량 가운데 모였다.
) -->
一切數句非數句 與吾靈覺何交涉 【宏智錄五 證道歌】
일체의 수구가 수구가 아니니 나의 靈覺과 무슨 교섭이리오.
) -->
一透龍門雲外望 莫作黃河點額魚 【傳燈錄十 靈鷲閑語】
한 번 용문을 투과하여 구름 밖에서 볼 것이며 황하의 점액어가 되지 말아라.
) -->
一把柳絲收不得 和煙搭在玉闌干 【了菴淸欲錄二】
한 웅큼의 柳絲는 거둠을 얻지 못하고 안개와 함께 옥난간에 걸려 있다.
搭은 걸 탑. 칠 탑.
一波纔動萬波隨 何異嬰兒得慈母 【人天眼目一】
일파가 겨우 움직이매 만파가 따르나니 어찌 영아가 자모를 얻음과 다르리오.
嬰은 갓난아이 영.
) -->
一片白雲橫谷口 幾多歸鳥夜迷巢 【傳燈錄十六 樂普元安語】
일편의 백운이 계곡 입구에 가로 놓이매 얼마나 많은 귀조가 밤에 둥지를 迷하던가.
) -->
一片白雲橫谷口 幾多歸鳥自迷巢 【禪要】
일편의 백운이 계곡 입구에 가로 놓이매 얼마나 많은 귀조가 스스로 둥지를 迷하던가.
) -->
一片白雲橫谷口 幾多歸鳥盡迷巢 【宏智錄一】
일편의 백운이 계곡 입구에 가로 놓이매 얼마나 많은 귀조가 모두 둥지를 迷하던가.
'선림송구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림송구집(禪林頌句集) 七言二句 2획 九衢公子遊花慣 (0) | 2019.08.30 |
---|---|
선림송구집(禪林頌句集) 七言二句 1획 一片神光橫世界 (0) | 2019.08.30 |
선림송구집(禪林頌句集) 七言二句 1획 一百單五近淸明 (0) | 2019.08.30 |
선림송구집(禪林頌句集) 七言二句 1획 一念淨心全體現 (0) | 2019.08.30 |
선림송구집(禪林頌句集) 七言二句 1획 一箇主人翁旣失 (0) | 2019.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