山自高兮水自深 一理齊平不容易 【人天眼目一】
산은 절로 높고 물은 절로 깊나니 한 이치로 齊平함이 용이하지 않으리라.
) -->
山前猛虎趁於菟 火裏蝍蟟呑鼈鼻 【呆菴普莊錄二】
산 앞의 맹호는 오토를 쫓아가고 불 속의 즉료는 별비사를 삼키다.
於菟는 범의 異稱. 古代 楚人이 범을 오토라고 일컬었음. 禪語錄엔 대부분 菸어菟로 표기하였음. 蝍은 지네 즉. 蟟는 쓰르라미 료. 鼈鼻는 鼈鼻蛇니 자라의 코를 가진 뱀. 이 뱀은 가장 독하므로 사람을 상해하면 가히 치료할 약이 없음. 비유로 본래의 진면목으로 삼음. 혹은 설봉 자신을 가리킴. 또 비유로 험악하고 질속(疾速)한 機鋒을 가리킴.
초인이 젖먹이에게 이르면서 범을 일러 오토라고 했다(楚人謂乳穀 謂虎於菟. 穀은 哺乳의 뜻) [左傳 宣公四年].
雪峯이 示衆해 이르되 南山에 한 마리의 鼈鼻蛇가 있나니 너희 등 諸人은 간절히 잘 봄을 써라 [碧巖錄卷三 二十二則].
) -->
山鳥聲寃花泣淚 重重花擘涅槃心 【希叟紹曇廣錄一】
산새의 소리는 원통하고 꽃은 흐느끼며 눈물 흘리니 거듭거듭 열반의 마음을 화벽함이다.
花는 華와 같음. 쪼갤 화. 擘은 쪼갤 벽.
) -->
山中梅樹花開徧 幾箇能聞一段香 【永覺元賢錄五】
산중의 매화나무는 꽃이 피어 두루하거니와 몇 개가 능히 한 조각의 향기를 맡는가.
聞은 냄새 맡을 문.
) -->
山河草木揚眞諦 花月樓臺演妙音 【虛堂集六 一○○則】
산하와 초목이 진제를 거양하고 꽃과 달 누대가 묘음을 연설하다.
諦는 眞理 체. 살필 체. 慣音이 제.
) -->
山花不用栽培力 自有春風管待伊 【爲霖還山錄一】
산꽃은 재배하는 힘을 쓰지 않아도 절로 춘풍이 있어 그를 관대한다.
管待는 管理하고 접대함.
) -->
三脚驢子弄蹄行 頂門放出遼天鶻 【呆菴普莊錄二】
삼각의 나귀가 발굽을 희롱하며 가고 정수리에서 요천의 송골매를 방출하다.
蹄는 발굽 제. 頂門은 정수리. 숫구명. 遼는 멀 요.
묻되 무엇이 이 부처입니까. 스님(楊岐方會)이 이르되 세 다리의 나귀가 발굽을 희롱하며 가느니라(三脚驢子弄蹄行). 여쭈어 이르되 다만 이것이 곧 이것이 아닙니까(莫只者便是). 스님이 이르되 湖南長老니라 [古尊宿語錄卷第十九].
) -->
三脚石牛坡上走 一枝瑞氣月前分 【傳燈錄二十 彦賓語】
삼각의 석우가 언덕 위를 달리고 일지의 서기가 달 앞에 나뉘었다.
坡는 언덕 파. 堤防 파.
) -->
三脚靈龜荒逕走 一枝瑞草亂峯垂 【虛堂集二 二三則】
삼각의 신령스런 거북이 거친 길을 달리고 일지의 상서로운 풀이 어지러운 봉우리에 드리웠다.
逕은 좁은 길 경.
) -->
三箇童兒抱華鼓 莫來攔我毬門路 【元叟行端錄四】
세 개의 동아가 화고를 안고서 와서 나의 구문의 길을 막지 말라 하다.
童兒는 兒童과 같음. 華鼓는 화려한 북. 꽃이 그려진 북. 攔은 막을 란.
'선림송구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림송구집(禪林頌句集) 七言二句 3획 三門佛殿長相對 (0) | 2019.08.30 |
---|---|
선림송구집(禪林頌句集) 七言二句 3획 三箇胡孫夜播錢 (0) | 2019.08.30 |
선림송구집(禪林頌句集) 七言二句 3획 大圓寶鏡明如日 (0) | 2019.08.30 |
선림송구집(禪林頌句集) 七言二句 3획 口念彌陀雙拄杖 (0) | 2019.08.30 |
선림송구집(禪林頌句集) 七言二句 2획 八萬四千非鳳毛 (0) | 2019.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