三箇胡孫夜播錢 天明走盡空狼籍 【人天眼目一】
세 개의 원숭이가 밤에 동전을 까부르더니 천명에 달려 다하고 공연히 낭자하더라.
胡孫은 원숭이니 正字가 猢猻임. 天明은 동틀 무렵. 播는 퍼뜨릴 파. 뿌릴 파. 까부를 파. 狼은 이리 랑. 籍은 藉와 통함. 狼籍는 왁자함.
三更五更唱巴歌 無端驚起梵王睡 【了菴淸欲錄一】
삼경이나 오경에 파가를 불러 무단히 범왕의 잠을 경기하다.
梵王은 梵天王이니 色界 初禪天의 우두머리. 帝釋天과 함께 부처를 좌우에서 모시는 불법 수호의 신.
巴歌 西漢(前漢) 注에 이르되 巴는 巴人이다. 高祖가 처음 漢王이 됨에 당하여 巴州와 兪州 사람을 얻었는데 아울러 재빠르고 굳세며 잘 싸웠다. 그들과 더불어 三秦(지금의 陝西省이니 秦代의 關中임. 項羽가 秦을 멸한 후 이 땅을 三分하여 秦의 降將 章邯감 司馬欣 董동翳 세 사람에게 주었음)을 定하고 楚를 멸했으며 인하여 그 武樂악을 存置했다. 즉금의 巴州와 兪州니 宋玉이 이른 바 下俚巴歌를 國中에서 이어 화응하는 자가 數千人이라 한 것임. 趫는 丘祅切(교)임 [祖庭事苑卷第四].
) -->
三級頓超逞奇特 一生方顯自英豪 【湛然圓澄錄三】
세 층급을 바로 초월해 기특을 자랑해야 일생에 비로소 자기의 영호를 나타낸다.
英은 아름다울 영. 뛰어날 영. 豪는 뛰어날 호.
) -->
三級浪高魚化龍 癡人猶戽夜塘水 【碧巖錄十 一○○則】
세 층급의 파랑이 높아 물고기가 용으로 변화했건만 어리석은 사람은 아직 밤 못물을 두레박질하네.
) -->
三年不改父之道 應曰古今孝之始 【淨慈慧暉錄三】
삼 년 동안 어버지의 도를 바꾸지 않아야 응당 가로되 고금의 孝의 시작이니라.
) -->
三德六味味逾多 千古萬古爲規則 【法演錄上】
삼덕과 육미의 맛이 더욱 많나니 천고만고에 규칙을 삼으리라.
律苑事規十 施齋 三德과 六味로 부처 및 僧에게 베푸나니 법계의 有情이 널리 함께 공양하리라. 註 삼덕이란 것은 一은 輕輭연 二는 淨潔 三은 如法이다. 六味란 것은 一은 甘 二는 苦 三은 辛 四는 酸 五는 鹹함 六은 淡이다.
三塗一報五千劫 出得頭來是幾時 【紫栢集七】
삼도에 한 번의 과보가 오천 겁이거늘 머리를 내밀어 오매 이 어느 시절이던가.
) -->
三頭六臂擎天地 忿怒那吒撲帝鐘 【汾陽錄上 汾陽語】
삼두육비가 천지를 받들고 분노한 나타가 帝鐘을 치다.
) -->
三面狸奴脚蹈月 兩頭水牯手拏煙 【了堂惟一錄二】
세 얼굴의 고양이가 발로 달을 밟고 두 머리의 물소가 손으로 안개를 잡다.
'선림송구집'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선림송구집(禪林頌句集) 七言二句 3획 三歲孩兒抱花鼓 (0) | 2019.08.30 |
---|---|
선림송구집(禪林頌句集) 七言二句 3획 三門佛殿長相對 (0) | 2019.08.30 |
선림송구집(禪林頌句集) 七言二句 3획 山自高兮水自深 (0) | 2019.08.30 |
선림송구집(禪林頌句集) 七言二句 3획 大圓寶鏡明如日 (0) | 2019.08.30 |
선림송구집(禪林頌句集) 七言二句 3획 口念彌陀雙拄杖 (0) | 2019.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