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림송구집

선림송구집(禪林頌句集) 七言二句 15획 談玄說玅恒沙數

태화당 2019. 8. 31. 09:55

談玄說玅恒沙數 那箇男兒摸壁行 無異元來錄一

담현설묘가 항사의 수니 어떤 남아가 벽을 더듬으며 간다.


는 묘할 묘. 와 같음. 는 더듬을 모.

) --> 

踏碎虛空赤脚行 十方世界阿剌剌 列祖提綱錄三十

허공을 밟아 부수고 맨발로 행하니 시방세계가 아랄랄하네.


阿剌剌은 또 阿喇喇(아라라)로 지음. 驚駭(놀람)樣子를 형용.


踏破鐵鞋無覓處 得來全不費工夫 湛然圓澄錄三

철혜를 답파해도 찾을 곳이 없더니 얻어오매 온전히 공부를 허비치 않네.


는 짚신 가죽신 혜.

) --> 

踏破草鞋赤脚走 好山猶在最高層 愚菴智及錄一

짚신을 답파하고 맨발로 달렸더니 호산은 오히려 가장 고층에 있더라.


好山은 아름다운 산. 좋은 산.

) --> 

摩訶般若波羅密 甚深般若波羅密 永盛註頌證道歌

마하반야바라밀이며 심심반야바라밀이다.


龍樹가 이르되 摩訶는 세 뜻이 있다. 이르자면 이다 [大品遊意].

佛說般若波羅蜜多心經 제목을 말하자면 佛說은 곧 이 能說主함이다. 梵音으로 佛陀는 여기에서 번역하면 이름이 이다. 眞智俗智를 갖추어 自他이 원만하므로 고로 이라고 이름한다. 妙門開敷하여 중생으로 하여금 이해하게 하므로 이를 이름해 이다. 반야바라밀다는 所說法을 분변함이다. 이 땅에선 智到彼岸(반야는 지혜며 바라밀다는 도피안이니 곧 지혜로 피안에 이름)으로 번역한다. 心經은 바로 能詮의 교를 나타냄이다. 盧道(黑色이니 盧道는 곧 무지몽매한 人道를 뜻함) 가운데 心王이 홀로 빼어나므로 모든 반야에서 이 교가 가장 존귀하다 함이니 비유를 좇아 이름을 세웠으므로 고로 가로되 이다. 에 두 뜻이 있나니 貫穿攝持. 관천은 응당 설할 바의 뜻이며 섭지는 교화할 바가 함인 연고다. 이것은 곧 에 의해서 能所로 나아가 法諭를 설명함으로 를 세웠음이니 고로 말하되 佛說般若波羅蜜多心經이다 [佛說般若波羅蜜多心經贊],

) --> 

賣扇老婆手遮日 笑殺匋街趙七郞 永覺元賢錄五

부채를 파는 노파가 손으로 해를 가리니 匋街의 조칠랑을 너무 웃겼다.


는 질그릇 도. 匋街는 곧 질그릇 만드는 거리. 趙七郞은 조씨네 일곱째 사내.


暮天沙上鴈驚飛 橫斜又入海門去 瞎堂慧遠錄一

저문 하늘의 모래사장 위에 기러기가 놀라 나니 가로 비끼며 또 해문으로 들어간다.

海門은 두 육지 사이에 끼어 있는 바다의 통로.

) --> 

潑油救火渾閑事 雪上加霜愁殺人 大慧普覺錄三

기름을 뿌리며 화재를 구제함은 모두 쓸데없는 일이고 눈 위에 서리를 더함은 사람을 너무 시름케 한다.